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 큐레이션을 적용한 대형서점의 매개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rmediation Space of Bookstore with Book Cu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028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Due to cultural development, large bookstores are becoming complex cultural spaces. So, the company wanted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more by substituting space with various purposes. Various values were developed by applying a book cura...

      Background Due to cultural development, large bookstores are becoming complex cultural spaces. So, the company wanted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more by substituting space with various purposes. Various values were developed by applying a book curation space that suggested the lifestyle of consumers to a medium that could change from the space of a large bookstore.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on the entrance plan with the distinction of presenting specific spatial orientation.
      Methods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rection of spatial composition were explored and based on this, the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Specific spatial composition direction was outlined through case analysis.
      Result There were four types of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wo aspects of the medium space were shown in six characteristics. Through case analysis, the company sought to improve the culture of consumers in various ways and to take a deep approach to their daily lives.
      Conclusion In space, product sales space and associated action space are considered in terms of programmatically, providing consumers with opportunities for cultural experience and improving culture. In terms of space, area, openness, and accessibility were taken into account to further expand the space from small unit spaces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North curation cont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teven, R., "큐레이션" 이코노믹북스 2019

      2 석영, "체험 마케팅을 적용한 서점공간 연출특성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서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42) : 25-36, 2013

      3 박현우, "지역문화 플랫폼(Platform)으로서의 서점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4 이완희, "일본 츠타야 T-SITE의 마케팅 전략과 방법을 적용한 서점 공간디자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5 김동혁, "오프라인 서점의 복합문화공간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33 (33): 31-47, 2019

      6 정국현,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문화공간으로서의 서점 사례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6

      7 판잉잉, "서비스 디자인 개념에 기초한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연구" 한국융합학회 11 (11): 97-108, 2020

      8 김희근, "바르셀로나 공공도서관의 매개영역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 1998년 이후 건립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4 (14): 279-292, 2019

      9 윤재희, "도심지 건물군 사이의 매개공간 디자인 모형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10 김지하, "대형서점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 체험 특성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9

      1 Steven, R., "큐레이션" 이코노믹북스 2019

      2 석영, "체험 마케팅을 적용한 서점공간 연출특성과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중국 서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42) : 25-36, 2013

      3 박현우, "지역문화 플랫폼(Platform)으로서의 서점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4 이완희, "일본 츠타야 T-SITE의 마케팅 전략과 방법을 적용한 서점 공간디자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5 김동혁, "오프라인 서점의 복합문화공간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33 (33): 31-47, 2019

      6 정국현,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문화공간으로서의 서점 사례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6

      7 판잉잉, "서비스 디자인 개념에 기초한 복합형 서점 실내 디자인 연구" 한국융합학회 11 (11): 97-108, 2020

      8 김희근, "바르셀로나 공공도서관의 매개영역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 1998년 이후 건립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4 (14): 279-292, 2019

      9 윤재희, "도심지 건물군 사이의 매개공간 디자인 모형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10 김지하, "대형서점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 체험 특성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9

      11 백지원,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의 기능과 특성- 이용자 중심 분류의 관점에서 -" 한국문헌정보학회 52 (52): 51-69,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