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훈민정음(訓民正音)<제자해(制字解)> ‘정음이십팔자각상기형이제지(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에 대하여 = About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 in <Theory of Explanation of How to Make Letters> of (Haeryebon)Hunminjeongeu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mphasizes the argument of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 in (Haeryebon)Hunminjeongeum. Theory of Explanation of How to make letters in Hunminjeongeum has been explained to have been generally applied only to the basic lett...

      This article emphasizes the argument of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 in (Haeryebon)Hunminjeongeum. Theory of Explanation of How to make letters in Hunminjeongeum has been explained to have been generally applied only to the basic letters of the consonant letters(ㄱ,ㄴ,ㅁ,ㅅ,ㅇ), and extended by the principal of ‘add stroke’ about the rest of the other consonant letters. It has been explained that vowel letters come from a reference impression of an abstract object called ‘Sky-Earth-Human(天地人)’. Makers of Hunminjeongeum clearly recognized all 28letters as coming from the imitation of phonetic organ. It is based on the system of 2×5=10 and ‘consont-vowel’ based on the system of ‘Rakseo(<洛書>)-Hado(<河圖>)’ according to the method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n that time of the making of (Haeryebon)Hunminjeongeum, they made letters under the broad principle of the imitation of phonetic organ. It can be seen as choosing an abstractianal expansion method for vowel letters to ensure that the harmony of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s fully reflec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훈민정음(訓民正音)<제자해(制字解)>에서의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의 논지를 강조하였다. ‘훈민정음’의 발음기관 상형설은 그동안 자음자의 기본자 ‘ㄱ, ㄴ, ㅁ, ...

      본고는 훈민정음(訓民正音)<제자해(制字解)>에서의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의 논지를 강조하였다. ‘훈민정음’의 발음기관 상형설은 그동안 자음자의 기본자 ‘ㄱ, ㄴ, ㅁ, ㅅ, ㅇ’에만 적용되고 나머지 다른 자음자들은 기본자로부터 가획의 원리에 의해 확장되고, 모음자는 ‘天地人’이라는 추상적 대상에 대한 지시적 상형(象形)으로부터 기인했다는 설명이 일반적이었으나 본고에서는 훈민정음 28자가 모두 상형에 따라 만들어졌다는 (해례본)훈민정음<제자해>의 설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이들이 모두 상형에 따랐을 가능성을 강조하였다. 김양진(2016)에서는 이 가운데 자음자의 상형에 대한 해설에 집중하였는데 본고에서는 그 논의에서 미진하였던 모음자 상형의 논리를 보충하여 강조하였다.
      (해례본)훈민정음의 제작자 혹은 해설자들은 분명히 이들 28자 모두를 발음기관의 상형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을 것이다. 다만 그 설명에서는 이를 당시의 역학(易學)적 해석의 설명 원리인 ‘음양-오행’의 방식에 따라 ‘2×5=10’의 체제와 ‘자음-모음’을 ‘<낙서(洛書)>-<하도(河圖)>’의 체제를 바탕으로 하는 ‘구체-추상’의 설명 방식을 취하게 되면서 모음자의 경우 마치 발음기관 상형에 앞서 어떤 추상적 원리를 우선적으로 본뜬 것처럼 서술되었을 뿐이다.
      기존의 논의에서 훈민정음 모음자를 ‘天地人’ 상형에 한정한 것은, 후대의 해석이 당대의 서술 방식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 데서 기인한 현상이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 혹은 (해례본)훈민정음 제작 당시에는, 발음기관 상형이라는 대원칙 아래 문자를 만들되 다만 그에 대한 해설에서 음양오행의 조화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음자의 경우 추상적인 서술 방식을 택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상순,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88

      2 정광,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역락 2012

      3 이성구, "훈민정음 해례의 취상(取象)과 취의(取義)" 명지실업전문대학 18 : 1-17, 1994

      4 NIE BAOMEI, "훈민정음 초성의 배열과 음양오행 원리" 한글학회 (312) : 67-95, 2016

      5 김완진,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 : 1-19, 1984

      6 이성구, "훈민정음 연구" 동문사 1985

      7 유창균,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3

      8 박창원,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2005

      9 유창균, "황극경세서가 국어학에 끼친 영향" 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연구소 15 : 69-102, 1989

      10 이성구, "한중 음운학 논총 1권" 123-140, 1993

      1 신상순,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88

      2 정광,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역락 2012

      3 이성구, "훈민정음 해례의 취상(取象)과 취의(取義)" 명지실업전문대학 18 : 1-17, 1994

      4 NIE BAOMEI, "훈민정음 초성의 배열과 음양오행 원리" 한글학회 (312) : 67-95, 2016

      5 김완진,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 : 1-19, 1984

      6 이성구, "훈민정음 연구" 동문사 1985

      7 유창균,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3

      8 박창원,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2005

      9 유창균, "황극경세서가 국어학에 끼친 영향" 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연구소 15 : 69-102, 1989

      10 이성구, "한중 음운학 논총 1권" 123-140, 1993

      11 김양진, "한민족의 글, 한글의 제자 원리" 고려대학교 대외협력처 홍보팀 51 : 2012

      12 정광, "한글의 발명" 김영사 2019

      13 공재석, "한글 고전기원설에 대한 한 고찰" 한국중국학회 7 (7): 45-54, 1967

      14 박지홍, "풀이한 훈민정음: 연구·주석" 과학사 1984

      15 유정기, "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 고" 현대교육사 3 (3): 28-40, 1970

      16 안병희, "중세국어구결의 연구" 일지사 1977

      17 홍기문, "정음발달사 (상·하 합본)" 신문사출판국 1946

      18 김양진, "일음양오행(一陰陽五行)과 훈민정음(訓民正音)" 국어학회 (74) : 57-102, 2015

      19 김완진, "음운과 문자" 신구문화사 1996

      20 김완진, "음운과 문자" 신구문화사 1996

      21 이성구,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281-304, 1987

      22 강신항, "역주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5

      23 김완진, "국어학연구사-흐름과 동향" 학연사 232-245, 1975

      24 유창균, "국어학논문선 7(문자)" 민중서관 153-179, 1977

      25 이정호, "국문·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 1986

      26 안병희, "訓民正音 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27 박형우, "訓民正音 ‘象形而字倣古篆’의 의미" 한민족어문학회 (53) : 153-180, 2008

      28 김민수, "新國語學史" 일조각 1994

      29 섭보매,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 원광대학교 2016

      30 김양진, "‘십간(十干)’의 어휘 의미에 대하여" 문헌과 해석사 52 : 135-157, 2010

      31 김양진, "‘象形’과 ‘訓民正音’" 우리말학회 (46) : 143-178, 2016

      32 최현배, "(고친) 한글갈" 정음문화사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5 1.64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