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언어활동은 두 가지 면에서 관찰될 수 있다. 하나는 언어행위를 심리현상으로 보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이고 다른 측면은 언어를 사회적 행위 또는 사회적·현상으로 보는 사회언어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4643983
대전 : 忠南大學校 大學院, 1983
Thesis(master's) -- 충남대학교 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영문학전공 , 1983
1983
영어
745 판사항(3)
425
대한민국
64p. ; 26cm .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의 언어활동은 두 가지 면에서 관찰될 수 있다. 하나는 언어행위를 심리현상으로 보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이고 다른 측면은 언어를 사회적 행위 또는 사회적·현상으로 보는 사회언어학�...
인간의 언어활동은 두 가지 면에서 관찰될 수 있다. 하나는 언어행위를 심리현상으로 보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이고 다른 측면은 언어를 사회적 행위 또는 사회적·현상으로 보는 사회언어학적 관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후자의 방법을 택하였다. 왜냐하면 언어행위는 항상 사회적 맥락속에서 행하여지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인간의 언어 행위는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 행위를 말하며 상황에 적절한 언어형을 선택하는 행위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유리동물원]에 자용된 지시사 This 와 That 가 선택된 상황(context)을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 지시자 This 와 That 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1. 지시사가 지지하는 대상(the referent of the demonstratives)이 화자의 흥미나 태도를 나타내거나 발화하는 상황에서 화자가 볼 수 있는 대상을 나타낼 경우
2. 지시사가 지시하는 대상이 발화하는 상황의 시간이나 장소를 지시할 경우
3. 지시사가 지시하는 대상이 화자가 강조하는 상황을 나타낼 경우
(That)
1. 지시사가 지시하는 대상이 화자가 인지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낼 경우
2. 지시사가 지시하는 대상이 화자의 흥미를 나타낼지라도 화자가 강조하려는 일반적인 경험이나 흥미를 나타낼 경우
3. 지시사가 지지하는 대상이 청자의 흥미나 태도를 나타낼 경우 이와같이, 언어학적 관점에서, 작품 속에서 지시사의 특징을 기술한 목적은 독자의 작품에 태한 정확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데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