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oday’s world, nations’ competitiveness not only includes technological advances, but also emotional and cultural values. This time stream influences business marketing to cover larger spectrums such as advertisement, experiential marketing,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923496
서울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 실내설계전공 , 2018.8
2018
한국어
729 판사항(22)
서울
A study for design library planning based on brand-scaping space elements
viii, 84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윤은경
참고문헌: 장 81
I804:11064-00000002289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oday’s world, nations’ competitiveness not only includes technological advances, but also emotional and cultural values. This time stream influences business marketing to cover larger spectrums such as advertisement, experiential marketing, ...
In today’s world, nations’ competitiveness not only includes technological advances, but also emotional and cultural values. This time stream influences business marketing to cover larger spectrums such as advertisement, experiential marketing, and differentiation in creating their interior environments.
These days the broadcast media including T.V. dramas, films, music, etc. are bringing back the essence of the past and stimulates the viewers’ nostalgia by applying analog elements. In relation to this trend, numerous businesses actively started introducing their “Libraries” in order to appeal their identities as a method of “Brand Scaping.”
This study proposes directional guidelines of design libraries, which provide both diverse contents/opportunities to experience new lifestyles and innovative ways of advertising companies by means of Brand Scaping.
The main process of the study progresses in the following order.
Understanding and researching the concept through theoretical contemplation and establishing the notion of Brand Scaping by referring to preceding research analysis/data. Then, applying the notion as elements of the according space.
Afterwards, progressing in-depth research of the role and necessity of Brand Scaping for a design library. Taking into account of the research, I have limited existing brand libraries that were opened in the past ten years and studied different types of methods on how brand scaping elements were applied to each space. By referr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directional plans were made of how to put together a design library that covers variations including business advertising and cultural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catego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architectural structure and its environmental elements can be the landmark of the corresponding area, delivering an effective visual imagery.
Moreover, interior functions with proper finishing materials and colorways add up to create a positive brand image appearance to the consumers experiencing the interior space.
Second, direct signs/symbols/logos of particular brands may create immediate attention to the consumers, but in order to truly approach each consumer, it is crucial to consistently provide a friendly and welcoming brand image.
For instance, consumers may obtain preferential qualities to their daily lifestyles through bot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in the library.
Third, differentiated experience contents and events such as exhibitions, classes, and lectures for consumers are advantageous to both the brand and the consumers since they create favor and loyalty. In addition, such events are effective and conducive methods of communication.
This study concludes balanced future plans of opening design libraries through spatial, cognitive, and heuristic brand scaping elements that not only provide intellectual cultural experiences, but also support optimizing the positive brand image to their consumers.
국문 초록 (Abstract)
국가의 경쟁력 원천이 기술적인 힘에서 감성적, 문화적 힘으로 그 무게 중심을 옮겨 가면서 소비시장 또한 시대의 흐름에 맞는 다양한 마케팅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기업의 브...
국가의 경쟁력 원천이 기술적인 힘에서 감성적, 문화적 힘으로 그 무게 중심을 옮겨 가면서 소비시장 또한 시대의 흐름에 맞는 다양한 마케팅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기업의 브랜드 공간은 단순히 기업을 홍보하고 전시하는 공간으로 그치지 않고 체험 마케팅의 중요한 전략적 요소로서 차별화된 공간으로 발전되고 있다.
최근 아날로그 감성이 화두가 되면서 드라마,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방면에서 옛 시적 향수를 자극하는 콘텐츠가 각광을 받고 있고 아날로그 경험적 요소를 이용하여 고객의 감성을 자극하고 있다.
이에 최근 2010년 이후 라이브러리 (Library)라는 아날로그적 성격을 갖는 공간들이 등장 하였고 기업들은 브랜드의 가치와 정체성을 어필하는 수단으로 브랜드 스케이핑 (Brand Scaping)이라는 마케팅 요소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대에 흐름에 맞추어 다양한 콘텐츠로 개관되는 디자인 라이브러리의 방향성을 체험의 기회와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해 줄 수 있는 디자인 라이브러리의 방향성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브랜드 스케이핑 공간요소를 통해 기업의 디자인 라이브러리 계획에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전체적인 진행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브랜드 스케이핑의 이해와 개념에 관해 연구하고, 앞서 연구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브랜드 스케 이핑 공간에 대해 개념을 정리한다. 정리되어진 개념을 바탕으로 브랜드 스케 이핑의 공간요소를 도출한다. 디자인 라이브러리의 공간 분석을 위해 정확한 명칭에 대해 정의되지 않은 디자인 라이브러리의 개념을 정리하며, 정의한 디자 인 라이브러리에서 브랜드 스케이핑의 역할과 필요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10년 이내 개관된 기업 브랜드 라이브러리로 사례를 한정 하였고, 연구를 통해 도출된 브랜드 스케이핑 공간요소가 어떤 방법으로 공간에 표현 되었는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분석의 결과로 기업 홍보관의 역할로서 고객에게 문화체험 공간을 제공하는데 이바지는 기업의 디자인 라이브러리를 계획하기 위해 브랜드 스케이핑 공간요소를 통하여 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앞선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해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의 물리적 환경요소는 그 지역의 랜드마크로서 역할을 충실히 하여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소비자에게 효과적인 시각적 이미지로 전달 된다.
또한, 구조적인 측면의 적절한 실내 기능과 동선표현, 마감재와 색채의 조화로 인해 표현된 브랜드 공간은 공간을 체험하는 소비자로부터 브랜드의 긍정적 이미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둘째, 브랜드 공간에서의 기호, 사인을 통한 직접적인 브랜드 이미지 표현은 소비자에게 단기적인 측면에서 브랜드 상표를 각인시키는 역할을 할 순 있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 소비자의 브랜드로 다가가기 위해서는, 직접적은 노출로 인한 홍보의 방법을 피해야 하며, 자연스러운 브랜드 이미지 표현으로 소비자의 마음속에 오랫동안 자리 잡을 수 있게 친근한 기업의 이미지로 다가가는 것이 중요하다.
브랜드 공간의 간접경험으로 인한 이미지 인지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자리 잡기에 효과적이며 친근한 유대 관계를 지속 시킬 수 있다.
셋째, 차별화된 체험의 콘텐츠와 이벤트는 고객이 브랜드를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요소로서 전시, 교육, 강연을 체험한 후, 기업에 대한 긍적정인 호감과 유대관계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이며 브랜드에 대한 태도나 충성도에 대해 큰 영향을 미친다.
공간에서의 체험 프로그램 또는 다양한 이벤트는 기업에 대한 고객의 관심과 소통을 지속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향후 개관 될 디자인 라이브러리 계획에 있어서 브랜드 스케이핑 공간요소인 공간적, 인지적, 체험적 요소의 균형감 있는 적용으로, 공간을 체험하는 고객에게 문화 커뮤니케이션을 이끌고, 지적공간으로 자리 매김하여 고객은 지적 문화콘텐츠를 경험하고, 기업은 브랜드 이미지를 극대 화 시키는 동시에 사회공헌에 기여하길 기대해 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