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자동 수직물성관측 뜰개(ARGO Float)로 얻은 수온과 염분의 정확도와 안정도 = Accuracy and Stability of Temperature and Salinity from Autonomous Profiling CTD Floats (ARGO Floa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59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동 수직물성관측 뜰개는 매우 유용한 해양관측장비이지만 이에 부착된 CTD의 사후 보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뜰개자료의 정확도 검증이 사후자료관리나 자료활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 중 ...

      자동 수직물성관측 뜰개는 매우 유용한 해양관측장비이지만 이에 부착된 CTD의 사후 보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뜰개자료의 정확도 검증이 사후자료관리나 자료활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동해 중심층의 염분변화가 국제 Argo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정확도 0.01과 유사하기 때문에 동해를 항염분수조로 취급하여 동해에 투하된 뜰개가 관측한 염분자료의 신뢰성을 세 가지 방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각각의 방법은 1)부근 해역에서 얻은 정확도가 높은 정선 CTD자료와 뜰개자료의 비교, 2)비슷한 시각에 비슷한 해역에서 얻은 뜰개자료의 비교, 3)체류 수심에서 얻은 염분자료의 장기간에 걸친 안정도 및 정확도 검증이다. 세 방법 모두 뜰개에서 얻은 염분자료가 아무런 보정없이도 Argo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정확도를 만족함을 보여주었다. 동해의 심층 수온이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위의 세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얻은 수온값의 정확도 0.01$^{\circ}C$는 Argo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정확도의 2배 정도이다. 하지만 동해의 중층 수온은 Argo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정확도 이상으로 시공간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위의 결과는 수온 자료가 부정확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동해 중층수온의 시공간적 변화를 고려한다면 수온자료의 정확도도 Argo프로그램이 요구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검증된 뜰개가 관측한 수온 염분자료 모두 특별한 보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utonomous profiling CTD floats are a useful tool for observing the oceans. We, however, cannot perform post-deployment calibration of the CTD's attached to the floats, and the assessment of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the profile data from the floa...

      Autonomous profiling CTD floats are a useful tool for observing the oceans. We, however, cannot perform post-deployment calibration of the CTD's attached to the floats, and the assessment of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the profile data from the floats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the delayed mode quality control of the profiles. Variations in salinity in the intermediate level of East Sea is comparable to the accuracy of salinity data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Argo Program, which is 0.01. Therefore, we can assess the credibility of salinity data from the floats deployed in the East Sea using three independent methods while considering the East Sea as a salinity calibration bath. The methods utilized here are 1) comparison of high quality CTD data and float data obtained at similar locations at similar time, 2) comparison of float data obtained at similar locations at similar time, and 3) investigation of long term stability and accuracy of salinity data from parking depths. All three methods show that without any calibration, the salinity data satisfy the accuracy criterion by the Argo Program. While assuming that the intermediate level temperature in the East Sea is as homogeneous as the salinity, we have applied the three methods to temperature data. We found that the accuracy of temperature reading is 0.01$^{\circ}C$, which is about twice larger than the requirement by the Argo Program, 0.005$^{\circ}C$.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mperature readings are inaccurate, because the intermediate level temperature does vary spacially and temporally more than the accuracy interval required by the Argo Program. If we take into account the variation in the intermediate level temperature, the accuracy of temperature data from the float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proposed by the Argo Program. Therefore, one could use both temperature and salinity profiles from the floats assessed in this study without calibr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지구 해양변화 감시시스템 구축(Argo) I" 289-, 2002

      2 "동해기후변동예측과 진화연구" 435-, 2000

      3 "The evaluation of salinity measurements from PALACE floats" 18 : 1258-1266, 2001

      4 "Stability of temperature and conductivity sensors of Argo profiling floats" 60 : 253-258, 2004

      5 "Report of the Argo science team 2nd meeting (AST-2)" Southampton Oceanography Centre (March) : 7-9, 2000

      6 "Pre-Japan-Argo: Experimental observation of upper and middle layers south of the Kuroshio extension region using profiling floats" 59 (59): 119-127, 2003

      7 "Intermediate level circulation of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Japan Sea estimated from autonomous isobaric profiling floats" 31 : 2004

      8 "Delayed-mode calibration of autonomous CTD profiling floats salinity data by Q-S climatology" 20 : 308-318, 2003

      9 "Autonomous floats in WOCE" 30 : 48-, 1998

      10 "Argo Brochure"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1999

      1 "전지구 해양변화 감시시스템 구축(Argo) I" 289-, 2002

      2 "동해기후변동예측과 진화연구" 435-, 2000

      3 "The evaluation of salinity measurements from PALACE floats" 18 : 1258-1266, 2001

      4 "Stability of temperature and conductivity sensors of Argo profiling floats" 60 : 253-258, 2004

      5 "Report of the Argo science team 2nd meeting (AST-2)" Southampton Oceanography Centre (March) : 7-9, 2000

      6 "Pre-Japan-Argo: Experimental observation of upper and middle layers south of the Kuroshio extension region using profiling floats" 59 (59): 119-127, 2003

      7 "Intermediate level circulation of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Japan Sea estimated from autonomous isobaric profiling floats" 31 : 2004

      8 "Delayed-mode calibration of autonomous CTD profiling floats salinity data by Q-S climatology" 20 : 308-318, 2003

      9 "Autonomous floats in WOCE" 30 : 48-, 1998

      10 "Argo Brochure"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바다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9 0.93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