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왕실의 작명 연구 = The naming tradition of the Choson royal fami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3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naming tradition of the Choson royal family. The Jangseogak library holds a number of documents related to the naming, and the background of these document's production is detailed in Seungwon diary The crown prince's name is decided right before the installation. The name was generally decided by a procedure, but in some cases, it was decided by the king's decision.
      The crown prince's name considered naming taboo as a priority. Common letters, the names of all kings were excluded. There were many restrictions on the naming, so the king also created new letters. The shape of letter, the sound of letter, and the meaning of letter we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but the judgment was subjective. The Five Elements, the four pillars of destiny, the number of strokes that are valued in the modern naming were not considered at all.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modern naming and the Choson royal family naming.
      번역하기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naming tradition of the Choson royal family. The Jangseogak library holds a number of documents related to the naming, and the background of these document's production is detailed in Seungwon diary The crown prince's na...

      This thesis aims to reveal the naming tradition of the Choson royal family. The Jangseogak library holds a number of documents related to the naming, and the background of these document's production is detailed in Seungwon diary The crown prince's name is decided right before the installation. The name was generally decided by a procedure, but in some cases, it was decided by the king's decision.
      The crown prince's name considered naming taboo as a priority. Common letters, the names of all kings were excluded. There were many restrictions on the naming, so the king also created new letters. The shape of letter, the sound of letter, and the meaning of letter were comprehensively considered, but the judgment was subjective. The Five Elements, the four pillars of destiny, the number of strokes that are valued in the modern naming were not considered at all. There is no connection between the modern naming and the Choson royal family nam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 왕실의 작명 실상을 밝히는 것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는 조선 왕실의 작명 과정에서 생산된 定名單子 등의 문서가 다수 소장되어 있으며, 󰡔승정원일기󰡕를 비롯한 문헌에 이 문서의 생산 배경이 자세하다.
      세자와 세손의 이름은 책례 직전에 짓고, 字는 관례 직전에 짓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작명은 대체로 규정된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국왕의 독단으로 이루어졌다.
      왕실 작명의 우선적인 고려사항은 避諱이다. 상용자 및 역대 제왕의 이름자는 피하였으며, 음이 같은 글자 역시 기피하였다. 작명에 제한 사항이 많았으므로 국왕은 새로운 글자를 만들거나 글자의 음을 바꾸는 행위도 가능했다. 작명은 字義, 字音, 字形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으나, 그 판단은 주관적일 수밖에 없었다.
      조선 왕실의 작명에서는 현대 작명에서 중시하는 오행, 사주, 획수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현대 작명과 조선 왕실의 작명 사이에서는 공통점을 찾아보기 어렵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 왕실의 작명 실상을 밝히는 것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는 조선 왕실의 작명 과정에서 생산된 定名單子 등의 문서가 다수 소장되어 있으며, 󰡔승정원일기�...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 왕실의 작명 실상을 밝히는 것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는 조선 왕실의 작명 과정에서 생산된 定名單子 등의 문서가 다수 소장되어 있으며, 󰡔승정원일기󰡕를 비롯한 문헌에 이 문서의 생산 배경이 자세하다.
      세자와 세손의 이름은 책례 직전에 짓고, 字는 관례 직전에 짓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작명은 대체로 규정된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국왕의 독단으로 이루어졌다.
      왕실 작명의 우선적인 고려사항은 避諱이다. 상용자 및 역대 제왕의 이름자는 피하였으며, 음이 같은 글자 역시 기피하였다. 작명에 제한 사항이 많았으므로 국왕은 새로운 글자를 만들거나 글자의 음을 바꾸는 행위도 가능했다. 작명은 字義, 字音, 字形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으나, 그 판단은 주관적일 수밖에 없었다.
      조선 왕실의 작명에서는 현대 작명에서 중시하는 오행, 사주, 획수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현대 작명과 조선 왕실의 작명 사이에서는 공통점을 찾아보기 어렵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왕조실록"

      2 정구복, "이기백선생고희기념 한국사학논총 상" 일조각 1994

      3 이훈종, "우리나라 作名에 관한 硏究" 건국대학교 14 : 1972

      4 "승정원일기"

      5 디지털장서각, "디지털장서각"

      6 박진훈, "고려시대 사람들의 改名" 국학연구원 (141) : 121-177, 2008

      7 "璿源錄"

      8 "璿源系譜紀略"

      9 "王世子冊禮謄錄"

      10 안대회, "正祖 御諱의 改定: ‘이산’과 ‘이성’ -『奎章全韻』의 편찬과 관련하여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2) : 95-121, 2010

      1 "조선왕조실록"

      2 정구복, "이기백선생고희기념 한국사학논총 상" 일조각 1994

      3 이훈종, "우리나라 作名에 관한 硏究" 건국대학교 14 : 1972

      4 "승정원일기"

      5 디지털장서각, "디지털장서각"

      6 박진훈, "고려시대 사람들의 改名" 국학연구원 (141) : 121-177, 2008

      7 "璿源錄"

      8 "璿源系譜紀略"

      9 "王世子冊禮謄錄"

      10 안대회, "正祖 御諱의 改定: ‘이산’과 ‘이성’ -『奎章全韻』의 편찬과 관련하여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2) : 95-121, 2010

      11 "列聖御諱"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