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외안보전략의 변화에 따른 일본의 인도-태평양 전략 관여 = Japan’s Indo-Pacific Strategic Engagement with Changes in Foreign Security Str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21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기 아베 정권의 대외안보전략 변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일본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참여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아베 총리는 2012년 12월 재집권 이후 단기간에 국가안...

      본 논문은 2기 아베 정권의 대외안보전략 변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일본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참여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아베 총리는 2012년 12월 재집권 이후 단기간에 국가안전보장회의(NSC)의 설치, 국가안전보장전략(NSS)의 발표를 통해 일본의 안보화(Securitization) 기조를 강화시켰고 이는 2015년 집단적 자위권 도입으로 일차적으로 마무리되었다. 한편 일본의 ‘안보 르네상스’ 기조는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일본의 적극적 참여로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적극적 참여 기조는 과거 일본의 반응적 외교 기조와 비교해본다면 그 차이는 더욱 명확해진다. 이에 본 논문은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일본의 참여 양상을 살펴본 후 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즉, 미ㆍ일ㆍ호ㆍ인 4개국의 양자 혹은 다자간 안보협력의 증진은 향후 동아시아 안보질서에 핵심적인 축으로써 기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Japan’s Indo-Pacific strategy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foreign security strategy during the second Abe administration. Prime Minister Abe strengthened the securitization of Japan through the ...

      This article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Japan’s Indo-Pacific strategy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foreign security strategy during the second Abe administration. Prime Minister Abe strengthened the securitization of Japa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NSC) and the announcement of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NSS)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retaining power in December 2012. On the other hand, Japan’s “security renaissance” trend is reinforced by Japan’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US-led Indo-Pacific strategy. The difference is clearer when comparing this active participation policy to the reactive diplomatic tendency of Japan in the past.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Japan’s involvement in the Indo-Pacific strategy and seeks to deduce its implications. The enhancement of bilateral or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the four countries of the United States, Japan, Australia, and India will serve as a key axis for the future security order in East As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기존 일본의 대외안보전략에 대한 검토 Ⅲ. 자민당의 재집권과 안보화(securitization)의 강화 Ⅳ. 인도-태평양 전략의 대두와 일본 안보협력의 다각화 Ⅴ. 결론 참고문헌
      •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기존 일본의 대외안보전략에 대한 검토 Ⅲ. 자민당의 재집권과 안보화(securitization)의 강화 Ⅳ. 인도-태평양 전략의 대두와 일본 안보협력의 다각화 Ⅴ.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관옥, "현실주의 외교안보전략으로서의 연성편승정책 -일본ㆍ인도ㆍ호주의 사례-" 대한정치학회 20 (20): 153-174, 2012

      2 강선주, "지경학(Geoeconomics)으로서의 미국의 인도-태평양 구상"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8

      3 윤덕민, "중국의 부상과 일본의 대중전략"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 (20): 65-94, 2013

      4 조양현, "제2차 아베 내각 출범 이후 일본 정국 및 대외관계 전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3

      5 토가시 아유미, "정권 교체와 일본 외교안보정책의 지속성: 정책 이념과 미일동맹" 한국정당학회 16 (16): 101-120, 2017

      6 박철희,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과 한반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7 한의석, "일본의 정부개발원조정책과 ODA대강 개정" 일본연구소 (71) : 33-52, 2017

      8 남기정, "일본의 전후 평화주의―원류와 전개, 그리고 현재" 역사문제연구소 (106) : 94-134, 2014

      9 김상준, "일본의 안전보장과 군사 활동성" 21세기정치학회 23 (23): 71-92, 2013

      10 소에야 요시히데, "일본의 미들 파워 외교: 전후(戰後) 일본의 선택과 구상" 오름 2006

      1 김관옥, "현실주의 외교안보전략으로서의 연성편승정책 -일본ㆍ인도ㆍ호주의 사례-" 대한정치학회 20 (20): 153-174, 2012

      2 강선주, "지경학(Geoeconomics)으로서의 미국의 인도-태평양 구상"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8

      3 윤덕민, "중국의 부상과 일본의 대중전략"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 (20): 65-94, 2013

      4 조양현, "제2차 아베 내각 출범 이후 일본 정국 및 대외관계 전망"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3

      5 토가시 아유미, "정권 교체와 일본 외교안보정책의 지속성: 정책 이념과 미일동맹" 한국정당학회 16 (16): 101-120, 2017

      6 박철희,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과 한반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7 한의석, "일본의 정부개발원조정책과 ODA대강 개정" 일본연구소 (71) : 33-52, 2017

      8 남기정, "일본의 전후 평화주의―원류와 전개, 그리고 현재" 역사문제연구소 (106) : 94-134, 2014

      9 김상준, "일본의 안전보장과 군사 활동성" 21세기정치학회 23 (23): 71-92, 2013

      10 소에야 요시히데, "일본의 미들 파워 외교: 전후(戰後) 일본의 선택과 구상" 오름 2006

      11 최운도, "일본 민주당의 대미 외교정책에 대한 평가" 현대일본학회 (38) : 229-255, 2013

      12 조양현, "인도·태평양 전략(Indo-Pacific Strategy)구상과 일본 외교"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7

      13 이재현, "인도-퍼시픽, 새로운 전략 공간의 등장" 아산정책연구원 1-12, 2015

      14 손기섭, "아베정권의 집단적 자위권 성립과 동북아"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9 (19): 199-220, 2016

      15 조진구, "아베 정권의 외교안보정책 - 국가안전보장회의, 집단적 자위권 그리고 헌법 개정 문제" 동북아역사재단 (58) : 416-457, 2017

      16 박철희,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일본 대외전략의 변화" 동아시아재단 2014

      17 "平成26年度以降に係る防衛計画の大綱について"

      18 "安全保障の法的基盤の再構築に関する懇談会 報告書"

      19 "国家安全保障戦略について"

      20 SIPRI, "Trends In World Military Expenditure 2017"

      21 Kearn, David, "Toward Alliance or Ambivalence: A Theoretical Assessment of U.S.-India Relations" 13 (13): 129-148, 2014

      22 Inoguchi, Takashi, "The Troubled Triangle: Economicand Security Concerns for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Palgrave Macmillan 2013

      23 Suzuki, Shogo, "The Rise of the Chinese ‘Other’ in Japan's Construction ofIdentity: Is China a Focal Point of Japanese Nationalism?" 28 (28): 95-116, 2015

      24 Calder, Kent, "The Pacific Alliance: Reviving U.S.-Japan Relations" Yale University Press 2009

      25 Samuels, Richard, "Securing Japan: Tokyo's Grand Strategy and the Futureof East Asi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7

      26 Gluck, Carol, "Postwar Japan as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64-96, 1993

      27 Lind, Jennifer, "Pacifism or Passing the Buck? Testing Theories of Japanese Security Policy" 29 (29): 92-121, 2004

      28 IISS, "Military Balance 2017" Routledge 2017

      29 Oros, Andrew, "Japan’s Security Renaissance: New Policies and Politics forthe Twenty-First Century" Cornell University Press 2017

      30 Kohno, Masaru, "Japan’s Postwar Party 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31 Hughes, Christopher, "Japan’s Foreign and Security Policy Under the ‘Abe Doctrine’: New Dynamism or New Dead End?" Palgrave Macmillan 2015

      32 Satake, Tomohiko, "Japan–Australia Security Cooperation in the Bilateral and Multilateral contexts" 94 (94): 815-834, 2018

      33 Calder, Kent, "Japanese Foreign Economic Policy Formation: Explaining the Reactive State" 40 (40): 517-541, 1988

      34 Mochizuki, Mike, "Japan under Abe: Toward Moderation or Nationalism?" 36 (36): 25-41, 2013

      35 Raghuvanshi, Vivek, "Japan To Join Malabar as Permanent Participant"

      36 Pyle, Kenneth, "Japan Rising: The Resurgence of Japanese Power and Purpose" Public Affairs 2007

      37 JICA, "JICA Annual Report 2017"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17

      38 Smith, Sheila, "Intimate Rivals: Japanese Domestic Politics and a Rising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5

      39 Izumikawa, Yasuhiro, "Explaining Japanese Antimilitarism: Normative and Realist Constraints on Japan's Security Policy" 35 (35): 123-160, 2010

      40 Berger, Thomas, "Cultures of Antimilitarism: National Security in Germany and Japa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8

      41 Katzenstein, Peter, "Cultural Norms and National Security: Police and Military in Postwar Japa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6

      42 Shinoda, Tomohito, "Contemporary Japanese Politics: Institutional Changes and Power Shifts"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

      43 Kitaoka, Shinichi, "A 'Proactive Contribution to Peace' and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The Development of Security Policy in the Abe Administration" 21 (21): 1-18, 2014

      44 최운도, "21세기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일본의 안보전략, in 21세기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주요 국가의 안보전략"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4 0.83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