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엔군 참전·정전협정 체결 기념의 타당성 = Legal Propriety of Commemorating Participation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in the June 25 Korean War and Conclusion of the Korean Military Armistice Agre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57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Legal Propriety of Commemorating Participation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in the June 25 Korean War and Conclusion of the Korean Military Armistice Agreement(hereafter abbreviated as KMAA). It stresses it is necessary to ref...

      This paper investigates Legal Propriety of Commemorating Participation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in the June 25 Korean War and Conclusion of the Korean Military Armistice Agreement(hereafter abbreviated as KMAA). It stresses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long-time Korean tradition commemorating outbreak of June 25 Korean War only, considering the present security condition. It analyzes the meaning and role of KMAA in the process of national unification by adopting the international legal and political approach. This research finds that ① in the past, South Korea did not emphasize conclusion of KMAA on June 27, 1953 but outbreak of the June 25 Korean War in 1950, ② on the contrary, the day of July 27 KMAA conclusion is not only the day when South Korea repelled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with the support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but also the day when it defended freedom and democracy by suppressing the North Korean attempt to communize the whole Korea. Moreover the date is also a starting point of laying the foundation for soli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③ KMAA is now functioning as a military treaty which has a legally binding force on war participants and is a basis for a new peace regime, ④ positive role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UNC) which has a duty of enforcing KMAA is anticipated in the process of national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⑤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aise the UNC'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and give thanks to war veterans' sacrifice by holding "June 27 day" commemoration event fruitfully. In addition, it could make a good contribution to make younger generation perceive the meaning and role of KMAA correctly and foster a firm sense of country identity as well. Based upon such results, this research concretely discusses how to hold "June 27 day" commemoration ev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엔군 참전 및 정전협정 체결 기념의 타당성을 법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6.25전쟁 자체를 기념하던 종전의 인식에서 벗어나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

      본 연구는 유엔군 참전 및 정전협정 체결 기념의 타당성을 법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6.25전쟁 자체를 기념하던 종전의 인식에서 벗어나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군과 유엔군 주도로 체결된 정전협정을 분석의 틀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정전협정이 갖는 의미와 분단체제 및 통일과정에서 담당하는 역할을 국제법적 및 국제정치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우리나라는 6.25전쟁의 의미만을 강조하였고,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체결일은 기념하지 않았으나, 이 같은 관행은 현재의 한반도 안보환경에 비추어 재검토를 요구한다. ② 7.27 정전협정 체결일은 유엔군의 지원 하에 한국이 ‘공산군을 격퇴한 날’이자 북한의 공산화 기도를 저지한 ‘자유수호의 날’이며, ‘굳건한 한반도 평화의 토대를 마련한 시발점’이란 역사적·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③ 정전협정은 지금도 남북한 등 전쟁 당사자들을 법적으로 구속하는 군사조약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향후 평화체제로의 전환․구축을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다. ④ 정전협정 집행책임을 지고 있는 유엔군사령부는 통일과정에서 적지 않은 긍정적 역할도 기대된다. ⑤ 정부는 7.27 기념행사의 내실 있는 개최를 통해 유엔 참전국의 지원, 참전용사들의 수고와 희생을 기리고 감사하는 동시에, 자라나는 우리 젊은 세대들에게 정전협정의 의미와 역할을 올바로 깨닫게 함은 물론, 국가정체성에 대한 확고한 의식을 함양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7.27 기념행사의 추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성호, "한반도 평화체제의 모색: 법규범적 측면을 중심으로" 지평서원 2000

      2 김선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유엔사 문제에 대한 소고" 서울국제법연구원 12 (12): 85-105, 2005

      3 문성묵, "한반도 정전체제 60주년 의미와 향후 과제-, 정전협정 및 DMZ 60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코리아DMZ협의회․한국DMZ학회․통일연구원 2013

      4 이상철, "한반도 정전체제" KIDA 프레스 2012

      5 제성호, "한반도 안보환경하에서 정전협정의 역할과 미래관리체제" 한국국방연구원 29 (29): 9-42, 2013

      6 외무부, "한국통일문제, 1943년~1960년"

      7 조시현, "한국전쟁의 국제법적 성격 -무력행사금지의 원칙을 중심으로-" 41 (41): 2000

      8 유병화, "통일지향적 남북한관계의 법이론 연구" 국토통일원 1990

      9 김명기, "주한 국제연합군과 국제법" 국제문제연구소 1990

      10 국방부, "정전협정 관련 설명자료. 정책설명자료"

      1 제성호, "한반도 평화체제의 모색: 법규범적 측면을 중심으로" 지평서원 2000

      2 김선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유엔사 문제에 대한 소고" 서울국제법연구원 12 (12): 85-105, 2005

      3 문성묵, "한반도 정전체제 60주년 의미와 향후 과제-, 정전협정 및 DMZ 60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코리아DMZ협의회․한국DMZ학회․통일연구원 2013

      4 이상철, "한반도 정전체제" KIDA 프레스 2012

      5 제성호, "한반도 안보환경하에서 정전협정의 역할과 미래관리체제" 한국국방연구원 29 (29): 9-42, 2013

      6 외무부, "한국통일문제, 1943년~1960년"

      7 조시현, "한국전쟁의 국제법적 성격 -무력행사금지의 원칙을 중심으로-" 41 (41): 2000

      8 유병화, "통일지향적 남북한관계의 법이론 연구" 국토통일원 1990

      9 김명기, "주한 국제연합군과 국제법" 국제문제연구소 1990

      10 국방부, "정전협정 관련 설명자료. 정책설명자료"

      11 박치영, "유엔정치와 한국 문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12 정경영, "유엔사의 미래역할과 한국군과의 관계정립 방안. 2007년도 국회 국방위원회 정책연구용역과제 연구보고서" 국회 국방위원회 2007

      13 김동욱, "유엔군사령부의 법적 지위-, 정전협정과 휴전체제: 정치적, 법적 의미" 한국국제정치학회․대한국제법학회 2013

      14 국가보훈처, "유엔군 참전․정전 60주년: 함께 지켜온 60년, 함께 나아갈 60년"

      15 양영조, "알아봅시다! 6․25전쟁사. 제3권-고지쟁탈전과 휴전협정"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5

      16 김행복, "알아봅시다! 6․25전쟁사. 제2권-북한군 남침부터 중공군 개입까지"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5

      17 제성호, "북한 급변사태 시 한국의 국제법적 대응" 중앙법학회 15 (15): 159-202, 2013

      18 제성호, "남북한의 정전협정 인식과 한국의 정책과제" (15) : 2013

      19 제성호, "남북평화협정 체결에 따른 법적 제문제" 외교통상부 2 (2): 2003

      20 합동참모본부, "군사정전위원회 편람" 합참합동작전본부/유엔사 군정위연락단 2010

      21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국방조약집" 1 : 1981

      22 Higgins, Rosalyn, "United Nations Peacekeeping, 1946~1967: Documents and Commentary Ⅱ Asia" Oxford Univ. Press 1970

      23 Bowett, D. W, "United Nations Forces" Stevens 1964

      24 Visscher, Charles de, "Theory and Reality in Public International Law" Princeton Univ. Press 1956

      25 Russell, Ruth B, "The United Nations and the United States Security Policy" The Brookings Institution 1964

      26 Kelsen, Hans, "The Law of the United Nations" Frederik A. Praeger 1951

      27 Paige, G. D., "The Korean Decision" The Free Press 1968

      28 Goodrich, L. M, "Korea: A Study of United States Policy in the United Nations"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1956

      29 한국전략문제연구소, "KRIS 논평: 정전협정 체결 60주년 기념, 이대로 좋은가?" 2 (2): 2013

      30 Brownlie, Ian., "International Law and the Use of Force" The Clarendon 1963

      31 Schwarzenberger, G, "A Manual of International Law" Stevens 1967

      3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제1권 - 전쟁의 배경과 원인" 2005

      33 강윤진, "6.25전쟁 60주년 기념사업 추진배경과 주요성과" 국가보훈처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7-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Patriots And Veterns Affairs Studies -> The Korean Association for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Studies KCI등재후보
      2018-07-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al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 the Republic Korea -> Journal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 the Republic of Korea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 0.9 0.7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0.51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