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규범권력과 규범공공외교: 주브라질 EU대표부의 디지털 공공외교 활동을 중심으로 = Normative Power and Normative Public Diplomacy: The Case of Digital Public Diplomacy of the EU Delegation in Brazi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811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U and Brazil have maintained a cooperative relationship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ic partnership in 2007.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U's public diplomacy in Brazil us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normative public diplomacy'. Specifically, after reviewing the major areas and focus of digital public diplomacy conducted by the EU delegation in Brazil, this article attempts to deriv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EU's normative public diplomacy. To this end, 835 messages posted on the Facebook page of the EU Delegation in Brazil for about a year and seven months from June 2020 to December 2021 were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U focuses on the sharing and spread of the following normative values in developing public diplomacy in Brazil. The first is the spread of a series of political values and norms, such as democracy, human rights, women, and equality. The second is the spread of values for today's global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 norms. Finally, it is the spread of new international development norms and values centered on SDG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argues that the EU's public diplomacy in Brazil should be understood as normative public diplomacy aimed at enhancing normative power and further spreading universal values.
      번역하기

      The EU and Brazil have maintained a cooperative relationship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ic partnership in 2007.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U's public diplomacy in Brazil us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normative publ...

      The EU and Brazil have maintained a cooperative relationship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ic partnership in 2007.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U's public diplomacy in Brazil using the conceptual framework of 'normative public diplomacy'. Specifically, after reviewing the major areas and focus of digital public diplomacy conducted by the EU delegation in Brazil, this article attempts to deriv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EU's normative public diplomacy. To this end, 835 messages posted on the Facebook page of the EU Delegation in Brazil for about a year and seven months from June 2020 to December 2021 were analyz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U focuses on the sharing and spread of the following normative values in developing public diplomacy in Brazil. The first is the spread of a series of political values and norms, such as democracy, human rights, women, and equality. The second is the spread of values for today's global environmental and climate change norms. Finally, it is the spread of new international development norms and values centered on SDG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argues that the EU's public diplomacy in Brazil should be understood as normative public diplomacy aimed at enhancing normative power and further spreading universal val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EU와 브라질은 2007년 전략적 동반자관계 수립을 기점으로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EU의 대브라질 공공외교를 ‘규범공공외교’라는 개념적 틀을 활용해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주브라질 EU대표부가 수행하고 있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공공외교, 즉 디지털 공공외교의 주요 분야와 초점을 검토한 후 이를 통해 EU의 규범공공외교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6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지난 약 1년 7개월간 주브라질 EU대표부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포스팅된 835건의 메시지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EU는 대브라질 공공외교를 전개해 나감에 있어 다음과 같은 규범적 가치의 공유와 확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첫째는 민주주의, 인권, 여성, 평등과 같은 일련의 정치적 가치와 규범의 확산이다. 둘째, 오늘날 전 지구적 환경 및 기후변화 규범에 대한 가치의 확산이다. 마지막으로, SDGs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국제개발 및 발전 규범과 가치의 확산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EU의 대브라질 공공외교는 규범권력을 제고하고, 나아가 보편적 가치의 확산을 목적으로 하는 규범공공외교로 이해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번역하기

      EU와 브라질은 2007년 전략적 동반자관계 수립을 기점으로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EU의 대브라질 공공외교를 ‘규범공공외교’라는 개념적 틀을 활용...

      EU와 브라질은 2007년 전략적 동반자관계 수립을 기점으로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EU의 대브라질 공공외교를 ‘규범공공외교’라는 개념적 틀을 활용해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주브라질 EU대표부가 수행하고 있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공공외교, 즉 디지털 공공외교의 주요 분야와 초점을 검토한 후 이를 통해 EU의 규범공공외교에 대한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6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지난 약 1년 7개월간 주브라질 EU대표부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포스팅된 835건의 메시지를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EU는 대브라질 공공외교를 전개해 나감에 있어 다음과 같은 규범적 가치의 공유와 확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첫째는 민주주의, 인권, 여성, 평등과 같은 일련의 정치적 가치와 규범의 확산이다. 둘째, 오늘날 전 지구적 환경 및 기후변화 규범에 대한 가치의 확산이다. 마지막으로, SDGs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국제개발 및 발전 규범과 가치의 확산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EU의 대브라질 공공외교는 규범권력을 제고하고, 나아가 보편적 가치의 확산을 목적으로 하는 규범공공외교로 이해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세원, "한반도에서의 EU의 규범적 권력에 근거한 역할 조사 –북한관련 EU의 핵무기 확산방지 정책을 중심으로 -" 국제지역문화원 7 (7): 97-125, 2016

      2 김태환, "한국형 중견국 공공외교: 자유주의적, 구성주의적 접근" 국립외교원 2014

      3 정호윤, "한국-브라질 상호 간 디지털 공공외교 비교 연구: 양국주재 대사관의 소셜미디어 활용을 중심으로" 중남미연구소 40 (40): 35-62, 2021

      4 김태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도적 가치와 규범에 초점 맞춰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5 백수미 ; 문인오, "텍스트마이닝 및 CONCOR 분석을 활용한 환자안전문화 융복합 연구주제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359-367, 2021

      6 "주브라질 EU대표부 페이스북"

      7 "주브라질 EU대표부 웹사이트"

      8 이무성, "유럽연합(EU)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대한 연구: 양면성과 개념적 정의" 한국유럽학회 37 (37): 63-86, 2019

      9 정호윤,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EU 정치협력 인식 연구: 2011-2020년 국내 언론 기사를 중심으로" EU연구소 (57) : 193-2220, 2021

      10 고주현 ; 서은빈, "규범권력과 규범적 위협 개념을 바탕으로 본 EU 가치 훼손에 대한 EU의 대응 - EU의 헝가리·폴란드 법치주의 훼손 사건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EU연구소 (59) : 285-328, 2021

      1 정세원, "한반도에서의 EU의 규범적 권력에 근거한 역할 조사 –북한관련 EU의 핵무기 확산방지 정책을 중심으로 -" 국제지역문화원 7 (7): 97-125, 2016

      2 김태환, "한국형 중견국 공공외교: 자유주의적, 구성주의적 접근" 국립외교원 2014

      3 정호윤, "한국-브라질 상호 간 디지털 공공외교 비교 연구: 양국주재 대사관의 소셜미디어 활용을 중심으로" 중남미연구소 40 (40): 35-62, 2021

      4 김태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도적 가치와 규범에 초점 맞춰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5 백수미 ; 문인오, "텍스트마이닝 및 CONCOR 분석을 활용한 환자안전문화 융복합 연구주제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9 (19): 359-367, 2021

      6 "주브라질 EU대표부 페이스북"

      7 "주브라질 EU대표부 웹사이트"

      8 이무성, "유럽연합(EU)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대한 연구: 양면성과 개념적 정의" 한국유럽학회 37 (37): 63-86, 2019

      9 정호윤, "뉴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EU 정치협력 인식 연구: 2011-2020년 국내 언론 기사를 중심으로" EU연구소 (57) : 193-2220, 2021

      10 고주현 ; 서은빈, "규범권력과 규범적 위협 개념을 바탕으로 본 EU 가치 훼손에 대한 EU의 대응 - EU의 헝가리·폴란드 법치주의 훼손 사건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EU연구소 (59) : 285-328, 2021

      11 강상준,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규범 공공외교 모델과 사례 분석" 1 (1): 17-34, 2021

      12 외교부, "공공외교(Public Diplomacy)란?"

      13 European Parliament, "The Maastricht and Amsterdam Treaties"

      14 이무성, "The EU-South Korean Strategic Partnership: Normative Objectives in Mind" 국제지역문화원 11 (11): 179-204, 2020

      15 Azpiroz, Maria Luisa, "Soft Power and Public Diplomacy: The Case of the European Union in Brazil" USC Center on Public Diplomacy, Los Angeles: Figueroa Press 2015

      16 EU External Action Service, "Public Diplomacy"

      17 Manners, Ian, "Normative Power Europe: A Contradiction in Terms?" 40 (40): 235-258, 2002

      18 Azpiroz, Maria Luisa, "European Union Public Diplomacy through the EEAS: the cases of Argentina, Brazil and Mexico" 2014

      19 Weber, Max, "Economy and Society : An Outline of Interpretive Sociology" Bedminster Press 1968

      20 Sung, Yun-A, "Big Data Analysis of Korean Travelers’ Behavior in the Post-COVID-19 Era" 13 (13): 2021

      21 Etzioni, Amatai, "A Conmparative Analysis of Conmplex Organizations" Free Press 196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