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terns of theatrical reproduction of the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in Kim Min-jeong’s play, Hanako, based on the concept of “post-memory” by Marianne Hirsch, thus looking into its change in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terns of theatrical reproduction of the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in Kim Min-jeong’s play, Hanako, based on the concept of “post-memory” by Marianne Hirsch, thus looking into its change in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tterns of theatrical reproduction of the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sue in Kim Min-jeong’s play, Hanako, based on the concept of “post-memory” by Marianne Hirsch, thus looking into its change into a “post-memory generation” style and its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Kim’ s Hanako w as w ritten based on t he s tory o f “Leng Hun” f rom Cambodia that was introduced in South Korea in 1997 and created huge social ripple effects. Instead of remaining at the level of trapping itself within the “rhetoric of testimonies and true stories” or simply reproducing the pain of victims based on the testimonies of surviving victims in the “Comfort Women” system and the records of actual events, the play turned the issue of “Comfort Women” into a historical one and raised a problem with society’s attitude and eyes. The eyes and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the “post-memory generation” looking at the history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whose history has not been resolved yet, work as the most important driving force to move the play’s narrative forward. The play reorganizes the traumatic event of the previous generation in a new way by moving freely beyond the physical boundary of historical time and space and between testimonies and fictional imagination. It sheds light on the issue of “post-trauma” that has continued since the colonial days as well as the past suffering of the victims of “Comfort Women,” showing that the issue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 a current event continuing “here, now” rather than an account of the past. The play tries to expand the wounds and pain of the “Comfort Women” history into the ethical and practical issue of the community and create a sense of complicity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incestuous nature” or “blood relative imagination” that was imitated in the old narratives instead of reducing the history of “Comfort Women” to personal suffering or looking at it as part of the massive discourse about the “national hardship.” Such an attempt and work can be understood as a new ethical and aesthetical inquiry by a writer of the post-memory generation to contemplate, connect, and remember the history and pain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n a new way through its cultural reproduc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정, "하나코" 연극과인간 2020
2 구연정, "포스트메모리의 형식에 대한 소고 - W. G. 제발트와 마르쿠스 주작의 문학에 나타나는 ‘세대전이적 트라우마화’와 기억형식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회 57 (57): 99-115, 2016
3 배주연, "포스트메모리와 5.18-다큐멘터리 영화 <김군>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7) : 5-36, 2020
4 권은선, "증언, 트라우마, 서사–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의 일본군 ‘위안부’ 영화" 영화연구소 12 (12): 7-32, 2019
5 허윤, "좌담: 대중매체물을 통해 바라본 일본군 ‘위안부’의 재현”, 일본군‘위안부’ 문제연구소 웹진 결 2"
6 허윤, "일본군 ‘위안부’ 재현과 진정성의 곤경- 소녀와 할머니 표상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29) : 131-164, 2018
7 강경래, "위안부 피해자 영상의 “포스트-기억 세대” 양식으로의 변화와 사회문화적 함의 읽기" 인문학연구원 75 (75): 229-262, 2018
8 최영주, "위안부 문제의 연극적 재현- 한?일?미의 연극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연극학회 (18) : 89-118, 2002
9 테사 모리스-스즈키, "우리 안의 과거 : 미디어, 메모리, 히스토리" 휴머니스트 2006
10 심정순, "세 위안부 연극에 나타난 주체성, 윤리성, 글로벌 관객의 문제-<노을에 와서 노을에 가다> <나비>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회 (41) : 141-169, 2010
1 김민정, "하나코" 연극과인간 2020
2 구연정, "포스트메모리의 형식에 대한 소고 - W. G. 제발트와 마르쿠스 주작의 문학에 나타나는 ‘세대전이적 트라우마화’와 기억형식을 중심으로" 한국독어독문학회 57 (57): 99-115, 2016
3 배주연, "포스트메모리와 5.18-다큐멘터리 영화 <김군>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7) : 5-36, 2020
4 권은선, "증언, 트라우마, 서사– 한일 ‘위안부’ 합의 이후의 일본군 ‘위안부’ 영화" 영화연구소 12 (12): 7-32, 2019
5 허윤, "좌담: 대중매체물을 통해 바라본 일본군 ‘위안부’의 재현”, 일본군‘위안부’ 문제연구소 웹진 결 2"
6 허윤, "일본군 ‘위안부’ 재현과 진정성의 곤경- 소녀와 할머니 표상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29) : 131-164, 2018
7 강경래, "위안부 피해자 영상의 “포스트-기억 세대” 양식으로의 변화와 사회문화적 함의 읽기" 인문학연구원 75 (75): 229-262, 2018
8 최영주, "위안부 문제의 연극적 재현- 한?일?미의 연극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연극학회 (18) : 89-118, 2002
9 테사 모리스-스즈키, "우리 안의 과거 : 미디어, 메모리, 히스토리" 휴머니스트 2006
10 심정순, "세 위안부 연극에 나타난 주체성, 윤리성, 글로벌 관객의 문제-<노을에 와서 노을에 가다> <나비>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회 (41) : 141-169, 2010
11 소영현, "목격-증언의 자리와 공진하는 ‘위안부’의 몸" 구보학회 (22) : 673-702, 2019
12 박정원, "네루다, 라틴아메리카의 문화아이콘, 그리고 포스트메모리"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8 (28): 213-243, 2017
13 신현선, "기억의 정치 : 일본군 ‘위안부’와 포스트메모리- 애니메이션 <소녀이야기>와 <소녀에게>를 중심으로 -"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40 : 51-68, 2017
14 황정은, "人 The Stage: 전쟁의 비극, 우린 정말 다 알고 있을까" 뉴스컬처
15 김나볏, "“함께 기억해야 하는 아픔 : 극단 물리 <하나코>”, 웹진 연극in 82"
16 "“비인륜적이고 비상식적인 국가권력에 저항하고 싶었다” 위안부 피해자 연극 <하나코> 작가 김민정"
17 "“끝나지 않은 폭력의 역사 <하나코>”, 웹진 문화 多 4"
18 김청강, "‘위안부’는 어떻게 잊혀 졌나? 1990년대 이전 대중영화 속 ‘위안부’ 재현" 동아시아문화연구소 (71) : 149-193, 2017
19 권은선, "‘용납할 수 없는 것’을 이미지화 한다는 것의 의미: 영화 <귀향>의 성/폭력 재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원 34 (34): 3-28, 2017
20 Hirsch, Marianne, "Poetic today 29(1)" Duke University Press 103-128, 2008
21 Hirsch, Marianne, "Family Frames : Photography, Narrative, and Postmemory" Harvard UP 1997
22 Lucie Angheben, "De l’indicible du témoignage au non-dicible de la fiction : vers une nouvelle représentation de Gwangju dans la littérature coréenne? - Autour de la nouvelle « Alors que faut-il chanter? » de Park Sol-moe et de sa traduction en français" 국제비교한국학회 26 (26): 173-211, 2018
포스트휴머니즘으로서의 바이오아트-<대전비엔날레 2018: 바이오>의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윤종신의 발라드 작곡 기법에 관한 고찰-2017년 <월간 윤종신> 앨범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 ![]() |
2022-03-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4-03-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