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 성종조 거버넌스체제 변화과정 분석 = The Analysis on the Change of Governance Structure during the Ruling Period of SeongJong in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51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eight kings before King Seongjong have mostly taken over the throne by themselves or inherited the throne from their fathers. In that respect, SeongJong’s succession to the throne was quite unusual. He did not take the throne himself, nor did he inherit it from his father, the king. He was not even the oldest son. His succession, moreover, cast doubt on the legitimacy of ‘GyeYooJungNan’ that caused by his grandfather, King Sejo, who abolished his 12-year-old nephew, Danjong, for strengthening his royal power.
      The political base of King Seongjong, who took over the throne at an early age, was very weak. There were political groups such as the Great Queen Jeong-hee, Han Myeong-hui and Shin Sook-joo who represented ‘WonSang(院相)’ as sponsors, but they also served as a limiting factor for the royal authority on the other hand. Perhaps the best thing that King Seongjong could do under these restrictions was to get a sincere royal education. King Seongjong received daily royal education(‘KyungYeon’) for these faithful monarchs from the beginning of the throne. So he went on to form what he called a good monarch, a sincere and diligent monarch.
      As part of his efforts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after the abolition of regency by his grand-mother and the WonSang system, King Seongjong set up the HongMunKwan, appointed a close figure to him to SeungJeongWon, and appointed Kim Jong-jik who called as the representative of new and emerging forces to central government posts. This was intended to change the existing governance system. SeongJong's politics, which prevents power from being concentrated only on certain forces and makes good use of the check and balances among political groups, was certainly a “ninth-degree political strategy.” Based on the stabilization of this political governance system, King Seongjong achieved many achievements and became one of the greatest monarchs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ing Seongjong's reign was analyzed for data mining and network analysis by time. The study may also find its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political transformation of the Yeonsan-gun era after the death of King Seongjong.
      번역하기

      Since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eight kings before King Seongjong have mostly taken over the throne by themselves or inherited the throne from their fathers. In that respect, SeongJong’s succession to the throne was quite unusual. He d...

      Since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eight kings before King Seongjong have mostly taken over the throne by themselves or inherited the throne from their fathers. In that respect, SeongJong’s succession to the throne was quite unusual. He did not take the throne himself, nor did he inherit it from his father, the king. He was not even the oldest son. His succession, moreover, cast doubt on the legitimacy of ‘GyeYooJungNan’ that caused by his grandfather, King Sejo, who abolished his 12-year-old nephew, Danjong, for strengthening his royal power.
      The political base of King Seongjong, who took over the throne at an early age, was very weak. There were political groups such as the Great Queen Jeong-hee, Han Myeong-hui and Shin Sook-joo who represented ‘WonSang(院相)’ as sponsors, but they also served as a limiting factor for the royal authority on the other hand. Perhaps the best thing that King Seongjong could do under these restrictions was to get a sincere royal education. King Seongjong received daily royal education(‘KyungYeon’) for these faithful monarchs from the beginning of the throne. So he went on to form what he called a good monarch, a sincere and diligent monarch.
      As part of his efforts to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after the abolition of regency by his grand-mother and the WonSang system, King Seongjong set up the HongMunKwan, appointed a close figure to him to SeungJeongWon, and appointed Kim Jong-jik who called as the representative of new and emerging forces to central government posts. This was intended to change the existing governance system. SeongJong's politics, which prevents power from being concentrated only on certain forces and makes good use of the check and balances among political groups, was certainly a “ninth-degree political strategy.” Based on the stabilization of this political governance system, King Seongjong achieved many achievements and became one of the greatest monarchs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King Seongjong's reign was analyzed for data mining and network analysis by time. The study may also find its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the political transformation of the Yeonsan-gun era after the death of King Seongjo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건국이후 성종이전까지 8대 국왕들의 왕위는 자신들이 스스로 쟁취하거나, 부왕에 의해 세자로 책봉되어 계승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 점에서 성종의 왕위 계승은 상당히 이례적으로 본인 스스로 쟁취한 것도 아니고, 세자의 신분으로 계승한 것도 아니며 하물며 적장자도 아니며 아버지가 국왕도 아니었다. 게다가 할아버지 세조가 왕권강화를 이유로 12살의 어린 조카 단종을 폐위시킨 계유정난의 정당성마저 의구심을 낳게 하는 계승이었다.
      어린 나이에 왕위를 물려받은 성종의 정치적 기반은 매우 빈약했다. 후원자로서 정희왕후와 원상을 대표하는 한명회, 신숙주 등의 정치 그룹이 있었지만 이는 다른 한편에서는 왕권을 제약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하였다. 이러한 제약 속에서 어쩌면 성종이 가장 잘할 수 있었던 것은 성실하게 국왕 교육을 받는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성종의 이러한 성실한 군주의 모습은 초창기부터 조강, 주강, 석강 등을 매일 실시함으로써 소위 착한 군주, 성실하고 근면한 군주상을 형성해 나아갔다.
      수렴청정제와 원상제 폐지이후 성종은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종전의 거버넌스에 변화를 주기 위해 홍문관을 설치하고, 승정원에 친위그룹을 배치하고, 새로운 신진세력의 대명사로 불리는 김종직 등을 중앙관직에 출사시켰다. 이를 통해 공신과 대신세력으로 대표되는 원상그룹과 종전의 사헌부와 사간원 중심의 대간세력들에게 변화를 주어 새로운 정치지형을 구축하여 왕권의 안정화를 도모하였다. 이처럼 특정세력에게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치집단들 간의 균제와 균형을 잘 활용한 성종의 정치술은 가히 ‘정치 9단’이라할 만 했다. 성종은 이러한 정치체제의 안정화를 바탕으로 많은 업적을 달성함으로써 성군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번역하기

      조선 건국이후 성종이전까지 8대 국왕들의 왕위는 자신들이 스스로 쟁취하거나, 부왕에 의해 세자로 책봉되어 계승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 점에서 성종의 왕위 계승은 상당히 이례...

      조선 건국이후 성종이전까지 8대 국왕들의 왕위는 자신들이 스스로 쟁취하거나, 부왕에 의해 세자로 책봉되어 계승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 점에서 성종의 왕위 계승은 상당히 이례적으로 본인 스스로 쟁취한 것도 아니고, 세자의 신분으로 계승한 것도 아니며 하물며 적장자도 아니며 아버지가 국왕도 아니었다. 게다가 할아버지 세조가 왕권강화를 이유로 12살의 어린 조카 단종을 폐위시킨 계유정난의 정당성마저 의구심을 낳게 하는 계승이었다.
      어린 나이에 왕위를 물려받은 성종의 정치적 기반은 매우 빈약했다. 후원자로서 정희왕후와 원상을 대표하는 한명회, 신숙주 등의 정치 그룹이 있었지만 이는 다른 한편에서는 왕권을 제약하는 요인으로도 작용하였다. 이러한 제약 속에서 어쩌면 성종이 가장 잘할 수 있었던 것은 성실하게 국왕 교육을 받는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성종의 이러한 성실한 군주의 모습은 초창기부터 조강, 주강, 석강 등을 매일 실시함으로써 소위 착한 군주, 성실하고 근면한 군주상을 형성해 나아갔다.
      수렴청정제와 원상제 폐지이후 성종은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종전의 거버넌스에 변화를 주기 위해 홍문관을 설치하고, 승정원에 친위그룹을 배치하고, 새로운 신진세력의 대명사로 불리는 김종직 등을 중앙관직에 출사시켰다. 이를 통해 공신과 대신세력으로 대표되는 원상그룹과 종전의 사헌부와 사간원 중심의 대간세력들에게 변화를 주어 새로운 정치지형을 구축하여 왕권의 안정화를 도모하였다. 이처럼 특정세력에게만 권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치집단들 간의 균제와 균형을 잘 활용한 성종의 정치술은 가히 ‘정치 9단’이라할 만 했다. 성종은 이러한 정치체제의 안정화를 바탕으로 많은 업적을 달성함으로써 성군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2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3 이정철, "조선시대 사림의 기원과 형성 과정" 조선시대사학회 (73) : 7-42, 2015

      4 남지대, "조선 성종대의 대간언론" 12 : 105-171, 1985

      5 강제훈, "조선 성종대 朝會儀式과 朝會 운영" 고려사학회 (27) : 45-81, 2007

      6 심재권, "연산군 통치기간의 국정 지배구조변화에 관한 연결망분석" 한국행정사학회 (41) : 125-151, 2017

      7 심재권, "세종 통치기간중 주요 국정참여자의네트워크변화 분석" 한국행정사학회 (39) : 155-182, 2016

      8 최승희, "성종조의 국정운영체제와 왕권" 10 : 39-168, 2001

      9 송응섭, "성종의 즉위와 국정운영방식의 변화" 49 : 210-241, 2014

      10 김용학, "사회연결망분석" 박영사 2016

      1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2 "조선왕조실록 홈페이지"

      3 이정철, "조선시대 사림의 기원과 형성 과정" 조선시대사학회 (73) : 7-42, 2015

      4 남지대, "조선 성종대의 대간언론" 12 : 105-171, 1985

      5 강제훈, "조선 성종대 朝會儀式과 朝會 운영" 고려사학회 (27) : 45-81, 2007

      6 심재권, "연산군 통치기간의 국정 지배구조변화에 관한 연결망분석" 한국행정사학회 (41) : 125-151, 2017

      7 심재권, "세종 통치기간중 주요 국정참여자의네트워크변화 분석" 한국행정사학회 (39) : 155-182, 2016

      8 최승희, "성종조의 국정운영체제와 왕권" 10 : 39-168, 2001

      9 송응섭, "성종의 즉위와 국정운영방식의 변화" 49 : 210-241, 2014

      10 김용학, "사회연결망분석" 박영사 2016

      11 김 범, "사화와 반정의 시대" 역사의 아침 2015

      12 심재권, "병자호란중 남한산성내에서의 주요 국정운영자들의 담론분석" 한국행정사학회 (43) : 101-131, 2018

      13 Song Yang,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Methodology" SAGE 2017

      14 Prell, Christina., "Social Network Analysis: History, Theory & Methodology" SAGE 2012

      15 Borgatti, P. Stephen, "Analyzing Social Networks" SAGE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ssociation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행정사학회 -> 한국행정사학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2 0.2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43 0.55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