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들의 메타인지가 무용공연수행에 있어 중요한 심리적 요소인 공연불안과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67965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5(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들의 메타인지가 무용공연수행에 있어 중요한 심리적 요소인 공연불안과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
본 연구는 무용전공대학생들의 메타인지가 무용공연수행에 있어 중요한 심리적 요소인 공연불안과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경기, 경상지역에 소재한 4년제대학에 재학중인 무용전공대학생 총 22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설문지의 설문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토한 후 사용하였으며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메타인지는 공연자신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메타인지는 공연불안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공연자신감은 공연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메타인지와 공연불안의 영향관계에서 공연자신감은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메타인지는 스스로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능력 및 인지활동에 대한 조절능력으로, 무용수들은 메타인지 능력을 향상시켜 공연자신감을 상승시키고 공연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잘파악하여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는 바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Meta-cognition of dance majors on performance anxiety, an important psychological factor in dance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 confidence. To achieve this go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Meta-cognition of dance majors on performance anxiety, an important psychological factor in dance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formance confidence.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survey of a total of 226 dance majors in Seoul, Gyeonggi, and Gyeongsang regions. Through the result, Meta-cogni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er formance confidence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anxiety. Performance confidence had a partial me 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on and performance anxiety. Meta-cognition is the ability to reflect on oneself and to control cognitive activities. So dancers should improve their Meta-cognition ability to in crease performance confidence and relieve performance anxiety.
확장된 계획행동모델을 적용한 무용전공자의 열정에 관한 연구
무용전공 예술고등학생의 교사지지와 그릿, 번아웃의 관계
전체적 주의초점(HF)이 일반 초보자의 한국무용 동작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연풍대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