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 직업교육에서의 간호조무사 양성 현황 및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Current Status of Nursing Assistant Training and Curriculum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22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per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which foster nursing assistants whose demand is constantly increasing in the medical field, and to find the way to improve it. To this end, this was analyzed by collecting the curriculum organization table of 55 high schools operating curriculum(Health & Welfare subjects group) that can train nursing assistants as of 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rsing-related department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re continuously increasing each year, and as of 1993 when nursing departments were first established. Second, it showed that most of the school types running a training course for nursing assistants were the vocational high schools(83.6%), followed by the regular high schools(10.9%), the accredited schools(5.5%).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the curriculum(Health & welfare subjects group) to foster nursing assistants, for the basic subjects, it was organized and operated in the order of the basic of nursing and basic nursing clinical practice(100.0%), public health(90.9%), human structure and function(67.3%), human development(65.5%), and health care(52.7%), and it showed big differences by schools and subject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urriculum, which trains nursing assistants, infringe on students' rights for learning and resting because the practice is operating during the vacation, not a regular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model for nursing curriculum for the quality control of the curriculum to train personnel who successfully act as nursing assistants focusing on core educational content regardless of the types or subjects of schoo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per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which foster nursing assistants whose demand is constantly increasing in the medical field, and to find the way to improve it. To this 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per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which foster nursing assistants whose demand is constantly increasing in the medical field, and to find the way to improve it. To this end, this was analyzed by collecting the curriculum organization table of 55 high schools operating curriculum(Health & Welfare subjects group) that can train nursing assistants as of 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rsing-related department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re continuously increasing each year, and as of 1993 when nursing departments were first established. Second, it showed that most of the school types running a training course for nursing assistants were the vocational high schools(83.6%), followed by the regular high schools(10.9%), the accredited schools(5.5%).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the curriculum(Health & welfare subjects group) to foster nursing assistants, for the basic subjects, it was organized and operated in the order of the basic of nursing and basic nursing clinical practice(100.0%), public health(90.9%), human structure and function(67.3%), human development(65.5%), and health care(52.7%), and it showed big differences by schools and subject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urriculum, which trains nursing assistants, infringe on students' rights for learning and resting because the practice is operating during the vacation, not a regular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model for nursing curriculum for the quality control of the curriculum to train personnel who successfully act as nursing assistants focusing on core educational content regardless of the types or subjects of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의료계 현장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간호조무사를 양성하고 있는 중등 직업교육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학년도 현재 간호조무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보건・복지 교과군)을 운영하는 55개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직업교육에서 간호 관련 학과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간호과가 최초로 개설된 1993년 대비 2019년 현재, 학급 수는 3,414.3%, 학생 수는 1,578.2% 증가하였다. 둘째, 간호조무사 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특성화고는 83.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일반고(10.9%), 학력인정학교(5.5%)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성화고의 경우 상업고(40.4%), 가사고(21.1%), 공업고(8.8%), 실업고(7.0%), 농림업고(3.5%) 순으로 나타나 계열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인 55개 학교의 보건・복지 교과군의 기초과목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간호의 기초(100.0%), 기초 간호 임상 실무(100.0%), 공중 보건(90.9%), 인체 구조와 기능(67.3%), 인간 발달(65.5%), 보건 간호(52.7%) 순으로 편성・운영되고 있었으며, 그 양상은 학교 유형별, 계열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간호조무사의 현장 실무 향상을 위해 실시하는 현장실습의 경우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방학을 이용한 780시간의 실습을 하고 있어 학생들의 학습권, 휴식권을 침해하는 등이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중등 직업교육을 통해 기초지식과 현장 실무 역량을 함양한 간호조무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유형, 계열 등 학교 여건 및 환경과 무관하게 보건・복지 교과군의 교육과정 질 관리를 할 수 있는 ‘간호조무사 양성 교육과정 표준 모델(안)’ 개발과 함께 현장실습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의료계 현장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간호조무사를 양성하고 있는 중등 직업교육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학년도 ...

      본 연구는 의료계 현장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간호조무사를 양성하고 있는 중등 직업교육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학년도 현재 간호조무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과정(보건・복지 교과군)을 운영하는 55개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직업교육에서 간호 관련 학과는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간호과가 최초로 개설된 1993년 대비 2019년 현재, 학급 수는 3,414.3%, 학생 수는 1,578.2% 증가하였다. 둘째, 간호조무사 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특성화고는 83.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일반고(10.9%), 학력인정학교(5.5%)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성화고의 경우 상업고(40.4%), 가사고(21.1%), 공업고(8.8%), 실업고(7.0%), 농림업고(3.5%) 순으로 나타나 계열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인 55개 학교의 보건・복지 교과군의 기초과목 개설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간호의 기초(100.0%), 기초 간호 임상 실무(100.0%), 공중 보건(90.9%), 인체 구조와 기능(67.3%), 인간 발달(65.5%), 보건 간호(52.7%) 순으로 편성・운영되고 있었으며, 그 양상은 학교 유형별, 계열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간호조무사의 현장 실무 향상을 위해 실시하는 현장실습의 경우 정규 교육과정이 아닌 방학을 이용한 780시간의 실습을 하고 있어 학생들의 학습권, 휴식권을 침해하는 등이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중등 직업교육을 통해 기초지식과 현장 실무 역량을 함양한 간호조무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교 유형, 계열 등 학교 여건 및 환경과 무관하게 보건・복지 교과군의 교육과정 질 관리를 할 수 있는 ‘간호조무사 양성 교육과정 표준 모델(안)’ 개발과 함께 현장실습 개선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 유선주, "한국, 미국, 일본의 간호인력 양성 및 활동 현황 비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75-287, 2013

      3 윤인경,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운영 현황 및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9-46, 2016

      4 송수정,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방안"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9

      5 곽미선,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사의 직무수행 실태 분석" 한국산업교육학회 (33) : 143-168, 2016

      6 허영준, "직업계고 전환학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9

      7 이시균,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6~2026" 한국고용정보원 2017

      8 이수정, "중등학교 ‘간호’ 표시과목의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체계화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9

      9 교육부, "중등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 1. 2018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 사업 ①2018년 신규사업단 선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

      10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1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 유선주, "한국, 미국, 일본의 간호인력 양성 및 활동 현황 비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75-287, 2013

      3 윤인경,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운영 현황 및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9-46, 2016

      4 송수정,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방안"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9

      5 곽미선, "특성화고등학교 간호과 교사의 직무수행 실태 분석" 한국산업교육학회 (33) : 143-168, 2016

      6 허영준, "직업계고 전환학기 운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9

      7 이시균,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2016~2026" 한국고용정보원 2017

      8 이수정, "중등학교 ‘간호’ 표시과목의 기본이수과목(또는 분야)체계화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9

      9 교육부, "중등 직업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 1. 2018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 사업 ①2018년 신규사업단 선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

      10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11 "보건복지통계연보"

      12 "보건복지부"

      13 교육부, "모습 바꾸는 직업계고, 학과개편으로 신산업 인재 육성한다"

      14 "대한간호조무사협회"

      1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6 최동선,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과정 수정 개발 정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17 최동선,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고교 직업교육 교과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부, 서울특별시교육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18 "국가법령정보센터"

      19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20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특성화고등학교(또는 전문계고등학교) 과정별 학생수"

      21 김이경, "교육정책 변화에 따른 고등학교 상치교사 동향 분석: 2008-2013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213-233, 2015

      22 박월성, "간호학원 재학생의 학습동기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7

      23 김승일, "간호조무사의 직업만족과 전문직업성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1

      24 이순희, "간호조무사 직무분석 연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17

      25 정영호, "간호조무사 직무 및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의학연구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26 보건복지부, "간호조무사 교육훈련기관 지정ㆍ평가 운영지침"

      27 이유리, "간호업무 관련 의료법 개정의 의의와 향후 과제" 한국의료법학회 25 (25): 133-152, 2017

      28 이명옥,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인력의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 대학원 2018

      29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pageSize=10&searchKeyword=%EA%B0%84%ED%98%B8"

      30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86804&ancYd=20080415&ancNo=00010&efYd=20080415&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0000"

      31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58045&ancYd=20030922&ancNo=00260&efYd=20030922&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0000"

      32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38682&ancYd=20130401&ancNo=00191&efYd=20130401&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0000"

      33 Ingersoll, R., "The problem of out-of-field teaching" 79 (79): 73-776, 1998

      34 한국고용정보원, "2019 한국 직업 전망" 2019

      35 한국관광공사, "2018 한국 의료‧웰니스 관광 해외 인지도 조사 보고서" 2018

      36 장명희, "2011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의 가사·실업계열 전문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교육과학기술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