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대나 히스토그램과 같은 그래픽 요소는 통계자료의 탐색적 분석을 위한 정보 시각화 도구로 자주 활용되어왔다. 이에 비해단계구분도나 유선도와 같은 전통적 주제도는 지리참조된 통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막대나 히스토그램과 같은 그래픽 요소는 통계자료의 탐색적 분석을 위한 정보 시각화 도구로 자주 활용되어왔다. 이에 비해단계구분도나 유선도와 같은 전통적 주제도는 지리참조된 통계...
막대나 히스토그램과 같은 그래픽 요소는 통계자료의 탐색적 분석을 위한 정보 시각화 도구로 자주 활용되어왔다. 이에 비해단계구분도나 유선도와 같은 전통적 주제도는 지리참조된 통계자료의 공간 분포 및 패턴 분석을 위한 유용한 시각화 기법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통계학 분야에서 최근 제안된 연결형 마이크로맵은 공간통계자료의 탐색적 분석을 위한 효과적인 시각화 도구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자치구를 대상으로 생산된 공간통계자료를 시각화할 수 있는 연결형 마이크로맵을 R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기존 주제도와 차별적인 연결형 마이크로맵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결형 마이크로맵은 전통적 주제도의 한계를 해결하고 정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각화 기법으로서 그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raphic elements, e.g., bar and histogram, have been widely utilized as a tool of information visualizationfor the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of spatial statistics data. Meanwhile, conventional thematic map such as choropleth and flow maps has b...
Graphic elements, e.g., bar and histogram, have been widely utilized as a tool of information visualizationfor the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of spatial statistics data. Meanwhile, conventional thematic map such as choropleth and flow maps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efficient visualization method in discov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pattern of georeferenced statistics data. However, the interest of linked micromap (LM), first proposedin statistics academia, is being grown as an useful method for EDA recently. This research implemented the LM with R programming language in order to visualize spatial statistics data information of Seoul Metropolitan City, and it provided some results of LM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distinct features of LM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thematc maps. LM-based visualization is anticipated to gather more interests in many academic fields due to it’s functional ability to minimize information loss of spatial statistics dat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표, "통계정보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통계지도 제작방안" 29 : 81-96, 2000
2 박세진, "연결형 마이크로맵 도표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통계청 18 (18): 111-127, 2013
3 박가인비, "속성자료 조작에 의한 가산적 도형표현도와 반원형 도형표현도 제작" 한국지도학회 13 (13): 59-72, 2013
4 이건학, "센서스 GIS와 지리통계시스템의 구축" 통계청 16 (16): 1-21, 2011
5 황만익, "디지털 국토통계지도의 주제항목선정과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2 (2): 27-49, 2002
6 국토지리정보원,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국토교통부 2015
7 Pickle, L. W., "micromapST: Exploring and communicating geogaptial patterns in US state data" 63 (63): 1-25, 2015
8 Kennedy, S., "Unclassed choropleth map revisited:some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unclassed and classed choropleth maps" 31 (31): 16-25, 1994
9 Resch, B., "Towards 4D cartography – four-dimensional dynamic maps for understanding spatio-temporal correlations in lightning events" 50 (50): 266-275, 2013
10 Slocum, T.A., "Thematic Cartography and Visualization" Prentice Hall 1999
1 김영표, "통계정보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통계지도 제작방안" 29 : 81-96, 2000
2 박세진, "연결형 마이크로맵 도표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통계청 18 (18): 111-127, 2013
3 박가인비, "속성자료 조작에 의한 가산적 도형표현도와 반원형 도형표현도 제작" 한국지도학회 13 (13): 59-72, 2013
4 이건학, "센서스 GIS와 지리통계시스템의 구축" 통계청 16 (16): 1-21, 2011
5 황만익, "디지털 국토통계지도의 주제항목선정과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2 (2): 27-49, 2002
6 국토지리정보원, "대한민국 국가지도집" 국토교통부 2015
7 Pickle, L. W., "micromapST: Exploring and communicating geogaptial patterns in US state data" 63 (63): 1-25, 2015
8 Kennedy, S., "Unclassed choropleth map revisited:some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unclassed and classed choropleth maps" 31 (31): 16-25, 1994
9 Resch, B., "Towards 4D cartography – four-dimensional dynamic maps for understanding spatio-temporal correlations in lightning events" 50 (50): 266-275, 2013
10 Slocum, T.A., "Thematic Cartography and Visualization" Prentice Hall 1999
11 Tufte, E.R., "The Visual Display of Quantitative Information" Graphics Press 1983
12 Elzen, S.V.D, "Small multiples, large singles: a new approach for visual data exploration" 32 (32): 191-200, 2013
13 민인식, "STATA를 이용한 통계지도 작성법(2)" 1 (1): 19-27, 2008
14 민인식, "STATA를 이용한 통계지도 작성법(1)" 1 (1): 1-18, 2008
15 Olsen, A.R., "Presentation of data in linked attribute and geographic space" 1996
16 Payton, Q. C., "Micromap: A package for linked micromaps" 63 (63): 1-16, 2015
17 International Cartographic Association, "Map of the Month 9/2011: the Beautiful Game" 2011
18 McManus, M, "Linked micropmaps: statistical summaries of aquatic monitoring data in a spatial context"
19 Carr, D. B., "Linked micromap plots: named and described" 9 (9): 24-32, 1998
20 Symanzik, J., "Linked micromap plots for South America – general design considrations and specific adjustments" 37 (37): 51-469, 2014
21 National Cancer Institute, "Linked Micromaps"
22 MacEachren, A.M., "Geography’s Inner Worlds" Rutgers University Press 99-137, 1992
23 MacEachren, A.M, "Geographic visuzalization: designing manipulable maps for exploring temporally varying georeferenced statistics" 1998
24 김감영, "GIS 발달에서 미국 센서스국의 역할" 한국지도학회 11 (11): 53-68, 2011
25 Turkey, J.W., "Exploratory Data Analysis" Addison-Wesley 1977
26 Carr, D.B., "Emphasizing statistical summaries and showing spatial context with micromaps" 7 (7): 16-23, 1996
27 Carr, D. B., "Converting Plots to Tables" Center for Computational Statistics, George Mason University 1994
28 Battersby, S.E., "Considerations in design of transition behaviors for dynamic thematic maps" 65 : 16-69, 2010
29 Unwin, A, "Computational Statistics and Data Visualization"
30 Robert G Cromley, "Choropleth map legend design for visualizing community health disparities" Springer Nature 8 (8): 52-, 2009
31 Kraak, M.J, "Cartography:Visualization of Geospatial Data" Harlow, Person Education Ltd. 2010
32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creage by State for Harvested Cropland, Corn, Soybeans, Wheat, Hay, and Cotton"
33 Slocum, T. A., "A qualitative evaluation of MapTime, a program for exploring spatiotemporal point data" 39 (39): 43-68, 2004
34 정인철, "19세기 후반부에 발행된 프랑스 『통계 그래픽 앨범』에 수록된 지도의 지도학적 특성" 한국지도학회 14 (14): 1-13, 2014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한 천연 라텍스 산출량 요인분석: 중국 운남성 시솽반나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4 | 1.04 | 0.7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71 | 0.964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