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9037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아동학과 , 2017. 2. 졸업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0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The effects of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on child’s emotional competence : Meditating effect of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 형태사항

        vi, 72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나나
        참고문헌: p. 46-62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on emotional competence through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Mothers of three to five-years old pre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via questionnaires regarding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and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on of anger/frustration and sad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and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though the expression of fear was related with only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Second, when it comes to meditation effects,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partially medit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emotional competence.
      Taken together, this study revealed the meditating role of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to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on emotional competence. Such result of this study may be expected to use as effective resource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on emotional competence through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Mothers of three to five-years old pre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ga...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on emotional competence through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Mothers of three to five-years old pre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via questionnaires regarding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and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on of anger/frustration and sad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and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though the expression of fear was related with only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Second, when it comes to meditation effects,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partially medit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emotional competence.
      Taken together, this study revealed the meditating role of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to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on emotional competence. Such result of this study may be expected to use as effective resource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 및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이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3-5세 유아 289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을 측정하기 위해 Rothbart, Ahadi와 Hershey(1994)가 개발하고 권연희(2002)가 수정, 보완한 아동 행동 질문지(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CBQ])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은 Gottman, Katz와 Hooven(1997)이 개발한 상위정서이론에 근거한 척도를 Hakim-Larson, Parker, Lee, Goodwin과 Voelker(2006)가 수정한 ERPSST-L(Emotion-Related Parenting Styles Self-Test-Likert)의 축약형(Paterson et al., 2012)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Salovye와 Mayer(1996)의 정서지능 모형을 근거로 이병래(1997)가 제작한 ‘5세용 정서지능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t-test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분석은 Baron과 Kenny(1986)의 삼단계 모형을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의 하위요인 간 상관과 관련하여, 분노/좌절과 슬픔의 표현은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두려움의 표현은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과만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분노/좌절의 표현이 타인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코칭 양육행동, 유아의 분노/좌절의 표현이 타인조절/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코칭 양육행동, 유아의 분노/좌절의 표현이 타인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불확실성 양육행동이, 그리고 유아의 슬픔의 표현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을 통해 매개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건강한 정서발달을 위한 실질적인 양육행동을 제시하며 유아에게 긍정적인 정서사회화를 제공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 및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 및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이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3-5세 유아 289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을 측정하기 위해 Rothbart, Ahadi와 Hershey(1994)가 개발하고 권연희(2002)가 수정, 보완한 아동 행동 질문지(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CBQ])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은 Gottman, Katz와 Hooven(1997)이 개발한 상위정서이론에 근거한 척도를 Hakim-Larson, Parker, Lee, Goodwin과 Voelker(2006)가 수정한 ERPSST-L(Emotion-Related Parenting Styles Self-Test-Likert)의 축약형(Paterson et al., 2012)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Salovye와 Mayer(1996)의 정서지능 모형을 근거로 이병래(1997)가 제작한 ‘5세용 정서지능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t-test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분석은 Baron과 Kenny(1986)의 삼단계 모형을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의 하위요인 간 상관과 관련하여, 분노/좌절과 슬픔의 표현은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두려움의 표현은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과만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분노/좌절의 표현이 타인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코칭 양육행동, 유아의 분노/좌절의 표현이 타인조절/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코칭 양육행동, 유아의 분노/좌절의 표현이 타인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불확실성 양육행동이, 그리고 유아의 슬픔의 표현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을 통해 매개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건강한 정서발달을 위한 실질적인 양육행동을 제시하며 유아에게 긍정적인 정서사회화를 제공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6
      • A. 정서적 유능성 6
      • B. 부정적 정서성과 정서적 유능성 9
      • C. 정서관련 양육행동과 정서적 유능성 10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 6
      • A. 정서적 유능성 6
      • B. 부정적 정서성과 정서적 유능성 9
      • C. 정서관련 양육행동과 정서적 유능성 10
      • D. 부정적 정서성과 정서관련 양육행동 13
      • E. 부정적 정서성, 정서관련 양육행동 및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 15
      • Ⅲ. 연구문제 및 용어 정의 17
      • A. 연구문제 17
      • B. 용어 정의 18
      • Ⅳ. 연구방법 20
      • A. 연구대상 20
      • B. 조사도구 22
      •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4
      • Ⅴ. 연구결과 27
      • A. 예비분석 27
      • B. 부정적 정서성, 정서관련 양육행동 및 정서적 유능성 간의 상관관계 27
      • C.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관련 양육행동의 매개적 역할 31
      • Ⅵ. 논의 및 결론 39
      • 참고문헌 46
      • 부록(설문지) 63
      • ABSTRACT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