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가정과 외국인 근로자 가정과 그 자녀들을 중심으로 유아교육 기관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적응현황 및 유아교육 기관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649985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학위논문(석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유아교육학과유아교육전공 유아교육 , 2023. 2
2023
한국어
충청북도
v, 66 ; 26 cm
지도교수: 김경철
I804:43012-00000004056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가정과 외국인 근로자 가정과 그 자녀들을 중심으로 유아교육 기관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적응현황 및 유아교육 기관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가정과 외국인 근로자 가정과 그 자녀들을 중심으로 유아교육 기관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 기관에서의 적응현황 및 유아교육 기관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를 위해 실시하는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의 실시현황 및 유아교사의 다문화 가정 유아 지도를 위한 요구 조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적은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다문화 가정 유아 지도 현황 및 적응 상황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다문화 가정 유아의 지도를 위한 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음성군의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중 어린이집 43곳과 유치원 23곳의 다문화가정유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및 주요 내용들을 연구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 적응 상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문화 가정 유아의 행동을 살펴본 결과, 또래관계에서 행동중 혼자놀이를 한다 2.65점으로 가장높게 왔으며, 교사와의 관계에서 교사로부터 인정받으려 노력한다. 2.93점으로 가장 높고, 문화 관계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려고 노력한다. 3.4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를 지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시여부를 살펴본 결과, 한국어·사회문화 교육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를 위한 방과후 한국어 교육 1.87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가정과 연계교육에서 1.80점으로 가장 낮고, 문화 교육에서 다문화 가정 부모를 위한 전통문화 이해교육 2.0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 다문화 가정 유아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교사들의 요구를 살펴본 결과, 교사교육에서 유아들에게 편견없는 교수자료를 제시하려는 교사의 노력 4.49점으로 가장 필요하다가 나타났고, 교육과정·교재개발에서 예비교사를 위한 대학에서의 다문화교육 관련 교육과정 제공 4.32점으로 가장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부모교육에서 다문화 가정 부모역할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4.15점으로 가장 필요하였고, 지역사회지원에서 교실에서 낮은 교사 대 아동 비율 4.42점 으로 가장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