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10년 이상의 한국어 경력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인식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이들 대상의 재교육 방안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가 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0년 이상의 한국어 경력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인식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이들 대상의 재교육 방안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가 효...
본 연구의 목적은 10년 이상의 한국어 경력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인식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이들 대상의 재교육 방안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특히 본 연구는 한국어 교사가 효율적으로 수업을 운영하는 데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인 수업 전문성 요인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기관에서 10년 이상의 근무 경력을 가진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시행하였다. 인터뷰 질문은 과거의 수업 전문성 계발과 관련한 교사 교육 경험, 현재의 자신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진단, 미래의 수업 전문성 계발에 대한 기대와 요구 등의 세 범주로 구성되었다. 인터뷰를 통해서 도출할 수 있었던 주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경력 초기에는 교육기관 주도의 교사교육을 통해서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현재 자신의 수업 전문성은 경력 초기와 비교해 볼 때 크게 높아지지 않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앞으로 자신의 수업 전문성이 더 향상될 것이라는 강한 확신을 갖고 있지는 않았으나, 모두 수업 전문성 계발을 위한 재교육에의 요구와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4장에서는 이러한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심화기 단계에 있는 한국어 경력교사의 수업 전문성 계발을 위한 방안을 교사 개인 차원, 교육 기관 차원, 국가 기관 차원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Korean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to analyze the findings to seek an approach to take in re-educating these subjects. Especially, this study aimed to 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Korean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and to analyze the findings to seek an approach to take in re-educating these subjects. Especially, this study aimed to focus on the factor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hich is a mandatory aspect required for Korean teachers to ensure an effective management of the lectures. In order to do this, we proceeded with depth interview on 4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working experience in Korean Education Institution affiliated to local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experience in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past, self-analysis on current teaching professionalism, expectations and demand on develop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n future. The main facts evaluated from these interviews are as following. First, the teachers had been able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through teacher training organized by education institution earlier in their career. Second, teachers understand that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is not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earlier stage of their career. Third, the teachers did not have a strong belief that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will significantly improve but they all had high expectations and demands on re-education for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development. The fourth chapter of this study suggests possible solutions for developing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experienced Korean teachers at in-depth period based on the findings from depth interviews and divides these solutions into three different levels; individual teacher, educational institution, and governmental institu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승혜,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회 (56) : 1-29, 2014
2 서상영, "한국어교원의 현직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국내 대학 한국어교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이진경, "한국어교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방안 연구– 한국어(KSL)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86) : 381-402, 2017
4 김경주, "한국어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8 : 69-91, 2001
5 강승혜, "한국어 학습자들이 지각한 ‘좋은’ 한국어 교사의 특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27, 2010
6 고예진, "한국어 학습 전략 교수에 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69-199, 2014
7 윤지원,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99-129, 2013
8 김정숙,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의 변천과 그 개선 방안" 국립국어원 21 (21): 41-58, 2011
9 박지순, "한국어 교원 연수 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및 제언" 이중언어학회 (52) : 181-220, 2013
10 김상수, "한국어 교사의 교육적 신념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97-605, 2018
1 강승혜, "한국어교육 연구에서의 교사, 학습자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회 (56) : 1-29, 2014
2 서상영, "한국어교원의 현직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국내 대학 한국어교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 이진경, "한국어교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방안 연구– 한국어(KSL)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86) : 381-402, 2017
4 김경주, "한국어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8 : 69-91, 2001
5 강승혜, "한국어 학습자들이 지각한 ‘좋은’ 한국어 교사의 특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27, 2010
6 고예진, "한국어 학습 전략 교수에 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69-199, 2014
7 윤지원,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99-129, 2013
8 김정숙,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의 변천과 그 개선 방안" 국립국어원 21 (21): 41-58, 2011
9 박지순, "한국어 교원 연수 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및 제언" 이중언어학회 (52) : 181-220, 2013
10 김상수, "한국어 교사의 교육적 신념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597-605, 2018
11 신은경, "한국어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PCK)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4
12 강수정, "한국어 교사의 교수법 적용 및 성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근거 이론을 중심으로 -" 한글학회 (314) : 145-188, 2016
13 방성원, "한국어 교사 재교육의 쟁점과 과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7 (27): 79-103, 2016
14 최은규, "한국어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4-342, 2003
15 최은규, "한국어 교사 양성 제도의 실태 및 제안" 서울대학교국어교육연구소 9 : 5-37, 2002
16 이승연, "한국어 교사 문화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국내 대학 부설기관의 경력 교사 대상 초점집단면접을 기반으로 -" 우리어문학회 (55) : 487-522, 2016
17 손주희, "한국어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신임 한국어 교사의 초점집단면접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6 (56): 279-291, 2017
18 이정희,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중언어학회 (47) : 713-733, 2011
19 정대현, "한국어 경력교사의 교수 지식 분석 연구" 국어교육학회 (41) : 581-612, 2011
20 이선영, "한국어 경력교사 대상 요구조사를 통한성찰적 교사교육 방안 모색 -수업 전문성 영역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9 (29): 109-137, 2018
21 김서형, "터키 한국어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모어 화자 교사의 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5 : 195-220, 2016
22 Seidman, I,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23 안정민, "외국어 학습 경험 인지가 한국어 교사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사 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39) : 189-224, 2017
24 Creswell, J. W, "연구 방법: 질적ꞏ양적 및 혼합적 연구의 설계" 시그마프레스 2017
25 백인선, "실시간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교사 현직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26 이해영, "발전기 및 심화기 한국어 교원 재교육" 우리어문학회 (59) : 383-407, 2017
27 배재원,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사 교육 방향 연구 - 한국어 교사 대상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연구원 31 : 223-258, 2016
28 최유하, "대학기관의 한국어 교사 재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사발달단계 측정과 동료장학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9 이해영, "국내 한국어 교원 재교육 현황 조사 및 시사점" 한국국어교육학회 (111) : 83-113, 2017
30 이해영, "국내 한국어 교원 재교육 관련연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립국어원 2016
31 최은규, "교수 일지에 나타난 한국어 교사의 성찰과 전문성 개발" 이중언어학회 (72) : 281-314, 2018
32 박지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한국어 교사들의 인식 조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45-76, 2010
33 이선우, "교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미국 정규 학교 한국어 교사의 요구 분석" 국어국문학회 (167) : 65-102, 2014
34 최은규, "韓國語 敎育機關의 敎師 再敎育의 現況과 發展 方案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1 (41): 443-475, 2013
35 김호정, "‘다문화가족 대상 한국어교원’재교육 프로그램 내용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4 (24): 245-275, 2017
36 Brown, J, D, "The elements of language curriculum: a systematic approach to program development" Heinle & Heinle 1995
37 Freeman, D, "Teacher Training, development and decision making: A model of teaching and related strategies for language teacher education" 23 (23): 27-45, 1989
38 Richards. J. C,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Language Teach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 동기, 불안 및 문화적응 간의 상관관계 연구
프랑스어 관용표현을 활용한 언어·문화 통합교육 방안 모색
한국어로 진행되는 대학 강의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느끼는 불안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1 | 1.01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5 | 1 | 1.563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