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고대에 있어서 학은 시가 등에서 많이 표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림이나 의장 등의 많은 분야에서도 표현되어 왔다. 즉 먼 옛날부터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아 왔다고 할 수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의 고대에 있어서 학은 시가 등에서 많이 표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림이나 의장 등의 많은 분야에서도 표현되어 왔다. 즉 먼 옛날부터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아 왔다고 할 수 있...
일본의 고대에 있어서 학은 시가 등에서 많이 표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림이나 의장 등의 많은 분야에서도 표현되어 왔다. 즉 먼 옛날부터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을 받아 왔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대의 시가에 나타난 학의 모습을 당시의 사람들이 어떻게 느끼고 표현하는 지를 검토해 보았다.
고대 중국에서도 한 마리의 학이 아침에 울면서 날아간다든가 학이 울음 소리를 듣고 한숨을 쉬고 한탄하고 근심한다고 시에 표현되어 있다.
게다가 중국에서는 『文選』의 「遊仙詩」에 王子僑가 백학을 타고 날아갔다고 표현하고, 일본의 『懷風藻』의 「龍門山に遊ぶ」에도 王子僑처럼 신선의 기술을 터득해서 학을 타고 신선이 사는 곳에 가고 싶다고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花歌에서도 『古今集』이후의 八代集(8개의 시가집)에서는 학이 천년을 산다고 표현한 노래가 학이 등장한 57개의 시중에 23개나 되었다.
현재도 학은 장생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이 학과 장생을 연결시킨 것은 중국의 신선사상이 일본에 수용되어 한시에서는 『懷風藻』부터 시작되고 花歌에서는 『古今集』이후 학이 장생과 깊이 관련이 된다고 시가에서 표현되어 왔다.
『万葉集』에서는 학을 일본어로 <쓰루>라고 부르는 것 보다는 <다즈>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므로 시어 <다즈>의 의미를 검토해본 결과 <다즈>는 학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백조나 황새 등 하얀 새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음에 고대인들이 하얀 새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먼저 고대인들이 하얀 새에 대하여 어떻게 느꼈는가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흰색에는 하얀색이라는 뜻과 함께, 별도로 현저(顯著), 명백(明白), 물건의 참 모습을 밝힌다고 하는 뜻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고대인은 하얀 새에 대하여 거룩한 것, 참된 것이라고 하는 특별한 감정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고대에서는 새가 영혼의 모습이라고 생각되었으며, 또 영혼을 운반하는 것이고, 조상의 영혼이 타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면 수많은 하얀 새 중에서 학과 그 외의 하얀 새를 무엇으로 구별했을까? 그것은 학의 우는 소리로 구별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학의 우는 소리는 특이하고 먼 곳에 있어서도 잘 알아들을 수가 있고, 특히 아침 일찍이나 조용한 밤에는 더 먼 곳에서도 들을 수 있었다.
그리고 花歌에도 학이 혼자서 울고 있다든가, 아내를 찾아서 운다든가, 슬퍼 울고 있는 학의 소리를 들으면 고향이 생각난다고 표현되어 있다.
새를 영혼의 모습으로 생각하는 사고가 하얀 새라는 뜻이 다즈라는 시어로 압축되어 그것이 나중에 하얀 새를 대표하는 학으로 정착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관광 숙박업 정책개발을 위한 기본 모형설정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