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보육의 위기적 현상과 재난안전관리의 문제점 조망 = Crisis Phenomena and the Problems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n Child C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55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view of the Korean child care crisis problems and disaster management. This study diagnosed and analyzed serious risk factors on disaster and safety and provided prospects for future development in this area. Problems and issues of safety-disaster management in Korean child care are 1) discrepancy between policies and fields, 2) problems in laws, 3) problems in administrative management systems, 4) problems in safety educations, and 5) child abuse and SIDS. Further suggestion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re to improve treatment of nursing teachers, amendment of related laws on safety, and development of more applicable and concrete manuals for disaster managemen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view of the Korean child care crisis problems and disaster management. This study diagnosed and analyzed serious risk factors on disaster and safety and provided prospects for future development in this area. Problems and ...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view of the Korean child care crisis problems and disaster management. This study diagnosed and analyzed serious risk factors on disaster and safety and provided prospects for future development in this area. Problems and issues of safety-disaster management in Korean child care are 1) discrepancy between policies and fields, 2) problems in laws, 3) problems in administrative management systems, 4) problems in safety educations, and 5) child abuse and SIDS. Further suggestions to overcome these problems are to improve treatment of nursing teachers, amendment of related laws on safety, and development of more applicable and concrete manuals for disaster manag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의 위기적 현상과 재난안전관리의 문제점을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의 보육이 처한 위기적 현상들을 직시하고, 이러한 현상을 통해서 한국의 보육이 당면하고 있는, 재난안전에 관한 심각한 위험요소들을 분석 진단하고 발전적 개선방향을 모색 하였다. 보육의 위기적 현상과 재난안전관리의 문제점으로 첫째 보육현장을 간과한 보육정책, 둘째 법제적 측면에서의 문제, 셋째 행정적 관리체계의 문제, 넷째 재난안전교육의 문제, 다섯째 영아돌연사증후군(SIDS)과 아동학대 등을 조망할 수 있었다. 문제의 본질은 보육의 위기적 현상을 초래한 정부의 보육정책과 행정의 논리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러한 인지함정과 본말전도의 오류에서 오는 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처우개선, 안전에 관한 현행법과 제도규정들의 개선, 보육계 차원의 재난안전 교육과 실천 가능한 현장 매뉴얼과 현장에서의 구체적 적용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의 위기적 현상과 재난안전관리의 문제점을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의 보육이 처한 위기적 현상들을 직시하고, 이러한 현상...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영유아 보육의 위기적 현상과 재난안전관리의 문제점을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의 보육이 처한 위기적 현상들을 직시하고, 이러한 현상을 통해서 한국의 보육이 당면하고 있는, 재난안전에 관한 심각한 위험요소들을 분석 진단하고 발전적 개선방향을 모색 하였다. 보육의 위기적 현상과 재난안전관리의 문제점으로 첫째 보육현장을 간과한 보육정책, 둘째 법제적 측면에서의 문제, 셋째 행정적 관리체계의 문제, 넷째 재난안전교육의 문제, 다섯째 영아돌연사증후군(SIDS)과 아동학대 등을 조망할 수 있었다. 문제의 본질은 보육의 위기적 현상을 초래한 정부의 보육정책과 행정의 논리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러한 인지함정과 본말전도의 오류에서 오는 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처우개선, 안전에 관한 현행법과 제도규정들의 개선, 보육계 차원의 재난안전 교육과 실천 가능한 현장 매뉴얼과 현장에서의 구체적 적용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의남, "학교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인식과 개선 요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45-169, 2012

      2 전홍진, "청소년 자살 관련 현황 및 위험요인" 대한의사협회 56 (56): 93-99, 2013

      3 노성호, "청소년 비행의 추세분석과 전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9-39, 2009

      4 Statistics Korea, "traffic accident fatality(2006~2011)"

      5 H. M. Park, "supp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e…school bus.."

      6 T. Y. Baek, "fallacy financial accounting rule"

      7 P. S. Bae, "fallacy Childcare Polic"

      8 K. J. Kim, "Safety management issues and future plans for home daycare facilities" 61-85, 2008

      9 K. J. Kim, "Safety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Is it enough?"

      10 K. J. Kim, "SMART manual for safety"

      1 진의남, "학교 교육에서 인성교육의 인식과 개선 요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18 (18): 145-169, 2012

      2 전홍진, "청소년 자살 관련 현황 및 위험요인" 대한의사협회 56 (56): 93-99, 2013

      3 노성호, "청소년 비행의 추세분석과 전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9-39, 2009

      4 Statistics Korea, "traffic accident fatality(2006~2011)"

      5 H. M. Park, "supp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e…school bus.."

      6 T. Y. Baek, "fallacy financial accounting rule"

      7 P. S. Bae, "fallacy Childcare Polic"

      8 K. J. Kim, "Safety management issues and future plans for home daycare facilities" 61-85, 2008

      9 K. J. Kim, "Safety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Is it enough?"

      10 K. J. Kim, "SMART manual for safety"

      11 E. S. Kim, "Reinforcing personali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prevent future school violence"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ublic welfare policies"

      13 K. J. Kim, "Problems in management of educare facilities and future plans" 2008

      14 Y. S. Yoon, "New orientation of safety related laws for young children"

      15 Korean Consumer Agency, "Negligent accidents of children: Case analysis. traffic accident fatality"

      16 T. H. Kim, "Korean society trauma" Seo-Hae-Mun-Jip 2013

      17 J. E. Choi, "Korea child-family Welfare Status"

      18 J. R. Kim, "Free educare policy: Its features, problems and alternatives" Social Integration Center 2012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ducare statistics"

      20 K. J. Kim, "Educare facilitie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hat is the problem?"

      21 J. N. Yoon, "Critical children, Personality Educ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