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비교연구 = Comparative study o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return-to-work among industrial injured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568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types of return-to-work (RTW) of the injured workers and to suggest strategies to improve the RTW rat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43 inj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types of return-to-work (RTW) of the injured workers and to suggest strategies to improve the RTW rat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43 injured workers who succeeded in returning to the workplace at the 4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 Using frequency, descriptive, and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method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group with returning to the original workplace had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 (i.e., wage/income, job security, job duty, working environment, working hours, potential personal growth,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ared to other groups. Based on this study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level of injured workers after RTW are following. First, an institutional supplementary system would be developed that employers must offer to re-employ injured workers after completing care. Second, follow-up services would be provided to cope with potential employment-related problems for injured workers. Third, opportunities for re-employment or strategies for maintaining their business would be provided for injured workers who chose self-employ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증진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2016년 근로복지공단 제4차 산재...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증진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2016년 근로복지공단 제4차 산재보험패널에서 3가지 직업복귀(원직장복귀, 재취업, 자영업)에 성공한 1,34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원직장복귀를 한 집단일수록 재취업이나 자영업 집단보다 직업만족도(임금 및 소득, 취업의 안전성, 일의 내용, 근로환경, 근로시간, 개인의 발전가능성,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가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직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재장애인의 원직장복귀 의무제도를 도입하는 제도적 보완 조치가 필요하다. 둘째, 재취업이 이루어진 산재장애인을 대상으로 사후지도 서비스 제공을 통해 잠재적인 고용관련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고용유지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자영업을 선택한 산재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재고용 기회 제공과 자영업을 유지할 수 있는 전략 제공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자경, "취업 장애인과 미취업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68-95, 2009

      2 이정한, "직업복귀 산재근로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원직장복귀자와 재취업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3 김다희, "직무요인에 의한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4 강준명, "장애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5

      5 이은정,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6 윤광식, "장애인근로자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7 이은영, "장애인 직업적응훈련이 지체장애인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1998

      8 서재만, "자영업자 현황 및 정책 방향" 국회예산정책처 2011

      9 배경남, "원직장에 복귀한 산재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10 임종호, "원직장 복귀 장애인의 직무만족"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30 (30): 157-175, 2014

      11 조성재, "원직복귀 활성화를 위한 사업주와 산재근로자간 협력 강화 방안 연구: 업무지원 매뉴얼 개발을 중심으로" 근로복지공단 2012

      12 정선영, "원 직장에 복귀한 산재장애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애인고용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3

      13 이상진, "우리나라 산재장애인 직장복귀정책 강화방안" 한국직업재활학회 20 (20): 1-34, 2011

      14 김복일, "외식업체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6

      15 이승욱, "산재장해인 직업적응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연구센터 2011

      16 권영훈, "산재장해등급이 산재이후 소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2018

      17 전보영, "산재장애인의 취업 및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장애발생 후 직업복귀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6 (26): 199-222, 2010

      18 김종범, "산재장애인의 직업유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19 김희영,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 장애정도, 장애부위가 직업복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8

      20 박수경, "산재장애인의 성공적인 직업복귀 과정과 관련 요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6 (16): 293-318, 2012

      21 김윤봉, "산재장애인 직업복귀 기준 정립을 위한 개념 고찰" 한국직업재활학회 19 (19): 203-224, 2009

      22 조성재, "산재장애인 원직복귀 대상 선정기준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335-360, 2013

      23 이은혜,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형태에 따른 일상생활 및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7 (27): 107-131, 2017

      24 이웅, "산재근로자의 직업복귀 이후 일자리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 원직장복귀자와 타직장재취업자 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97-118, 2016

      25 이윤진, "산재근로자의 재활서비스 이용 욕구와 성공적인 직업복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27, 2015

      26 이승욱, "산재근로자 직업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7 (17): 69-100, 2007

      27 이승욱, "산재근로자 직업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28 양재성, "산재근로자 직업복귀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 -요양종결 후 장해판정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8 (28): 153-177, 2012

      29 조성재, "산재근로자 원직장복귀지원 발전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2015

      30 이달엽, "산재근로자 원직복귀지원제도 개편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2010

      31 이명신, "사회복지사의 소진과정(Burnout Process) 모델-직업관련 스트레스 요인, 직무스트레스와 전문직효능성에 의한 소진 경로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5-34, 2004

      32 이채식, "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29-54, 2012

      33 이정화, "‘괜찮은 직업복귀(Decent Return-To-Work)’: 개인, 분절된 노동시장, 제도 차원의 접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389-422, 2017

      34 김민, "Future directions to improve return-to-work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industrial injured workers" 4 (4): 1-20, 2011

      35 Rubin, S. E., "Foundation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PRO-ED 2016

      36 조성재, "Consideration of Issues on Return-To-Work: An Examination of Major Models and Problems"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7 (17): 119-134, 2013

      37 고용노동부, "2016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06 1.62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