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서면교수, 모델링, 역할극과 피드백으로 구성된 행동기술훈련이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순응지도 수행정확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상된 부모의 순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서면교수, 모델링, 역할극과 피드백으로 구성된 행동기술훈련이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순응지도 수행정확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상된 부모의 순응...
[목적] 본 연구는 서면교수, 모델링, 역할극과 피드백으로 구성된 행동기술훈련이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순응지도 수행정확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향상된 부모의 순응지도 수행정확도가 아동의 순응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의 부모 3명을 대상으로 행동기술훈련을 사용하여 3단계 순응지도 훈련을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로 기초선, 서면교수, 모델링, 역할극과 피드백, 유지, 일반화 순으로 하였다. 또한 단계별 발달장애아동의 순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행동기술훈련은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순응지도 수행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향상된 수행정확도는 유지되었으며 일반화되었다. 부모의 순응지도 수행정확도 향상에 따라발달장애아동의 순응도는 증가하였다. [결론] 행동기술훈련은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순응지도 수행정확도 향상과 유지, 일반화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향상된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순응지도 수행정확도는 발달장애아동의 순응행동을 증가시켰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havioral skills training consisting of written instruction, modeling, and role-play with feedback on the guided compliance performance accuracy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havioral skills training consisting of written instruction, modeling, and role-play with feedback on the guided compliance performance accuracy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it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proved performance accuracy on children’s compliance behavior.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hree-step guided compliance training using behavioral skills training, sampling thre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multiple-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consisting of a baseline, written instruction, modeling, role-play with feedback,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In addition, changes in complia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measured. [Results] Behavioral skills training improved the guided compliance performance accuracy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improved performance accuracy was maintained and generalized. Furthermore, as the performance accuracy of parents’ guided compliance improved, the complia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reased. [Conclusion] Behavioral skills training showe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maintaining, and generalizing the guided compliance performance accuracy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their improved performance accuracy increased the compliance behavior of their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발화-수반 제스처 특성 비교
양육자 코칭-가정 기반 긍정적 행동 지원(PBS) 프로그램에 참여한 장애 유아 양육자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