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여성의전화연합, "한국여성인권운동사" 한울아카데미 21-, 1999
2 김도희 ; 안다혜, "학대 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전략에 대한 구성주의 근거이론" 한국미술치료학회 29 (29): 821-848, 2022
3 법령정보센터, "여성폭력방지기본법, 제3조 정의 1항"
4 정문석, "여성폭력관련기관 상담원의 직무 소진 극복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경성대학교대학원 2014
5 김민예숙, "여성주의이론과 여성주의상담" 11 : 353-361, 1999
6 구유정, "여성주의상담자 정체성 형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경성대학교 2018
7 김민예숙 ; 강문순, "여성주의상담자 교육 모델에 관한 고찰" 한국여성심리학회 9 (9): 1-25, 2004
8 Worell, J., "여성주의상담의 이론과 실제" 한울 2004
9 김민예숙, "여성주의상담의 원리들에 관한 이해" 22 : 1-9, 2010
10 김민예숙, "여성주의상담 구조화모델 워크북" 한울아카데미 2013
1 한국여성의전화연합, "한국여성인권운동사" 한울아카데미 21-, 1999
2 김도희 ; 안다혜, "학대 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전략에 대한 구성주의 근거이론" 한국미술치료학회 29 (29): 821-848, 2022
3 법령정보센터, "여성폭력방지기본법, 제3조 정의 1항"
4 정문석, "여성폭력관련기관 상담원의 직무 소진 극복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경성대학교대학원 2014
5 김민예숙, "여성주의이론과 여성주의상담" 11 : 353-361, 1999
6 구유정, "여성주의상담자 정체성 형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경성대학교 2018
7 김민예숙 ; 강문순, "여성주의상담자 교육 모델에 관한 고찰" 한국여성심리학회 9 (9): 1-25, 2004
8 Worell, J., "여성주의상담의 이론과 실제" 한울 2004
9 김민예숙, "여성주의상담의 원리들에 관한 이해" 22 : 1-9, 2010
10 김민예숙, "여성주의상담 구조화모델 워크북" 한울아카데미 2013
11 이지연, "여성주의 상담의 적용실제와 방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773-791, 2004
12 강문순, "여성주의 상담의 원리와 전망 : 내담자와 상담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2004
13 김광은, "여성주의 상담원들의 여성의식: 여성의전화 상담원을 중심으로" 5 (5): 15-25, 2000
14 정미진 ; 송다영, "여성인권지원 단체 활동가의 여성주의 의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여성학연구소 3 (3): 7-38, 2010
15 이규미, "여성상담의 특징과 여성상담자의 전문적 자질" 1 : 128-138, 1996
16 김유리 ; 서문교 ; 권인수, "소명의식의 선행요인 연구"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4 (14): 75-98, 2016
17 이숙애, "성폭력의 실태와 대책"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18 권해수, "성폭력상담자의 대리외상 관련 변인 연구: 상담유형, 외상경험,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2 (12): 415-430, 2011
19 김지현, "성폭력상담원교육 참여자의 여성주의 인식 수용경험에 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14
20 안은주, "성폭력상담소 활동가의 좌절과 대처 과정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원 54 (54): 37-72, 2015
21 최성화, "성폭력 피해경험자의 2차 피해 경험과 회복요인에 관한 질적연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21
22 권해수, "성폭력 피해 여성의 치유 경험"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13 (13): 53-82, 2007
23 조윤진 ; 임성옥, "성폭력 전문상담사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10 (10): 183-204, 2021
24 권해수 ; 김소라, "성폭력 상담자의 대리 외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95-518, 2006
25 이명신 ; 양난미 ; 황채운, "성폭력 상담자의 다전문직간 연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5 (15): 1101-1124, 2014
26 허찬희 ; 이지연,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57-471, 2020
27 김보화, "성폭력 상담일지를 통해 본 2018년 한국 미투운동의 의미" 한국여성연구소 19 (19): 3-43, 2019
28 이명신 ; 안수영 ; 양난미 ; 김보령, "성폭력 상담원의 소진 결정 요인:업무과중, 공감피로, 피해자중심서비스(Victim-centered service)와 이차피해태도"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50) : 284-333, 2016
29 최민정, "성폭력 관련기관 상담자들의 현장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개인적⋅전문적 영역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2019
30 강정희, "성폭력 가해자 교정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4
31 전민주, "성문화 운동가의 집합적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32 이미혜 ; 성승연, "상담자들의 대리외상: 개관연구" 한국심리학회 33 (33): 109-137, 2014
33 전명주 ; 반신환, "복합외상 성폭력 여성 피해자의 상담을 통한 자기 재구성과정: 근거이론 적용" 한국상담학회 22 (22): 241-270, 2021
34 대검찰청, "범죄분석의 주요 범죄 유형별 특성 중 성폭력 부분"
35 변혜정, "반성폭력운동과 여성주의상담의 관계에 대한 연구-상담지원자의 입장에서-" 한국여성학회 22 (22): 229-272, 2006
36 지경영, "반성폭력 상담활동가의 성장경험 연구" 신라대학교 2018
37 김예숙, "미국과 한국의 여성주의상담 역사 비교 분석" 한국여성심리학회 16 (16): 197-218, 2011
38 박명진 ; 양난미 ; 이명신, "대학생 성폭력 이차피해 민감성 척도타당화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7 (87): 99-126, 2014
39 한영주, "내담자가 경험하는 상담의 치료적 전환점 :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40 이주연, "국내 여성주의상담 연구 동향분석: 학회발간 학술지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4
41 정여주, "가정폭력·성폭력 상담소 종사자의 소진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교회사회사업학회 (19) : 159-191, 2012
42 Enns, C. Z., "Twenty years of feminist counseling and therapy : From naming biases to implementing multifaceted practice" 21 : 3-87, 1993
43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Publications 1998
44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45 Strauss, A. L.,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273-285, 1994
46 Hook, "Feminist theory: From margin to center" South End Press 1984
47 Guba, E., "Effective evaluation" Jossy Bass 1981
48 Strauss, A. L.,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1998
49 한국여성의전화, "2022년 한국여성의전화 상담통계 분석 -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