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서해 소설에서 가족 살해와 사적 폭력의 의미 = Meaning of Family Murder and Private Violence in Choi Seo-hae's No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52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vealed the meaning of family murder and private violence in Choi Seo-hae's novel. The family murder in Choi Seo-hae's novels inherited family murder motifs such as tales and new-novels, but its aspects are different. Choi Seo hae's novels dealing with family murder are classified into works that feel the urge to kill the family and works that carry out family murder by its aspects. And works that carry out family murder are classified into family abandoning and family killing. The theme consciousness of these novels can be divided into the case of defending pre-modern ideology such as retributive justice and prosaic justice, the case of advocating as well as criticizing pre-modern ideology, and the case of criticizing the absence of modern institutions. The impulse to kill a family specifically depicts the poverty and suffering of a family and expresses its tragedy realistically. However, family abandonment is hard to find any other meaning except escape. Family murder implies a quantitative sense of advocacy and criticism of pre-modern ideology.
      Extreme family killings, in particular, accuse the absence of modernity as an institution in which human beings can live to humanize. And the absence of modernity inevitably leads to private violence. In Choi Seo-hae's novels, private violence can be read as an expression of the absence of modern institutions and the hope of establishing and just executing them rather than as an expression of madness and anger. Private violence accuses the absence of a modern medical system, the absence of a system to comfort and support the flood victims, and the fact that Gando is a lawless zone where the system is absent. In Choi Seo-hae's novels, the self-punishment urges of the characters coincide with the urge to kill the family, which is based on love and responsibility. This is why the extreme act of family murder emphasizes the miserable lives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and draws sympathy from the readers. The impulse of self-punishment in characters can be seen as the least morals that Choi Seo-hae can present.
      번역하기

      This paper revealed the meaning of family murder and private violence in Choi Seo-hae's novel. The family murder in Choi Seo-hae's novels inherited family murder motifs such as tales and new-novels, but its aspects are different. Choi Seo hae's novels...

      This paper revealed the meaning of family murder and private violence in Choi Seo-hae's novel. The family murder in Choi Seo-hae's novels inherited family murder motifs such as tales and new-novels, but its aspects are different. Choi Seo hae's novels dealing with family murder are classified into works that feel the urge to kill the family and works that carry out family murder by its aspects. And works that carry out family murder are classified into family abandoning and family killing. The theme consciousness of these novels can be divided into the case of defending pre-modern ideology such as retributive justice and prosaic justice, the case of advocating as well as criticizing pre-modern ideology, and the case of criticizing the absence of modern institutions. The impulse to kill a family specifically depicts the poverty and suffering of a family and expresses its tragedy realistically. However, family abandonment is hard to find any other meaning except escape. Family murder implies a quantitative sense of advocacy and criticism of pre-modern ideology.
      Extreme family killings, in particular, accuse the absence of modernity as an institution in which human beings can live to humanize. And the absence of modernity inevitably leads to private violence. In Choi Seo-hae's novels, private violence can be read as an expression of the absence of modern institutions and the hope of establishing and just executing them rather than as an expression of madness and anger. Private violence accuses the absence of a modern medical system, the absence of a system to comfort and support the flood victims, and the fact that Gando is a lawless zone where the system is absent. In Choi Seo-hae's novels, the self-punishment urges of the characters coincide with the urge to kill the family, which is based on love and responsibility. This is why the extreme act of family murder emphasizes the miserable lives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and draws sympathy from the readers. The impulse of self-punishment in characters can be seen as the least morals that Choi Seo-hae can pres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최서해 소설에 나타난 가족 살해와 사적 폭력의 의미를 밝혔다. 최서해 소설에 나타나는 가족 살해는 설화, 신소설 등의 가족 살해 모티프를 계승했지만 그 양상이 다르다. 가족 살해를 다룬 최서해의 소설은 양상에 따라 가족 살해충동을 느끼는 작품과 가족 살해를 실행하는 작품으로 구분되고, 가족 살해를 실행하는 작품은 양상에 따라 가족 유기와 가족 살해로 구분된다. 이 소설들의 주제의식은 인과응보․권선징악 등의 전근대적 이데올로기를 옹호하는 경우, 전근대적이데올로기에 대한 옹호와 비판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 근대적 제도의 부재를비판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가족 살해 충동은 한 가족의 빈곤과 그에 따른고통을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그 비극성을 사실적으로 전달한다. 그러나 가족 유기는 현실도피 외에는 달리 의미를 찾기 어렵다. 가족 살해는 전근대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옹호와 비판의 양가적 의미를 내포한다. 특히 극단적 가족 살해는 인간이인간답게 살 수 있는, 제도로서의 근대가 부재함을 고발한다. 근대의 부재는 필연적으로 사적 폭력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최서해 소설에서 사적 폭력은 단순한광기와 분노의 표현이라기보다는 근대적 제도의 부재를 고발하고, 제도의 확립과정당한 집행을 희망하는 표현으로 읽을 수 있다. 사적 폭력은 근대적 의료 제도의부재, 수재민을 위로하고 지원하는 제도의 부재, 간도가 제도가 부재하는 무법지대라는 사실을 고발한다. 최서해 소설에서 인물의 자기 처벌 충동은 가족 살해 충동과 동시에 일어나는데, 그 바탕에는 사랑과 책임감이 있다. 여기에 가족 살해라는극단적 행위가 소설 속 인물들의 비참한 삶을 강조하고 독자들의 공감을 끌어내는이유가 있다. 인물의 자기 처벌 충동은 최서해가 제시할 수 있는 최소한의 모랄이라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최서해 소설에 나타난 가족 살해와 사적 폭력의 의미를 밝혔다. 최서해 소설에 나타나는 가족 살해는 설화, 신소설 등의 가족 살해 모티프를 계승했지만 그 양상이 다르다. 가족 ...

      이 논문은 최서해 소설에 나타난 가족 살해와 사적 폭력의 의미를 밝혔다. 최서해 소설에 나타나는 가족 살해는 설화, 신소설 등의 가족 살해 모티프를 계승했지만 그 양상이 다르다. 가족 살해를 다룬 최서해의 소설은 양상에 따라 가족 살해충동을 느끼는 작품과 가족 살해를 실행하는 작품으로 구분되고, 가족 살해를 실행하는 작품은 양상에 따라 가족 유기와 가족 살해로 구분된다. 이 소설들의 주제의식은 인과응보․권선징악 등의 전근대적 이데올로기를 옹호하는 경우, 전근대적이데올로기에 대한 옹호와 비판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 근대적 제도의 부재를비판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가족 살해 충동은 한 가족의 빈곤과 그에 따른고통을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그 비극성을 사실적으로 전달한다. 그러나 가족 유기는 현실도피 외에는 달리 의미를 찾기 어렵다. 가족 살해는 전근대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옹호와 비판의 양가적 의미를 내포한다. 특히 극단적 가족 살해는 인간이인간답게 살 수 있는, 제도로서의 근대가 부재함을 고발한다. 근대의 부재는 필연적으로 사적 폭력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최서해 소설에서 사적 폭력은 단순한광기와 분노의 표현이라기보다는 근대적 제도의 부재를 고발하고, 제도의 확립과정당한 집행을 희망하는 표현으로 읽을 수 있다. 사적 폭력은 근대적 의료 제도의부재, 수재민을 위로하고 지원하는 제도의 부재, 간도가 제도가 부재하는 무법지대라는 사실을 고발한다. 최서해 소설에서 인물의 자기 처벌 충동은 가족 살해 충동과 동시에 일어나는데, 그 바탕에는 사랑과 책임감이 있다. 여기에 가족 살해라는극단적 행위가 소설 속 인물들의 비참한 삶을 강조하고 독자들의 공감을 끌어내는이유가 있다. 인물의 자기 처벌 충동은 최서해가 제시할 수 있는 최소한의 모랄이라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문학"

      2 임형모, "한국과 몽골설화에 나타난 “가족 살해” 모티프―친부 및 자식 살해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회 26 : 394-400, 2007

      3 정호웅, "한국 소설 속의 자기 처벌자" 구보학회 7 : 190-214, 2011

      4 곽근, "최서해전집 상․하" 문학과지성사 1987

      5 곽근, "최서해의 삶과 문학 연구" 푸른사상 2014

      6 이경돈, "최서해와 기록의 소설화" 반교어문학회 15 : 119-141, 2003

      7 신춘호, "최서해―궁핍과의 문학적 싸움"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8 김재영, "최서해 초기 소설에 형상된 ‘공포’와 ‘파국의 상상력’" 한국문학연구학회 (55) : 291-320, 2015

      9 곽근, "최서해 작품, 자료집" 국학자료원 1997

      10 곽근, "최서해 연구사의 고찰" 반교어문학회 (22) : 175-201, 2007

      1 "한국문학"

      2 임형모, "한국과 몽골설화에 나타난 “가족 살해” 모티프―친부 및 자식 살해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회 26 : 394-400, 2007

      3 정호웅, "한국 소설 속의 자기 처벌자" 구보학회 7 : 190-214, 2011

      4 곽근, "최서해전집 상․하" 문학과지성사 1987

      5 곽근, "최서해의 삶과 문학 연구" 푸른사상 2014

      6 이경돈, "최서해와 기록의 소설화" 반교어문학회 15 : 119-141, 2003

      7 신춘호, "최서해―궁핍과의 문학적 싸움"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8 김재영, "최서해 초기 소설에 형상된 ‘공포’와 ‘파국의 상상력’" 한국문학연구학회 (55) : 291-320, 2015

      9 곽근, "최서해 작품, 자료집" 국학자료원 1997

      10 곽근, "최서해 연구사의 고찰" 반교어문학회 (22) : 175-201, 2007

      11 박현수, "최서해 소설의 승인 과정과 에크리튀르의 문제 —조선문단합평회와 『개벽』 「월평」을 통해 본 1920년대 중반 문단의 지형도" 반교어문학회 (26) : 375-404, 2009

      12 홍기돈, "최서해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한국비평문학회 (30) : 407-424, 2008

      13 김성옥, "최서해 소설 연구" 지식과교양 2012

      14 곽근, "최서해 단편선 탈출기" 문학과지성사 2004

      15 "조선중앙일보"

      16 "조선문단"

      17 이경림, "자살과 살인 사이 -1920년대 소설과 폭력의 새벽-" 반교어문학회 (51) : 15-48, 2019

      18 문학과사상연구회, "임화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04

      19 임규찬, "임화문학예술전집 2 문학사" 소명출판 2009

      20 최병구, "운명과 행복, 근대(인)의 자기인식과 그 매개- 최서해 소설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72) : 181-202, 2017

      21 최진옥, "신소설에 나타난 가족 살해 모티프와 가족주의 고찰―최찬식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1 : 21-, 2013

      22 석형락, "세계를 버리는 자들의 목소리―김이설, 임철우의 근작 읽기" 문예연구사 81 (81): 210-220, 2014

      23 "삼천리"

      24 정은경, "밖으로부터의 고백―디아스포라로 읽는 세계문학" 파란 2017

      25 이동희, "박영희전집(Ⅱ)"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26 "매일신보"

      27 "동아일보"

      28 차남희, "노동의 신성화와 동학의 근대성 - 최시형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역사학회 13 (13): 45-64, 2010

      29 김치홍, "김동인평론전집" 삼영사 1984

      30 김기림, "김기림 전집 3" 심설당 1988

      31 석형락, "근대문단 형성기 작고 작가 애도문(哀悼文) 연구 - 한국근대작가론의 형성 과정과 관련하여 -" 한국현대소설학회 (64) : 205-249, 2016

      32 "개벽"

      33 한수영, "‘분노’의 공(公)과 사(私): 최서해 소설의 ‘분노’의 기원과 공사(公私)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9 (19): 363-398, 2015

      34 안용희, "‘그늘에 피는 꽃’, 최서해 문학의 아포리아" 민족문학사학회 (57) : 9-38, 2015

      35 유승환, "1923년의 최서해 - 빈민 작가 탄생의 문화사적 배경" 한국현대문학회 (52) : 221-264, 2017

      36 김동식, "1920년대 중반의 한국문학과 ‘끼니’의 무의식 : 김기진과 최서해, 그리고 ‘밥’의 유물론" 문학과환경학회 11 (11): 175-205,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3 1.01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