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문학"
2 임형모, "한국과 몽골설화에 나타난 “가족 살해” 모티프―친부 및 자식 살해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회 26 : 394-400, 2007
3 정호웅, "한국 소설 속의 자기 처벌자" 구보학회 7 : 190-214, 2011
4 곽근, "최서해전집 상․하" 문학과지성사 1987
5 곽근, "최서해의 삶과 문학 연구" 푸른사상 2014
6 이경돈, "최서해와 기록의 소설화" 반교어문학회 15 : 119-141, 2003
7 신춘호, "최서해―궁핍과의 문학적 싸움"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8 김재영, "최서해 초기 소설에 형상된 ‘공포’와 ‘파국의 상상력’" 한국문학연구학회 (55) : 291-320, 2015
9 곽근, "최서해 작품, 자료집" 국학자료원 1997
10 곽근, "최서해 연구사의 고찰" 반교어문학회 (22) : 175-201, 2007
1 "한국문학"
2 임형모, "한국과 몽골설화에 나타난 “가족 살해” 모티프―친부 및 자식 살해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회 26 : 394-400, 2007
3 정호웅, "한국 소설 속의 자기 처벌자" 구보학회 7 : 190-214, 2011
4 곽근, "최서해전집 상․하" 문학과지성사 1987
5 곽근, "최서해의 삶과 문학 연구" 푸른사상 2014
6 이경돈, "최서해와 기록의 소설화" 반교어문학회 15 : 119-141, 2003
7 신춘호, "최서해―궁핍과의 문학적 싸움"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8 김재영, "최서해 초기 소설에 형상된 ‘공포’와 ‘파국의 상상력’" 한국문학연구학회 (55) : 291-320, 2015
9 곽근, "최서해 작품, 자료집" 국학자료원 1997
10 곽근, "최서해 연구사의 고찰" 반교어문학회 (22) : 175-201, 2007
11 박현수, "최서해 소설의 승인 과정과 에크리튀르의 문제 —조선문단합평회와 『개벽』 「월평」을 통해 본 1920년대 중반 문단의 지형도" 반교어문학회 (26) : 375-404, 2009
12 홍기돈, "최서해 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한국비평문학회 (30) : 407-424, 2008
13 김성옥, "최서해 소설 연구" 지식과교양 2012
14 곽근, "최서해 단편선 탈출기" 문학과지성사 2004
15 "조선중앙일보"
16 "조선문단"
17 이경림, "자살과 살인 사이 -1920년대 소설과 폭력의 새벽-" 반교어문학회 (51) : 15-48, 2019
18 문학과사상연구회, "임화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04
19 임규찬, "임화문학예술전집 2 문학사" 소명출판 2009
20 최병구, "운명과 행복, 근대(인)의 자기인식과 그 매개- 최서해 소설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72) : 181-202, 2017
21 최진옥, "신소설에 나타난 가족 살해 모티프와 가족주의 고찰―최찬식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1 : 21-, 2013
22 석형락, "세계를 버리는 자들의 목소리―김이설, 임철우의 근작 읽기" 문예연구사 81 (81): 210-220, 2014
23 "삼천리"
24 정은경, "밖으로부터의 고백―디아스포라로 읽는 세계문학" 파란 2017
25 이동희, "박영희전집(Ⅱ)"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26 "매일신보"
27 "동아일보"
28 차남희, "노동의 신성화와 동학의 근대성 - 최시형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역사학회 13 (13): 45-64, 2010
29 김치홍, "김동인평론전집" 삼영사 1984
30 김기림, "김기림 전집 3" 심설당 1988
31 석형락, "근대문단 형성기 작고 작가 애도문(哀悼文) 연구 - 한국근대작가론의 형성 과정과 관련하여 -" 한국현대소설학회 (64) : 205-249, 2016
32 "개벽"
33 한수영, "‘분노’의 공(公)과 사(私): 최서해 소설의 ‘분노’의 기원과 공사(公私)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9 (19): 363-398, 2015
34 안용희, "‘그늘에 피는 꽃’, 최서해 문학의 아포리아" 민족문학사학회 (57) : 9-38, 2015
35 유승환, "1923년의 최서해 - 빈민 작가 탄생의 문화사적 배경" 한국현대문학회 (52) : 221-264, 2017
36 김동식, "1920년대 중반의 한국문학과 ‘끼니’의 무의식 : 김기진과 최서해, 그리고 ‘밥’의 유물론" 문학과환경학회 11 (11): 175-205,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