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車充煥, "?楊門忠義錄?의 梗槪와 作品 性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 (35): 161-186, 2007
2 김문희, "현몽쌍룡기 1~3" 소명출판 2010
3 이순형, "한국의 명문종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4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 교학연구사 1983
5 정병설, "죽음을 넘어서-순교자 이순이의 옥중편지" 민음사 2014
6 김문희, "조씨삼대록 1~5" 소명출판 2010
7 조광, "조선후기 사회의 이해" 경인문화사 2010
8 "조선왕조실록 DB"
9 송성욱, "장서각 고소설 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10 고성훈, "영조의 정통성을 묻다(무신란과 모반사건)"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1 車充煥, "?楊門忠義錄?의 梗槪와 作品 性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5 (35): 161-186, 2007
2 김문희, "현몽쌍룡기 1~3" 소명출판 2010
3 이순형, "한국의 명문종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4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 교학연구사 1983
5 정병설, "죽음을 넘어서-순교자 이순이의 옥중편지" 민음사 2014
6 김문희, "조씨삼대록 1~5" 소명출판 2010
7 조광, "조선후기 사회의 이해" 경인문화사 2010
8 "조선왕조실록 DB"
9 송성욱, "장서각 고소설 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10 고성훈, "영조의 정통성을 묻다(무신란과 모반사건)"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11 정선희, "영웅호걸형 가장(家長)의 시원(始原) - <소현성록>의 소운성" 한국고소설학회 (32) : 153-186, 2011
12 차충환, "양문충의록의 이본 주변 작품과의 연계성" 국어국문학회 (146) : 411-442, 2007
13 한국학중앙연구원, "양문충의록 32권 32책"
1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양문충의록 1~7"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1
15 조혜란, "악행(惡行)의 서사화 방식과 진지성의 문제 —<현몽쌍룡기>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23) : 359-398, 2011
16 조혜란, "소현성록 1~4" 소명출판 2010
17 이지하, "대하소설 속 親同氣 간 善惡 구도와 그 의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4) : 339-361, 2013
18 정병욱, "낙선재문고의 목록 및 해제" 국어국문학회 44 : 2-65, 1969
19 정병설, "권력과 인간-사도세자의 죽음과 조선왕실" 문학동네 2012
20 허순우, "<현몽쌍룡기> 연작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1 임치균, "<현몽쌍룡기> 연구" 국어국문학회 113 : 223-247, 1995
22 강미선, "<양문충의록> 연구-이본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고소설학회 (23) : 35-68, 2007
23 강미선, "<양문충의록>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24 지연숙, "<소현성록>의 주변과 그 자장" 고려대 한국문학연구소 4 : 29-62, 2003
25 강미선, "<現夢雙龍記> 連作의 敍事構造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8 (38): 207-229, 2010
26 허태용, "1728년 戊申亂의 진압과 『戡亂錄』의 편찬" 한국사연구회 (166) : 107-141,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