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漢城期 百濟土器의 生産과 流通 및 使用에 대한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042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研究は、社会の変化を反映している土器を多様な観点から検討、その特徴を明らかにし、各特徴ごとに見られた有機的な関係および変化様相を詳察することで、漢城期の百済における...

      本研究は、社会の変化を反映している土器を多様な観点から検討、その特徴を明らかにし、各特徴ごとに見られた有機的な関係および変化様相を詳察することで、漢城期の百済における土器文化様相の把握を行うことにある。これまで韓国考古学会における土器研究は、形態分析を通じた編年研究に重きが置かれていた。近年、実験考古学を通じたより本質的な土器研究が行われ始めたが、実験考古学や民族誌考古学など学際間の連結がうまく果たされていないため、各々の個別研究もしくは分析に限定されている。このような点を克服するため、土器が‘生産―流通―使用―廃棄’する過程を総合的に検討することで、百済の社会像を明らかした。
       本稿の研究対象になる土器の時間的範囲は、原三国時代後期~百済漢城期である。空間的範囲はソウル・京畿地域を中心とした住居・生産・墳墓など133の遺跡である。また空間的範囲は分析の容易性という観点から、漢江中心の漢城中央圏域、京畿北部圏域、京畿南部圏域、京畿西部圏域に区分し、地域性に対する検討内容も反映させた。検討した土器資料は総7,642点である。
       漢城期の百済土器の生産部分を見ると、まず器種別に胎土の混入剤を区別して選択しており、用途による分類という点で注目される。成形方法では、タタキ、ナデ、ケズリが主な製作技法であったことを確認した。漢城期は原三国時代より各製作工程が複雑化し、製作者の分業化が行われた。
      焼成法は器種別に酸化焼成と還元焼成を並行しているが、これは窯での焼成を調節して生産されたことを示す。還元焼成で生産した土器は、軟質系と硬質系とに分類できるが、軟質系には配膳器や儀礼用器が、硬質系は貯蔵器が多くを占めている。煮炊器は覆い焼きで焼成されたが、漢城Ⅱ期に還元焼成に変化することを確認した。このような漢城期の百済土器の焼成は、製作技術の未成熟によるものではなく、土器の用途を充足するための技術系統の所産であると理解できる。窯運営においては、生産地における窯焼成と各集落単位での煮炊器などを生産する覆い焼きであった。窯は大きさにより大・中・小に分けられ、形態も楕円形や長楕円形など多様である。これらは時期差を反映するものではなく、窯の規模により生産器種を区別して生産されていたことを意味する。
      流通は日常容器の場合、中央と地方で別途の生産地を持ち、隣接地域に供給した。漢城中央様式土器の場合、京畿南部地域と土器流通網を共有するが、京畿北部地域や西部地域では在地で生産した。
      漢城期の百済土器の生産と流通は、新しい製作技術の普及と消費地の需要増加などで大量生産体制に移行する過渡期にあったため、非常に複雑な生産体制の様相を帯びている。
       次に漢城期の百済土器の使用法について検討した。使用法を推論するにあたり、土器の形態、出土位置、内外面の痕跡を最も主要な要素とした。漢城期の百済土器は、用途別に配膳器、貯蔵器、煮炊器、儀礼用器に分類できる。
      配膳器は深度、口径幅などの分析から、盌類・皿類・杯類に区分した。多様な配膳器はまさに食文化の変化を意味している。中国から多様な器種の影響を受けた点もあろうが、カマドの普及による多様な食物の調理も配膳器の多様化に影響を与えた。貯蔵器は短頸壺、大壺、大甕など形態と容量が多様化した。貯蔵竪穴が急増している点も注目される。
      ‘硬質無文土器と炉跡’の組み合わせから‘タタキメ煮炊器とカマド’の組み合わせに変化する。このような煮炊器と炊事施設の変化は、調理法の変化を意味する。単純な煮沸は炊事施設の変化によって、蒸すという行為が追加された。これは多様な調理法によって食を向上させたことにより、多種多様な土器の需要が急増した結果と思われる。
      儀礼用器は器種と儀礼行為の変化が確認できた。器種別に見ると、漢城期初期の祭祀遺構では直口壺類だけが出土するが、漢城Ⅱ期には高杯、三足土器、蓋、直口短頸壺、磨研土器など多様化する。儀礼行為では祭祀遺構や竪穴遺構で、土器の特定部位を意図的に打ち欠いた痕跡が見られる。
       このように漢城期の百済土器における製作技術の発達は、タタキ、ケズリ、回転台の普及で製作時間が短縮され、大量生産の基盤となった。焼成技術の発達により、窯焼成と重ね焼き、高温焼成が可能になり、器種による生産方式も複雑化した。また黒色磨研土器という特殊な器種も生産可能になった。流通網は中央産と地方産に区分でき、圏域内にいくつもの生産地が存在した。用途別による機能分化もあった。配膳器の発達は食様式を確立させ、儀礼行為に使用される儀礼専用土器が生産された。超大型貯蔵器の生産は剰余生産物の増加、超大型煮炊器の登場は宴会や儀礼行為用として使用された。そして甑、長卵形土器、カマドによる蒸す行為の普及は、酒や餅などの製造を意味する。
      漢城期における百済土器の技術発達と使用は、需要の増加によるもので、これら土器が社会像に大きな影響を与えたと考えられる。

      最後に漢城期百済と東アジアの土器文化交流様相について検討を行った。
      漢城期の百済土器の形成過程は、3期にわたった対中国との土器文化交流から影響を受けた。1期は原三国時代で、京畿北部と京畿西部地域を中心とした楽浪系遺物が多数出土しており、北方の扶余、高句麗、楽浪、諸馬韓圏域、嶺南地域との交流痕跡も見られる。
      2期は漢城Ⅰ期に該当する時期で、漢城中央では施釉陶器が大量に出土し、京畿南部地域では楽浪の製鉄技術集団が移住した痕跡を確認できる。特に2期における楽浪の製陶と製鉄技術集団の移住は、漢城期の百済土器生産技術を促進させる契機となった。
      3期は漢城Ⅱ期で、中国江南地域との交流が本格化し、政治的にも安定する時期である。漢城中央地域を中心に西晋や東晋代の青磁、青銅鋪首などの遺物が出土する。これは漢城Ⅰ期から触発された土器生産技術が安定し、新しい中国江南地域の物質文化が流入する契機となった。
       漢城期の百済土器は漢城Ⅱ期を起点に、生産技術の発達、生産力の増加、中国陶磁器の模倣品製作が行われた。そして社会的には配膳と食文化、酒、宴会、祭祀など多様な中国文化が吸収されていたと思われる。漢城期の百済土器が形成された過程は、一時的なものではなく、漸進的な交流過程によって有機的に形成されたのである。 
       本文は漢城期の百済土器の生産と使用法を究明することにあった。これを説明し論証する過程で参考にした復元実験資料や民族誌資料は時期的・地域的にも差があるため、多少無理な解釈があったと思う。しかし本研究は全体の土器文化像を理解する上で、土器に残存する様々な痕跡を解釈し、研究モデルを設定するために、多様な視角で迫った。そして漢城期における百済土器の循環過程という大きな枠で土器を説明したため、省略された部分や相対的に内容が多くなった部分については、今後の研究の方向性とした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文研究目的在于从多种角度研究反映当时社会变化的土器(陶器)、查明其特征,并观察其特征间的关联性及变化迹象,以此认知百济汉城期土器文化。在韩国,既往的土器研究,一般是...

      本文研究目的在于从多种角度研究反映当时社会变化的土器(陶器)、查明其特征,并观察其特征间的关联性及变化迹象,以此认知百济汉城期土器文化。在韩国,既往的土器研究,一般是基于类型学展开的考古学研究。近年来,虽然通过实验考古开始了更加深入性的研究,但实验考古学、民族考古学等学科间的分歧、对立仍未打破,各学科仍停留于各自的研究领域。通过完善这一点,全面地讨论了“生产-流通-使用-废弃”的过程,从而揭开了当时社会的面貌。

      本文的研究时间范围为原三国后期到百济汉城期,地域范围以首尔、京畿地区为中心,以居住、生产、坟墓等总共133个遗址为研究重心。而且,为了便于分析,还将探讨区域性的检讨内容分为以汉江为中心的汉城中央区域、京畿北部区域、京畿南部区域、京畿西部区域、京畿南部区域。分析的土器资料共有7642件。

      从汉城期百济的生产土器部分来看,首先按类型的不同,胎土中选择了不同的混合物,这是根据用途分类的,因而备受关注。在成型时,可以确认打捺技法、用水拉坯、削裁修整是主要的制作手法。而且,随着时代变化,要比原三国时期的制作工艺更加复杂,可以看出已经进行了制作者的分工化现象。
      烧成方式可分为氧化、还原两种,是调节了陶窑内烧制氛围后生产的。 以还原方式生产的陶器分为软质系和硬质系两种,软质系土器多用于礼仪容,硬质系土器多用于存储。炊事容器采用盖式烧制方式生产,到了汉城Ⅱ期之后以还原烧制方式生产。此类汉城期土器的烧成方式并不是因为制作技术的不成熟,而是为了满足土器的用途造成的,应视作技术系统的产物。陶窑的运营可以分成两种,一种是生产基地模式的陶窑烧制方式,一种是以个别村落为单位的,以生产炊事容器等的方式。陶窑类型多样,按大小可以分为大型、中型、小型,按其形态也可以分为椭圆形、长椭圆形。陶窑的形态,并非反映了时间的差异,而是根据陶窑的用途,不同大小的陶窑里生产了不同类型的土器。
      流通方式是指日常生活中的土器,在中央和地方分别设有专门的产地,并供应给邻近地区。汉城中央类型土器,从土器流通上共有与京畿南部地区。此外,在京畿北部和西部地区, 该地区自主生产。
      汉城期百济土器的生产和流通,由于新的制作技术的普及,导致了大量的生产体制产生了变化,因此,形成了极为复杂的生产方式。其次,对汉城期百济土器的使用方式进行了讨论。在推论过程中,最主要的是土器的形态、出土位置、痕迹观察等。汉城期百济土器按各种用途,可以分为餐具器、存储器、炊事容器、礼仪容器。
      餐具器按深度及口径,可以分为碗类、盘类、杯类。各种餐具器的发现意味着饮食文化的变化。虽然有的土器是受到了中国的多种类型土器的影响,但随着灶台的普及,食物的烹调方式多样化也造成了各种各样土器的生产。存储器、短颈壶、大壶、大瓮等形态和容量变得多样化。储藏量猛增也是值得关注的事情。
      “硬质无纹土器和炉址”的组合变身为"灶台和打捺纹炊事容器"的组合。这样的炊事容器和炊事设施的变化意味着烹调方法的变化。这意味着在单纯的煮制方式上添加了煮熟的方式。据分析的结果表明,这是随着多样的烹调饮食的发达,随之而来的各类土器的需求量激增。
      礼仪容器器形的变化,可能源于礼仪行为的改变。从不同种类土器来看,百济汉城初期的祭祀遗迹中,只发现有直口壶类,但到了汉城Ⅱ期,则有三足器、盖、直口短颈壶、磨光土器等各种各样土器。在礼仪行为方面,在祭祀遗迹或灰坑遗迹中可以发现土器上毁器的痕迹。

      汉城期百济土器制作技术的发达得益于打捺技术、削裁修整技术、车轮盘的普及,从而缩短了制作时间,奠定了批量生产的基础。随着烧成技术的发展,可以看出陶窑烧制、重复烧制、高火度烧制等皆可使用,按照土器类型的生产方式进行复杂的经营。另外,它还能生产出一种黑色磨研土器的特殊器形。流通网分为中央生产和地方生产两种,区域内设有多个生产地,并根据用途产生功能分化。通过配食器的发展确立了饮食习惯,并生产了用于礼仪行为的礼仪专用土器。超大型存储器的生产显示出剩余产品的增加,超大型炊事容器一般用于宴会、礼仪行为。此外,利用甑、长卵形土器、炉灶煮制料理方法的普及意味着当时已可以制造蒸酒、糕点等。
      笔者认为,随着技术的发达和陶器使用度的提高,从而导致汉城期百济土器的需求不断增加,并使得器物对社会的影响力大大增强。

      最后,论文探讨了百济汉城期和东亚陶器的文化交流。
      汉城期百济土器的形成过程受到了3次与中国的土器文化交流的影响。第1期是原三国时期,大多数出土器物以京畿北部、京畿西部地区为中心。包括北方的扶余、高句丽、乐浪,也可以发现与马韩地区及岭南地区的交流痕迹。
      第2期相当于汉城第Ⅰ期。这时期在汉城中央地区出土了大量的瓷器,京畿南部地区也有乐浪的炼铁技术集团的迁徙痕迹。特别是第2期引入乐浪的政治制度、炼铁技术,这可以视为促进汉城期百济生产技术的契机。
      第3期相当于汉城第Ⅱ期。正是开始于中国江南地区的交流的时期,也是政治稳定的一个阶段。以汉城中央地区为中心,出土了西晋、东晋时期的青瓷、青铜铺首等遗物。在这个时期,随着汉城第Ⅰ期开始触发的土器生产技术得以稳定,成为了新的中国江南地区物质文化流入的契机。

      汉城期百济土器以汉城第Ⅱ期为始发站,开始了生产技术发展、产量增加、中国仿制品制作。而且,餐具、饮食、酒、宴会、祭祀等多种的中国文化被吸收。然而汉城期百济土器的形成过程并非一蹴而就,而是在渐进式的交流过程中逐渐形成的。

      本文试图阐释汉城期百济土器的生产和使用方式。 在阐述、论证过程中,参考了考古实验与民族志资料,但这些资料在时间、空间方面存在一定的差异性,从而使得论证结果存在部分不确定性,存在进一步考察的余地。但在解释整个土器文化的过程中,注意到土器上留存下来的痕迹,设定了研究模式,并试图从多种角度接近历史真实。在汉城期百济土器较大的循环过程中,试图说明土器的发展过程,有一部分的内容或相当一部分内容存在不确定性,留待将来予以深入研究、考察。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je society throughout the analyses of the potter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during the Hanseong Backje period. Research on potteries in Korean archaeology has been dominated by a chronolo...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je society throughout the analyses of the potter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during the Hanseong Backje period. Research on potteries in Korean archaeology has been dominated by a chronological analysis. Recently, various new attempts such experimental works have been made, but such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with experimental works and application of ethnoarchaeological research could not successfully produce integrated interpretations beyond the individual analysis and research. Thus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Hanseong Baekje pottery ‘production-distribution-use-discard’ and to identify the social aspects reflected on them.

      The data material used for analysis belong to the period spaning from late proto-Three Kingdoms to Baekje Hanseong phases. The spatial boundary of the data material is the Seoul-Gyeonggi region with the 133 sites of the residence, production and burials. The study area is subdivided into the central region, the northen Gyeonggi province region,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region, and the western Gyeonggi province region. The total number of the potteries used for analysis is 7,642. It appears that different tempers were used, depending on the shapes closely related to functions. The main manufacturing techniques include the paddle and anvil, washing, and cutting surface methods.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es enhanced more specialized manufacturing at each stage tha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Both oxidized and reduced firing methods were used, depending on the shape types by controlling temperatures and firing conditions. Potteries produced by reduced firing are divided into the soft and hard types. Dining wares and ritual potteries were made as the soft types and the hardened types were used for storage jars. Cooking pots were produced by the cover-up firing technique in field kilns. The reduced firing technique was adopted in the Hanseong Ⅱ phase. However, a delay in adopting the reduced firing technique can be explained as the consequence of keeping the traditional technology intentionally rather than the immature pottery production technique of that time. It is thought that there was a dual pottery system comprising of mass production at the major kilns and the small-scale village workshop for cooking pots with the cover-up firing at the field hearth. In addition, there were various scales of the kilns such as small, middle, and large size with varied outlines such as round and elongated. Varied types of the kiln do not reflect the time period, but also the fact that the sizes of the kiln were associated with specialized production of certain pottery type.
      Daily used potteries were distributed from production centers of the capital and provincial regions to the adjacent areas. Hanseong type potteries representing the capital style were distributed through the shared network with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while potteries were locally produced in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or the western province. Presence of such complicate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ystems of the Hanseong Baekje can be explained in that this is the transition period to the mass production system by the spread of new production technologies and the increased demand.

      Use of Hanseong Backje potteries was also analysed. Functions and use of potteries are suggested from the analysis with variables such as the shapes of potteries, excavated context, and remains and marks shown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Use of potteries can be classified into dining wares, storages, cooking and ritual pots. Dining wares are classified into bowls, plates, and mounted dishes,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body and the width of the rim. Diversified dishes may indicate the fundamental change of the dining scene. Not only did the cultural influence from China, but also varied cooking methods enabled by the popularized earthened overground hearth had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dishes. The shape and size of storage jars such as short necked pots, large pots and large jars, are greatly varied. It is noticeable that the storage pits had increased in number.

      Combination of hard plain potteries and hearth turned into that of the overground hearth and imprinted cooking pots by paddles and anvils. Such a change reflects the change of cooking methods. It had shifted from the simple boiling to the steaming method. Such a change on the combination of cooking pots and hearth helped to develop various cooking methods and the demand of various potteries had increased accordingly. Ritual pots reflect the change of their shapes and ritual practices. Only upright lip pottery was found from the early Hanseong Backje sites. In the Hanseong Ⅱ period, the increased diversity of the mounted potteries, tripod dishes, lids, short necked jars with upright lip and burnished potteries are observed. Evidence of intentional breakage of the pottery from the ritual or pit features, is also found.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iques on Hanseong Backje potteries made the mass production possible due to reduction of manufacturing time helped by paddle and anvil technique, cutting surface method, and use of wheel. Development of firing technique enabled use of the kiln, multiple layers of pot stacking, and the high temperature firing while specialized production systems based on shapes was operated. In addition, very particular black burnished potteries could be produced. A duel distribution system consisting of the central and local centers and various small-scale production sites in each region was established. Pottery use was diversified, depending on functions. Development of dining wares shaped the mode of dining and ritual vessels exclusively used for ceremonies were produced. Production of extra large storage pots were used for the increased extra yields, and extra large pots were used for feast and ritual ceremonies. Distribution of steamer, large potteries, popularized steaming method using an earthened pots indicate production of alcohol beverages and rice cakes. Such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use of pottery reflects the increased demand of Hanseong Baekje pottery and their impact on the society.

      Lastly, Hanseong Baekje and the cultural exchange with the East Asian countries is discussed. Formation of Haseong Baekje pottery was greatly affected by the cultural exchange with Chinese dynasties over three phases. In the first phase,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various Lelang potteries were excavated in the northen and southern Gyeonggi provinces, and the cultural exchange with the northen Buyeo, Goguryeo, Lelang and various Mahan confederacy and Yeongnam regions. In the second phase corresponding to the Hanseong Ⅰ period, many incipient glazed potteries were excavated in the central region. It is suggested by the presence of a migration group with iron technology from Lelang area found in the southern Gyeonggi province. In particular, in the second phase, it appears that migration groups with pottery production and iron production technologies stimulated the development of Hanseong Baekje pottery production system. In the third phase corresponding to the Hanseong Ⅱ period, the cultural exchange with the Southern region of China was very active and Baekje became politically stabilized. Western Jin and Eastern Jin celadons and bronze handles were excavated. During this phase the pottery production technology, which was initiated in the Hanseong Ⅰ period, had advanced which provided an opportunity to adopt material cultures from the southern Chinese region.

      Hanseong Baekje pottery in the Hanseong Ⅱ phase marked by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increase of pottery production, and imitating chinese potteries. In social aspect, various Chinese influences in dining wares, cooking, alcohol, feast, rituals were introduced and adopted. Thus formation of Hanseong baekje pottery was not a rapid process but occurred through a gradual and long-term interaction.
      This research aims for identifying production systems and use of Hanseong Baekje potter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although careful application in citing experimental data and ethnographic observations are required due to the time gap and different geographical conditions. I regret that the attempt to fit various evidence remaining in potteries into a large framework to understand the cycle of Hanseong Baekje potteries inevitably produces rough explanations. It will be supplemented and improved in future wo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당대의 사회 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는 토기를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각 특징별로 나타나는 유기적 관계 및 변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한성기 백제의 토기...

      본 연구는 당대의 사회 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는 토기를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각 특징별로 나타나는 유기적 관계 및 변화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한성기 백제의 토기문화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동안 한국고고학에서 토기연구는 형태분석을 통한 편년 연구에 집중되어 왔다. 최근에 실험고고학을 통해 보다 본질적인 토기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지만, 실험고고학, 민족지고고학 등의 학제간 접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각각의 개별연구 혹은 분석에만 그치고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토기가 ‘생산-유통-사용-폐기’ 하는 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당대 사회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고의 분석대상이 되는 자료의 시간적 범위는 원삼국 후기부터 한성기 백제까지 출토된 토기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주거, 생산, 분묘 등 133개 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공간적 범위는 분석이 용이하도록 지역성에 대한 검토 내용을 반영하여 한강중심의 한성중앙권역, 경기북부권역, 경기남부권역, 경기서부권역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검토한 토기자료는 총7,642점이다.

      한성기 백제토기의 생산부분을 살펴보면, 우선 기종별로 태토의 혼입제를 다르게 선택 했으며, 이는 용도에 따른 분류라는 점이 주목된다. 성형방식에서는 타날기법, 물손질, 깎기정면이 주요한 제작기법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원삼국시대보다 각 제작공정이 복잡해지면서 제작자의 분업화가 진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소성방식은 기종별로 산화소성과 환원소성 방식을 병행했는데, 이는 가마내 소성분위기를 조절해서 생산한 것이다. 환원소성방식으로 생산한 토기는 다시 연질계와 경질계로 구분되는데, 연질계에는 배식기나 의례용기가 많았고, 경질계는 저장용기가 많이 차지하고 있다. 취사용기는 덮개형소성 방식으로 생산하였고 한성Ⅱ기에 들어서야 환원소성방식으로 변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한성기 백제토기의 소성방식은 제작기술의 미성숙이 아니라 토기의 용도를 충족하기 위한 기술계통의 소산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가마운영에 있어서는 생산지에서 생산하는 가마소성 방식과 개별 마을 단위로 취사용기 등을 생산하는 덮개형 노천소성방식으로 운영되었다. 그리고 가마는 크기가 대․중․소로 나뉘고, 형태도 타원형, 장타원형 등으로 다양했다. 이들 가마는 시기차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가마의 규모에 따라 생산 기종을 구분해서 생산했음을 의미한다.
      유통방식은 일상용기의 경우에는 중앙과 지방에서 별도의 생산지를 갖추고 인접지역으로 공급했다. 그리고 한성중앙양식토기의 경우에는 경기남부권역과 토기유통망이 공유되며, 경기북부나 서부권역에서는 재지에서 생산했다.
      한성기 백제토기의 생산, 유통은 새로운 제작기술의 보급, 소비지의 수요 증가 등으로 대량생산체제로 이행하는 과도기에 있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생산체제 양상을 나타냈던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한성기 백제토기의 사용방식에 대해 검토했다. 사용방식을 추론하는데 있어 토기의 형태, 출토 위치, 내외면에 관찰되는 흔적이 가장 주요했다. 한성기 백제토기는 용도별로 식기, 저장용기, 취사용기, 의례용기로 분류된다.
      식기는 심도, 구경폭 등을 분석해서 완류, 접시류, 배류로 구분이 가능했다. 그리고 다양한 식기는 곧 식사문화의 변화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중국으로부터 다양한 기종이 영향을 받은 점도 있겠지만 부뚜막의 보급에 따른 다양한 음식물의 조리도 배식기의 다양화 영향을 미쳤다. 저장용기는 단경호, 대호, 대옹 등 형태나 용량이 다양해졌다. 저장수혈도 급증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경질무문토기와 노지’ 조합 관계에서 ‘부뚜막과 타날문취사용기’ 조합 관계로 변화한다. 이러한 취사용기와 취사시설의 변화는 조리법의 변화도 의미한다. 단순한 끓이는 취사방식에서 찌는 방식이 더해진 것이다. 이는 다양한 조리 음식을 발달시켰고, 그에 따른 다양한 토기의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의례용기는 기종의 변화와 의례행위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기종별로는 한성백제 초기 제사유구에서는 직구호류 정도만 확인되지만 한성Ⅱ기에는 고배, 삼족기, 뚜껑, 직구단경호, 마연토기 등 다양하다. 의례행위에서도 제사유구나 수혈유구에서 토기의 일정부위에 의도적으로 타결한 흔적이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이 한성기 백제토기에서 제작기술의 발달은 타날기술, 깎기정면, 회전대의 보급으로 제작시간이 단축되어 대량생산화의 기반이 되었다. 소성기술의 발달에 따라 가마소성과 중첩소성, 고화도소성이 가능해 졌고, 기종에 따른 생산 방식으로 복잡하게 운영하였다. 또한 흑색마연토기라는 특수기종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유통망은 중앙산과 지방산으로 구분되고 권역 내에 여러 개의 생산지가 운영되었다. 용도별 기능 분화도 있었다. 배식기의 발달은 식사양식을 확립했고, 의례 행위에 사용되는 의례용 전용 토기가 생산되었다. 초대형 저장용기의 생산은 잉여생산물 증가, 초대형 취사용기의 등장은 연회, 의례행위용을 사용되었다. 그리고 시루, 장란형토기, 부뚜막에 의한 찜조리법의 보급은 술, 떡 등이 제조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기술발달과 토기의 사용은 한성기 백제토기는 수요의 증가에 따른 것이며, 이들 토기가 사회상에 크게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한성기 백제와 동아시아의 토기문화 교류양상을 검토하였다.
      한성기 백제토기의 형성과정은 3기에 걸친 對중국과의 토기문화 교류를 통해서 영향을 받았다. 1기에는 원삼국시기로 경기북부, 경기서부권역을 중심으로 낙랑계유물이 다수 출토되고 있으며, 북방부여․고구려, 낙랑, 여러 마한권역, 영남지역과의 교류 흔적도 나타난다.
      2기는 한성Ⅰ기에 해당하는 시기로 한성중앙에는 시유도기가 다량 출토되었으며, 경기남부권역에서는 낙랑의 제철기술집단의 이주한 흔적도 확인된다. 특히 2기에는 낙랑의 제도․제철기술집단의 이주는 한성기 백제토기 생산기술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3기는 한성Ⅱ기로 중국 강남지역과의 교류가 본격화된 시기이며, 정치적으로도 안정화된 시기이다. 한성중앙권역을 중심으로 서진․동진대 청자, 청동포수 등 유물이 출토된다. 이는 한성Ⅰ기부터 촉발된 토기생산기술이 안정화되면서, 새로운 중국 강남지역의 물질문화가 유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성기 백제토기는 한성Ⅱ기를 기점으로 생산기술의 발달, 생산량 증가, 중국 모방품 제작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사회적으로는 식기와 식문화, 술, 연회, 제사 등 다양한 중국문화가 흡수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같이 한성기 백제토기가 형성되는 과정은 일시적으로 진행된 것이 아니라 점진적인 교류 과정에 의해서 유기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본 논문은 한성기 백제토기의 생산과 사용방식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설명하고 논증하는 과정에서 참고한 복원실험자료나 민족지자료가 시기적으로나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어 다소 무리한 부분은 있었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전체 토기문화상을 해석하는데 있어 토기에 남아 있는 여러 흔적들을 해석하고 연구모델을 설정하는데 있어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해보고자 한데 있었다. 이러한 소략해진 부분이나 혹은 상대적으로 내용이 늘어진 부분들은 향후 연구 방향으로 설정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第1章 序言 1
      • 1. 연구현황 2
      • 2. 연구목적과 방법 9
      • 第2章 漢城期 百濟土器의 時期區分과 地域性 13
      • 1. 한성기 백제토기의 정의 및 기종별 특징 13
      • 第1章 序言 1
      • 1. 연구현황 2
      • 2. 연구목적과 방법 9
      • 第2章 漢城期 百濟土器의 時期區分과 地域性 13
      • 1. 한성기 백제토기의 정의 및 기종별 특징 13
      • 2. 한성기 백제토기의 시기구분 및 계통 30
      • 3. 한성기 백제의 서울․경기지역 유적 현황과 지역성 35
      • 1) 한성중앙권역 37
      • 2) 경기북부권역 38
      • 3) 경기남부권역 42
      • 4) 경기서부권역 49
      • 第3章 漢城期 百濟土器의 生産과 流通 51
      • 1. 제작공방과 제작도구 51
      • 1) 제작공방 51
      • 2) 제작 도구의 종류와 특징 59
      • 2. 제작기법 63
      • 1) 점토 채취 및 태토 준비 63
      • 2) 제작기법에 따른 토기 성형 흔적 관찰 66
      • 3) 제작 공정 복원 80
      • 3. 소성방법 87
      • 1) 소성흔적 관찰 87
      • 2) 토기 소성방식 94
      • 3) 토기가마의 운영 방식 103
      • 4. 토기의 유통 113
      • 1) 기종 분포에 따른 토기 유통망 113
      • 2) 생산 유적별 입지에 따른 유통 122
      • 5. 소결 128
      • 第4章 漢城期 百濟土器의 使用 129
      • 1. 토기의 기능에 따른 분류 131
      • 2. 일상용기 132
      • 1) 식기 132
      • 2) 저장용기 136
      • 3. 의례용기 141
      • 1) 제사유구 출토 의례용기 141
      • 2) 의례용기의 사용 사례와 제의 행위 145
      • 4. 취사용기 148
      • 1) 권역별 취사시설과 취사용기의 양상 148
      • 2) 취사용기의 사용흔과 사용방식 167
      • 3) 취사용기의 연회용과 轉用 사례 188
      • 5. 소결 192
      • 第5章 漢城期 百濟土器의 生産體制와 使用方式의 展開 193
      • 1. 한성기 백제토기 생산체제의 전개 193
      • 1) 생산의 분업화와 규격화 193
      • 2) 가마소성과 대량생산 204
      • 3) 한성기 백제토기의 생산 체제 209
      • 4) 한성기 백제토기의 유통망 216
      • 2. 한성기 백제토기 사용방식의 변화 218
      • 1) 식기의 다양화 218
      • 2) 한성기 백제 취사방식의 변화와 찜조리법의 보급 223
      • 3) 대형 용기와 의례용기의 등장과 사용 228
      • 3. 對중국간 교류를 통해서 본 한성기 백제토기의 형성과정 231
      • 1) 원삼국~한성기 백제 외래유물을 통해서 본 토기문화 교류 232
      • 2) 한성기 백제토기 형성기에 있어서 중국의 영향 244
      • 4. 고대 동아시아의 토기 생산기술과 飯床 문화의 교류 254
      • 1) 토기 생산 기술의 혁신 254
      • 2) 고대 동아시아 飯床 문화의 확산 260
      • 3) 한성기 백제 중국 고대 식사문화의 영향과 변화 265
      • 5. 소결 : 한성기 백제토기의 순환 과정 268
      • 第6章 結語 272
      • 【參考文獻】 276
      • 【參考一覽表】 298
      • 【Abstract】 302
      • 【中文摘要】 307
      • 【日文抄録】 31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수옥, "취사의고고학", 서경문화사, 서경출판사, 2008

      2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Ⅰ", 『風納土城』Ⅰ, 2000

      3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Ⅱ.", 『風納土城』Ⅱ, 2001

      4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Ⅲ.", 『風納土城』Ⅲ, 2003

      5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Ⅳ.", 『風納土城』Ⅳ, 2004

      6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Ⅴ.", 『風納土城』Ⅴ, 2005

      7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Ⅵ.", 『風納土城』Ⅵ, 2006

      8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Ⅶ.", 『風納土城』Ⅶ, 2007

      9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Ⅸ.", 『風納土城』Ⅸ, 2008

      10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Ⅹ.", 『風納土城』Ⅹ, 2009

      1 정수옥, "취사의고고학", 서경문화사, 서경출판사, 2008

      2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Ⅰ", 『風納土城』Ⅰ, 2000

      3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Ⅱ.", 『風納土城』Ⅱ, 2001

      4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Ⅲ.", 『風納土城』Ⅲ, 2003

      5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Ⅳ.", 『風納土城』Ⅳ, 2004

      6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Ⅴ.", 『風納土城』Ⅴ, 2005

      7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Ⅵ.", 『風納土城』Ⅵ, 2006

      8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Ⅶ.", 『風納土城』Ⅶ, 2007

      9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Ⅸ.", 『風納土城』Ⅸ, 2008

      10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Ⅹ.", 『風納土城』Ⅹ, 2009

      11 세종대학교박물관, "『포천 금주리』", 박물관 간행보고서 45권, 2005

      12 박순발, "「深鉢形土器考」", 『湖西考古學』제4,5집, 湖西考古學會, 2001

      13 박순발, "『백제토기탐구』", 주류성, 주류성, 2006

      14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ⅩⅠ.", 『風納土城』ⅩⅠ, 2009

      15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ⅩⅡ.", 『風納土城』ⅩⅡ, 2011

      16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ⅩⅢ.", 『風納土城』ⅩⅢ, 2012

      17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ⅩⅣ.", 『風納土城』ⅩⅣ, 2012

      18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ⅩⅤ.", 『風納土城』ⅩⅤ, 2013

      19 한신대학교박물관, "『風納土城』ⅩⅥ.", 『風納土城』ⅩⅥ, 2013

      20 미사리선사유적발굴조사단, "『미사리』 제 2권.", 미사리선사유적발굴조사단, 『미사리』 제 2권, 1994

      21 미사리선사유적발굴조사단, "『미사리』 제 3권.", 숭실대학교 박물관, 『미사리』 제 3권, 1994

      22 미사리선사유적발굴조사단, "『미사리』 제 4권.", 미사리선사유적발굴조사단, 『미사리』 제 4권, 1994

      23 미사리선사유적발굴조사단, "『미사리』 제 5권.", 고려대학교 발굴조사단, 『미사리』 제 5권, 1994

      24 박순발, "『漢城百濟의誕生』", 서경문화사, 2001

      25 任孝宰, 李眞旼, 金成南, "『華城古琴山遺蹟』", 서울대학교박물관, 2002

      26 서울대학교박물관, "『석촌동고분군Ⅰ』", 서울대학교 박물관, 서울대학교박물관, 2013

      27 기전문화재연구원, "『수원이목동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2008

      28 정인성, "「樂浪土城의 土器」", 『韓國古代史硏究』제34권, 한국고대사학회, 2004

      29 金鍾萬, "『백제토기 신연구』", 서경문화사, 2007

      30 수원대학교박물관, "『화성 장안리유적』", 수원대학교박물관, 2008

      31 이성주, "역, , 『토기연구법』", 도서출판考古, 2008

      32 국립공주박물관, "『中國 六朝의 陶磁』", 국립공주박물관, 2011

      33 김용주, "『百濟 臺附碗 硏究』", 충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34 崔秉鉉, "『華城 旺林里 遺蹟』", 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35 임동민, "『백제의 동진 교섭』",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6 한울문화재연구원, "『서울 우면동 유적』", 한얼문화재연구원, 2012

      37 부산복천박물관, "『선사 고대의 요리』", 부산복천박물관, 2005

      38 경기도박물관, "『연천 동이리 유적』", 경기도박물관, 경기도박물관, 2008

      39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 목기』",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08

      40 서울대학교박물관, "『화성마하리고분군』", 서울대학교박물관,숭실대학교박물관, 2004

      41 음식고고연구회, "『炊事實驗의 考古學』", 서경문화사, 2011

      42 서울大學校博物館, "『議政府 民樂洞遺蹟』", 서울大學校博物館 韓國土地公 社 서울支社, 1996

      43 세종대학교박물관, "『남양주 지금동유적』", 박물관 간행보고서 66권, null

      44 국립문화재연구소, "주체철학교과서집필조,", 『風納土城』Ⅷ, 2008

      45 한국고고환경연구소, "『土器 燒成의 考古學』", 서경문화사, 2007

      46 土田純子, "『百濟土器 編年 硏究』", 충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7 李鮮馥, "『華城 堂下里 Ⅰ遺蹟』", 崇實大學校博物館 서울大學校博物 館 韓國高速鐵道建設公團, 2000

      48 權五榮,, "『華城 堂下里 Ⅱ遺蹟』", 한신대학교박물관, 2004

      49 KATIE STEWART,, "『食과 料理의 世界史』", 東明社, 2007

      50 사공정길, "『高句麗 食生活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3

      51 염경화, "『중국 운남의 질그릇』", 민속원, 민속원, 2007

      52 호암미술관, "『화성 마하리 고분군』", 호암미술관, 호암미술관, 1998

      53 국립중앙박물관, "『華城旗安里製鐵遺蹟』", 國立中央博物館 古蹟調査報告第42冊, 2014

      54 김원룡, "「심발형토기에 대하여」", 『고고학지』11, 2000

      55 畿甸文化財研究院, "『龍仁 竹田대덕골遺跡』", 畿甸文化財研究院, 2006

      56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을 格物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1

      57 부여문화재보존센터, "『扶餘 佳塔里 百濟遺蹟』", 부여문화재보존센터, 2010

      58 박순발, "『百濟 國家의 形成硏究』",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59 주혜미, "『백제 직구단경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60 국립중앙박물관, "『황금의 나라 황남대총』", 국립중앙박물관, 2010

      61 김일규, "『百濟 考古學 編年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62 金成南, "『華城 馬霞里 百濟 집터』", 서울대학교박물관, 2006

      63 부여문화재보존센터, "『부여 쌍북리 184-11 유적』", 부여문화재보존센터, 2014

      64 최성락, "「토기연구방법론의 검토」", 『목포대학교박물관 20주년 기념논총』, 2003

      65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한국출토 외래유물』 1~3", 『한국출토 외래유물』 1~3, 2011

      66 기호문화재연구원, "『光敎 新都市 文化遺蹟Ⅴ』", 기호문화재연구원 경기도시공사, 2011

      67 남상원, "『百濟 黑色磨硏土器 硏究』", 忠北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12

      68 금강문화유산연구원, "『부여 가탑리 가탑들유적』", 금강문화유산연구원, 2012

      69 국립중앙박물관, "『갈대밭 속의 나라 다호리』", 국립중앙박물관, 2008

      70 중원문화재연구원, ", 『안성 양기리유적』, 제50책", 중원문화재연구원, 2008

      71 국립문화재연구소, "『백제 한성지역 유물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72 송만영, "『중부지방 취락고고학 연구』", 서경문화사, 2013

      73 국립진주박물관, "『청동기시대의 대평 대평인』", 국립진주박물관, 2002

      74 서현주, "「인천 영종도의 원삼국문화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전통문화논총』8輯, 2010

      75 신윤정, "『漢城百濟期 盒 洗類의 硏究』",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6 崔卿煥, "『百濟 土器窯址에 대한 硏究』", 『百濟 土器窯址에 대한 硏究』忠南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0

      77 李容喜, "『韓國 古代漆器의 技法 硏究』", 公州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2010

      78 백제문화재연구원, "『부여 쌍북리 602-10번지 유적』", 백제문화재연구원, 백제문화재연구원, 2010

      79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韓國의 先 原史 土器』", 국립중앙박물관, 1993

      80 金斗權, "『漢城期 百濟土器의 뚜껑 硏究』", 숭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81 충청문화재연구원, "『부여 쌍북리 현내들 북포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09

      82 한정헌, "「중국 다이족의 토기 제작 연구」", 한국도자학회, 『한국도자학연구』Vol.9 No.1, 한국도자학회, 2012

      83 ICOMOS한국위원회, "『세계문화유산 고구려 고분벽화』", ICOMOS한국위원회, 2004

      84 林永珍, "「中國 六朝磁器의 百濟 導入背景」", 『韓國考古學報』 83, 2012

      85 權五榮, "「漢城百濟의 時間的 上限과 下限」", 『百濟硏究』53, 2011

      86 노혁진, "「가평달전리 토광묘 발굴의 의미」", 『한국의고고학』창간호, 주류 성출판사, 2006

      87 김원룡, "『夢村土城 - 東北地區發掘報告書』", 서울大學校博物館, 1987

      88 부여문화재보존센터, "『부여 가탑리 393-35번지 백제유적』", 부여문화재보존센터, 2014

      89 충청문화재연구원, "『부여 가탑리 왕포리 군수리유적』", 忠淸文化財硏究院, 충청문화재연구원, 2003

      90 박순발, "「고고학적으로 본 요서(遼西)지역」", 『백제와 요서』(2015년 하반 기 쟁점백제사 집중토론학술회의Ⅶ), 2015

      91 權五榮, "「유물을 통해 본 풍납토성의 위상」", 『풍납토성 500년 백제왕도 의 비전과 과제』, 2007

      92 山本孝文, "『韓國 古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 博士學 位論文, 2005

      93 국립광주박물관, "『특별전 先 原史人의 道具와 技術』", 국립광주박물관, 1994

      94 畿甸文化財硏究院, "『대덕골유적』, 學術調査報告 第34冊", 畿甸文化財硏究 院 韓國土地公社, 2003

      95 김리나, "『세계문화유산 고구려의 고분벽화』", ICOMOS 문화재청, 2004

      96 한강문화재연구원, "『원주 반곡동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한강문화재연구원, 2013

      97 호암미술관, "『이천 효양산유적 발굴조사보고서』", 호암미술관, 호암미술관, 1995

      98 成正鏞, "「백제 관련 연대결정자료와 연대관」", 호서고고학회, 『湖西考古學』 22, 2010

      99 土田純子, "『百濟土器 東아시아 交叉編年 硏究』", 서경출판사, 2014

      100 황용훈, "『양평군 문호리지구 유적 발굴보고』", 1974

      101 윤대식, "「청주지역 백제 파배의 형식과 용도」", 충북대학교 대학원, 『湖西考古學報』第11輯, 湖西考古學會, 2004

      102 이성준, "『한성기 백제 도성의 개발방식 연구』", 한국고고학회, 韓國考古學報 第102輯, 韓 國考古學會, 2017

      103 정인성, "「牧羊城 출토 토기의 성격과 그 주변」", 『中国史学会』, 第8回国 際学術大会, 2007

      104 한림대학교박물관, "『가평 달전리 유적-청동기시대 취락-』", 한림대학교박물관, 2007

      105 박경식, "『이천 설봉산성 2차 발굴조사 보고서』",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단국대학교 매장문화 재연구소 이천시, 2001

      106 김원룡, "『夢村土城 - 東南地區發掘調査報告書』", 서울大學校博物館, 1988

      107 김원룡, "『夢村土城 - 西南地區發掘調査報告書』", 서울大學校博物館, 1989

      108 전동현, "『漢城百濟期 炊事容器의 形成과 變遷』", 숭실대학교대학원 석사학 위 논문, 2010

      109 權五榮, "「풍납토성 출토 외래유물에 대한 검토」",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百濟硏究』 36, 2002

      110 김원용, "『石村洞3號墳(積石塚) 發掘調査報告書』", 서울大學校博物館, 1983

      111 한얼문화유산연구원, "『서울 우면동 유적』, 發掘調査報告 17冊", 서울특별시 에스에이치공사 진흥개업주식회사 한얼문화유산연구원, 2012

      112 한울문화재연구원, "『수원이목동생활유적』, 발굴조사보고12", 재단법인한울 문화재연구원 ㈜마니디앤씨, 2010

      113 국립문화재연구소, "『한성기 백제토기생산 기술 복원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114 高麗文化財硏究院, "『安養冠陽洞遺蹟』, 學術調査報告 第60輯", (財)高麗 文化財硏究院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지역본부, 2012

      115 김원용, 임영진, "『石村洞3號墳東쪽 古墳群整理調査報告』", 서울大學校博物館, 1986

      116 高麗文化財硏究院, "『金浦 陽村 遺蹟』,學術調査報告書第64輯", (財)高麗文 化財硏究院 한국토지주택공사, 2013

      117 충청문화재연구원, "『부여 능산리 동나성 내 외부 백제유적』", 충청문화재연구원, 2006

      118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한국 목기자료집Ⅱ -생활구 및 용기편』",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3

      119 金京福, "『古墳壁畵에 나타난 고구려인의 食生活』", 高麗大學校 大學院 碩 士學位論文, 2005

      120 기호문화재연구원, "『坡州 陵山里遺蹟』, 發掘調査報告 第11冊", 기호문화재 연구원 경기도시공사, 2010

      121 中部考古學硏究所, "『華城길吉城里土城』,學術調査報告第14冊", ㈜엔텍시스 템 중부고고학연구소, 2013

      122 박경식, "『이천 설성산성 2ㆍ3차 발굴조사 보고서』", 매장문화재연구소 학술조사총서 제26책,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이천시, 2004

      123 中央文化財硏究院,, "『龍仁 貢稅里遺蹟』, 發掘調査報告 第66冊", 中央文化財 硏究院 ㈜지에스建設, 2006

      124 權五榮, "「百濟文化의 이해를 위한 中國 六朝文化」", 『한국고대사연구』 37, 2005

      125 高麗文化財硏究院, "『加平 項沙里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52冊", (財)高麗 文化財硏究院 (주)경남기업, 2010

      126 中央文化財硏究, "『安城 新頭里遺蹟』, 發掘調査報告 第168冊", 中央文化 財硏究院 농협중앙회안성목장, 2010

      127 高麗文化財硏究院, "『富川 如月洞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45輯", 고려문화 재연구원, 2009

      128 기호문화재연구원, "『平澤 栢峯里 遺蹟』, 發掘調査報告 第12冊", 기호문화 재연구원 경기고속도로㈜, 2010

      129 이성준, "『漢城期 百濟 地域社會의 相互作用 硏究』", 충남대학교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5

      130 京畿文化財硏究院, "『烏山 佳水洞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89冊", 京畿文化 財硏究院 ㈜늘푸른오스카빌, 2007

      131 강원표, "『百濟 三足土器의 擴散과 消滅過程 硏究』", 고려대학교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1

      132 부여문화재보존센터, "『부여 쌍북리 154-10번지 사비공방구 유적』", 부여문화재보존센터, 2014

      133 겨례문화유산연구원, "『오산 청학동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25책", 겨례문 화유산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2013

      134 한강문화재연구원, "『인천 운북동 유적』, 유적조사보고 제24책", 한강문화 재연구원 인천도시공사㈜리포인천개발, 2012

      135 高麗文化財硏究院, "『驪州 淵陽里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57輯", (財)高麗 文化財硏究院 서울지방국토관리청, 2012

      136 高麗文化財硏究院, "『蓮川 江內里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59冊", (財)高麗 文化財硏究院 한국수자원공사 임진강건설단, 2012

      137 高麗文化財硏究院, "『龍仁 上葛洞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30冊", (財)高麗 文化財硏究院 경기문화재단, 2008

      138 韓國文化財保護財團, "『金浦 鶴雲里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217冊", 韓國文 化財保護財團 경기도시공사, 2009

      139 韓國文化財保護財團, "『高陽 九山洞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230冊", 韓國文 化財保護財團 한국토지주택공사, 2011

      140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용인 청덕동 유적』, 學術調査報告 第189冊", 韓國文 化財保護財團 韓國住宅公社, 2007

      141 金元龍, "「百濟古墳과 土器類-華城郡麻道面白谷里-」", 『百濟硏究』, 1971

      142 權五榮, "「백제국(伯濟國)에서 백제(伯濟)로의 전환」", 『역사와 현실』40, 2001

      143 기호문화재연구원, "『포천 자작리유적Ⅲ』, 發掘調査報告 第36冊", 포천시 기호문화재연구원, 2015

      144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한국 출토 외래유물 초기철기~삼국시대』",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1

      145 국립문화재연구소, "『한성백제 건축유적 유형분류와 복원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146 국립문화재연구소, "『한성지역 백제토기 분류표준화 방안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147 박성희, "「경춘복선 가평역사부지 (달전리)발굴조사」", 『고구려 고고학의 제문제』, 제27회한국고고학 전국대회발표자료집, 2003

      148 成正鏞, "『中西部 馬韓地域의 百濟領域化 過程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49 高麗文化財硏究院, "『烏山 內三美洞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51輯", (財)高 麗文化財硏究院 한국토지주택공사 오산직할사업단, 2010

      150 한강문화재연구원, "『김포 운양동 유적Ⅱ』, 유적조사보고 제36책", 한강문 화재연구원 토지주택공사, 2013

      151 畿甸文化財硏究院, "『漣川 鶴谷里 積石塚』, 學術調査報告 第38冊", 畿甸文 化財硏究院 서울地方國土管理廳, 2004

      152 李潤燮, "「백제 사비기 대부완 및 뚜껑에 대한 일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忠南大學校大學 院 碩士學位論文, 2015

      153 이종민, "「百濟時代 輸入陶磁의 影響과 陶磁史的 意義」", 『百濟硏究』第 27輯,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7

      154 박경신, "「韓半島 中部以南地方 土器 시루의 發展過程」", 『崇實史學』第 17 輯, 崇實史學會, 2004

      155 韓國精神文化硏究院, "『三國時代遺蹟의 調査硏究-華城 白谷里 古墳』", 調 査硏究報告書94-1, 1994

      156 國立中央博物館, "『岩寺洞Ⅱ』,國立博物館古蹟調査報告第三十冊", 國立中央博 物館 서울特別市江東區, 1999

      157 畿甸文化財硏究院, "『華城 發安里 마을遺蹟』, 學術調査報告 第80冊", 畿甸 文化財硏究院 大韓住宅公社 京畿地域本部, 2007

      158 畿甸文化財硏究院, "『華城 石隅里 먹실遺蹟』, 學術調査報告 第86冊", 畿甸 文化財硏究院 韓國土地公社, 2007

      159 畿甸文化財硏究院, "『龍仁 寶亭里 소실遺蹟』, 學術調査報告 第57冊", 畿甸 文化財硏究院 (株)에스제이종합건설, 2005

      160 成正鏞, "「百濟와 中國의 貿易陶磁」,『百濟硏究』第38輯", 충남대학교 백제 연구소, 2003

      161 김성남, "「백제 한성양식 토기의 형성과 변천에 대하여」", 중부고고학회, 『고고학』3-1, 중 부고고학회, 2004

      162 이휘달, "「백제권역 출토 중국 육조자기의 연대와 성격」", 『고분을 통해 본 호남지역의 대외교류와 연대관』, 제1회 고대고분국제학술대회, 2016

      163 이성주, "「원삼국시대 토기의 유형 계보 편년 생산체제」", 『한국고대사논 총』2집, 한국고대사학회, 1991

      164 京畿文化財硏究院, "『廣州 墻枝洞 聚落遺蹟』, 學術調査報告 第120冊", 京 畿文化財硏究院 (주)현대건설 서울지방국토관리청, 2010

      165 高麗文化財硏究院, "『河南 望月洞 龜山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26輯", (財) 高麗文化財硏究院 ㈜서울-춘천 고속도로, 2008

      166 기호문화재연구원, "『동탄 2신도시 문화유적』, 發掘調査報告 第29冊", 경기 도시공사 기호문화재연구원, 2013

      167 기호문화재연구원, "『烏山 塔洞, 斗谷洞 遺蹟』, 發掘調査報告 第27冊", 한 국토지주택공사 기호문화재연구원, 2013

      168 이명엽, "「百濟土器 新器種의 出現과 中國陶磁器의 影向」", 『고문화』제67 호,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06

      169 鄭修鈺, "「심발형토기의 사용흔 분석」,『炊事의 考古學』", 서경문화사, 2008

      170 나선민, "『中西部地域 原三國-漢城期 百濟 시루(甑) 硏究』", 충남대학교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71 남상원, "「제작기술을 통해 본 백제 흑색마연토기의 의미」", 한국고고학회, 『韓國考古學 報』第89輯, 韓國考古學會, 2013

      172 中央文化財硏究院, "『抱川 射亭里 모래내遺蹟』, 發掘調査報告 第217冊", 中 央文化財硏究院 韓國水資源公社 臨津江建設團, 2014

      173 畿甸文化財硏究院, "『河南 德豊洞 수리골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59冊", 畿 甸文化財硏究院 하남시, 2005

      174 畿甸文化財硏究院, "『華城 盤松里 행장골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75冊", 畿甸文化財硏究院 韓國住宅公社, 2006

      175 中部考古學硏究所, "『華城旺林里노리재골Ⅰ遺蹟』, 中部考古學硏究所", 삼성 중공업, 2012

      176 金鍾萬, "「泗比時代 灰色土器의 性格」『湖西考古學』第9輯", 호서고고학회, 2003

      177 한지선, "『土器를 통해서 본 百濟 古代國家 形成過程 硏究』", 중앙대학교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78 畿甸文化財硏究院,, "『華城 半月里속반달이遺蹟』, 學術調査報告 第78冊", 畿 甸文化財硏究院 (株)斗山産業開發, 2007

      179 경기도박물관, "『소근산성』, 경기도박물관 유적조사보고서 제29책", 경기도 박물관, 2012

      180 숭실대학교한국기독교박물관,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타날문토기의 등장과 전개」", 『숭실대제10회 매산기념강좌』, 2013

      181 權五榮,, "「考古資料를 중심으로 본 百濟와 中國의 文物交流」", 『震檀學報』 66, 1988

      182 김왕국, 한지선, "「한성백제기 전달린 토기 연구」,『漢江考古』第8號", 한강 문화재연구원, 2011

      183 김은정, "『湖南地域의 馬韓 土器-住居址 出土品을 中心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84 최성애, "『風納土城 土器의 製作類型과 變化에 대한 一考察』",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85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사비도성-능산리 및 군수리지점 발굴조사 보고서』",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3

      186 한신대학교박물관, "『용인 고림동유적 발굴조사 2차 지도위원회의 자료』", 한신대학교박물관, 2009

      187 韓芝守, "『4C 百濟地域에서 出土된 東晉代 瓷器의 歷史的 意味』", 중앙대 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88 조윤재, "「고고자료로 본 한성백제와 兩晉, 十六國의 대외교섭」", 『백제의 성장과 중국』(2014년 하반기 쟁점백제사 집중토론 학술회의), 2014

      189 김수경 ( Kim Suk Yong ), 남상원 ( Nam Sang Won ), "실험 고고학을 통해 본 백제 흑색마연토기 제작기술 연구", 백제학회, 『백제학보』12, 백제학회, 2014

      190 경기도박물관, "『고양 멱절산 유적』, 京畿道博物館 遺蹟調査報告 第20冊", 경기도박물관, 2005

      191 김장석, "『백제의 생산기술과 유통체제-토기와 철기를 중심으로』", 한신 대학교 박물관, 2005

      192 한지선, "「漢城百濟期의 盌의 製作技法과 그 變遷」,『문화재』44-4", 국립 문화재연구소, 2011

      193 김은정, "「韓半島 中西部 以南地域 土器 成形技法에 대한 一考察」", 『湖南 考古學報』31輯, 호남고고학회, 2009

      194 박순발, "「백제의 해상교통과 기항지 –對 中國航路를 중심으로-」", 『百 濟學報』 16, 2016

      195 金武重, "「용인 대덕골유적」,『第45회 한국고고학대회 발표요지』", 한국고 고학회, 2003

      196 숭실대학교한국기독교박물관, "「쟁점, 중부지역 원삼국시대~한성백제 물질 문화 편년」", 『숭실대제11회 매산기념강좌』, 2014

      197 土田純子, "『百濟 土器의 編年 硏究 : 三族器 高杯 뚜껑을 중심으로』", 충 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98 김은정, "「호남지역 원삼국~삼국시대 토기가마의 조업방식 연구」", 한국대학박물관협회, 『고문 화』82집,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3

      199 경기도박물관, "『抱川 自作里遺蹟Ⅰ』, 京畿道博物館 遺蹟調査報告 第14冊", 경기도박물관, 2004

      200 鄭修鈺, "『風納土城 炊事用土器 硏究 : 製作技法과 使用痕의 分析』", 고려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01 한울문화재연구원, "한울문화재연구원, , 『부천 범박동유적』, 발굴조사보고 19", 재단법인 한울 문화재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지역본부, 2011

      202 鄭修鈺, "「백제 한성기 취사용기에 대한 검토」,『문화재지』44권4호", 국립 문화재연구소, 2011

      203 부여문화재보존센터, "『부여 구아리 319 부여중앙성결교회 유적발굴조사 보고서』", 부여문화재보존센터, 2012

      204 成正鏞, "「중서부지역 원삼국시대 토기 양상」,『韓國考古學報』60輯", 韓國 考古學會, 2006

      205 정인성, "「樂浪 帶方과 馬韓諸國의 관계를 보여주는 고고자료 검토」", 『백 제의 성장과 중국』(2014년 하반기 쟁점백제사집중토론 학술회의), 2014

      206 土田純子, "「馬韓 百濟地域 出土 炊事容器 變遷考」,『百濟硏究』第58輯",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3

      207 이성주, "「風納土城 土器遺物群의 年代와 百濟土器 漢城樣式의 成立」", 『湖 南考古學報』第49輯, 2015

      208 孫晙鎬, 庄田慎矢, "「송국리형옹관의 소성 및 사용방법 연구」,『湖西考古 学』11", 湖西考古學會, 2004

      209 京畿道博物館, "『抱川 城洞里 마을遺蹟』, 京畿道博物館 遺蹟調査報告 第2 冊", 京畿道博物館, 1999

      210 국방문화재연구원, "『연천 군남홍수조절지 내 횡산리적석총 발굴조사 약보고서』", 국방문화재연구원, 2010

      211 한신, "大學校博物館, , 『吉城里土城』,한신大學校博物館叢書 第16冊", 한신大學 校博物館, 2003

      212 박순발, "「漢城百濟의 對外關係-國家成立期 對外交涉의 實狀과 意義-」", 『百濟硏究』27, 1999

      213 鄭修鈺, "「風納土城 炊事用器의 調理痕과 使用方法」,『湖西考古學』17", 湖 西考古學會, 2007

      214 李明燁, "『百濟土器의 成立과 發展過程에 나타난 中國 陶磁器의 影響』",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15 한신대학교학술원, "『백제 생산기술의 발달과 유통체계 확대의 정치사회적 함의』", 학연문화사, 학연문화사, 2008

      216 기호문화재연구원, "『龍仁 農書里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7冊, 기호문화 재연구원", 한국도로공사수도권건설사업단, 2009

      217 한신, "大學校博物館, , 『花山古墳群』, 한신大學校博物館叢書 第14冊", 한신大 學校博物館, 2002

      218 조대연, "「진천 삼룡리 산수리유적 출토 토기의 생산기술에 관한 고찰」", 『한국상고사학보』62, 한국상고사학회, 2008

      219 畿甸文化財硏究院, "『加平 大成里遺蹟』, 學術調査報告 第103冊, 京畿文化 財硏究院", (株)삼성엔지니어링, 2009

      220 京畿文化財硏究院, "『烏山 水淸洞 遺蹟』, 學術調査報告 第63冊, 畿甸文化 財硏究院", ㈜우미건설, 2006

      221 京機大學校 博物館, "『華城 甘杯山 遺蹟』, 京機大學校 博物館 調査報告 叢書 第18輯", 京機大學校 博物館 豊盛주택 주식회사, 2006

      222 鄭修鈺, "「백제 식기(食器)의 양상과 식사문화」,『中央考古硏究』第17輯", 중앙문화재연구원, 2015

      223 한백문화재연구원, "『오산 외삼미동 유적』, 한백문화재연구원 학술조사총서 제29책", 경기고속도로 주식회사 (재)한백문화재연구원, 2011

      224 방유리, "「百濟土器 製作 技法 硏究 : 利川 雪峰山城 出土品을 中心으로」", 『文化史學』16, 한국문화사학회, 2001

      225 庄田慎矢, "「靑銅器時代 土器燒成技法의 實證的 硏究」,『호남고고학보』23", 호남고고학회, 2006

      226 山本孝文, "「百濟 臺附碗의 受容과 變遷의 劃期」,『國立公州博物館紀要』 4", 국립공주박물관, 2005

      227 李庚美, "「樂浪古墳出土 漆器에 對한 一考察」, 『韓國上古史學報』第11號", 韓國上古史學會, 1992

      228 한신대학교박물관, "『華城 佳才里 原三國 土器 窯址』, 한신대학교박물관 총서 제28책", 한신대학교박물관, 2007

      229 기전문화재연구원, "『수원영통동뒷골유적』, 학술조사보고제87책, 畿甸文化 財硏究院", 대전국제학교, 2007

      230 세종대학교 박물관, "『하남 광암동 유적』, 세종대학교 박물관 학술조사보 고서 제57책", 세종대학교 박물관 하남시, 2006

      231 한백문화재연구원, "『화성 청계리 유적 Ⅰ』, 한백문화재연구원 학술조사 총서 제39책", 한국토지주택공사 (재)한백문화재연구원, 2013

      232 겨레문화유산연구원, "『가평 대성리유적Ⅱ』, 학술조사보고 제4책, 겨레문 화유산연구원", 한국철도시설공단, 2011

      233 한국고고환경연구소, "『고속국도 제45호선 여주~양평간 건설공사구간(3공 구) 내 유적』", 한국고고환경연구소(구-매장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환경연구소 한국도로공사, 2008

      234 김은혜, "『백제 직구단경호 연구-중서부지역 분묘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35 국방문화재연구원, "『파주 동패리 유적』, (재)국방문화재연구원 학술조사 보고 제 28책", (재)국방문화재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2012

      236 食文化探究會, "「竈炊事의 實驗考古學的 檢討」,『樣式의 考古學』, 韓國考 古學會", 제32회 韓國考古學全國大會 자유패널, 2008

      237 한신, "大學校博物館, , 『華城吉城里土城Ⅰ』, 한신大學校博物館叢書第36冊", 한 신大學校博物館, 2010

      238 한신대학교박물관, "『華城 旺林里 노리재골Ⅱ 百濟遺蹟』, 한신대학교박물 관총서 제38책", 서울지방국토관리청 한신대학교박물관, 2011

      239 서경문화재연구원, "『인천 연희동 유적-2014인천 아시아경기대회 주경기장 건 립부지 내』", 서경문화재연구원 발굴조사보고서 제9책, 2013

      240 한성백제박물관, "『백제와 요서지역』(2015년 하반기 쟁점백제사 집중토론 학술회의 Ⅶ).", 『백제와 요서지역』(2015년 하반기 쟁점백제사 집중토론 학술회의 Ⅶ), 2015

      241 鄭修鈺, "「古代 木製 食器의 組成과 特徵에 대한 檢討」,『한일공동연구논 집』", 국립문화재연구소, 2010

      242 한지선, "「장란형토기의 사용흔 분석을 통한 지역성 검토」,『炊事의 考古 學』", 서경문화사, 2008

      243 한강문화재연구원, "『화성 천천리 18-2번지 유적』, 유적조사보고 제56책, 한강문화재연구원", Kwater수도권수도건설단, 2016

      244 한지선, "「中島式 硬質無文土器에서 보이는 調理方法 檢討」,『考古學』제 6-2호", 서울京畿考古學會, 2007

      245 鄭修鈺, "「고대 한국의 목제품 출토 현황과 특징」,『한국전통문화연구』 제12집", 전통문화연구소, 2013

      246 상명대학교박물관, "『파주시 갈현리 산 22-11번지 공장신축부지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상명대학교박물관, 2007

      247 崔德卿, "「畵像石에 나타난 漢代 華北人의 衣食住 生活相」, 『釜山史學』 第21輯", 부산대학교, 1997

      248 한지선, "「백제의 취사시설과 취사방법-한성기를 중심으로」,『百濟學報』 第2輯", 百濟學會, 2009

      249 김성이, "『백제 한성기의 土器 燒成技術 : 풍납토성 197번지 출토품을 중 심으로』", 충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50 한국문화유산연구원, "『안성 두교리-죽산 도로건설공사 예정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0

      251 한강문화재연구원, "『용인 마북동 425-19번지 일원 근린생활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07

      252 鄭修鈺, "「風納土城 미래마을 가地區 出土 土器의 使用痕 檢討」,『風納土 城』Ⅺ", 國立文化財硏究所, 2009

      253 신화영, "『백제 국가 성립기의 토기변화상: 풍납토성 중,하층 출토품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54 한성백제박물관, "『백제의 성장과 중국』(2014년 하반기 쟁점백제사 집중 토론 학술회의 Ⅴ).", 『백제의 성장과 중국』(2014년 하반기 쟁점백제사 집중 토론 학술회의 Ⅴ), 2014

      255 權五榮, "「4세기 百濟의 地方統制方式 一例 - 東晋靑磁의 流入經緯를 中心 으로 - 」", 『韓國史論』 18, 1988

      256 土田純子, "「百濟遺蹟 出土 中國 瓷器에 대한 傳世論 檢討」,『韓國考古學 報』第82輯", 韓國考古學會, 2012

      257 한신, "大學校博物館, , 『龍仁 水枝 百濟 住居址』, 한신대박교 박물관총서 제 9책", 한신大學校博物館, 1998

      258 김길식, "「경기남부지역 원삼국시대 문화의 특징과 그 의의-화성지역을 중 심으로」", 『화성지역 고고학 연구의 현황과 쟁점』, 화성시, 2016

      259 한신대학교박물관, "『華城 松山洞 農耕 遺蹟』, 한신대학교 박물관총서33 책, 한신대학교박물관", 한국토기주택공사, 2009

      260 中央文化財硏究院, "『驪州 페럼클럽 造成事業敷地 內 驪州 沙谷里遺蹟』, 發掘調査報告 第220冊", 中央文化財硏究院, 2015

      261 鄭修鈺, 長友友子, "「土器의 炭素附着痕을 통해 본 燒成과 調理方法」, 『韓國上古史學報』65緝", 韓國上古史學會, 2009

      262 박순발, "「熊津 泗沘期 百濟土器 編年에 대하여 : 三足器와 直口短頸壺를中 心으로」", 『百濟硏究』 第37輯,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03

      263 長友朋子, "「食事樣式으로 본 漢文化 受容-日本列島를 中心으로」,『嶺南 考古學』45號", 영남고고학회, 2008

      264 鄭修鈺, "「漢城期 百濟 中央地域 日常土器의 生産 體系 變遷 樣相」,『고 고학』15-2호", 중부고고학회, 2016

      265 長友朋子‧金垠井, "「고대 토기생산기술 복원을 위한 민족지 사례 연구」, 『湖南考古學報』43輯", 호남고고학회, 2013

      266 박순발, 이형원, "「原三國~百濟 熊津期 의 變遷樣相 및 編年 -漢江 및 錦 江流域을 中心으로-」", 『百濟硏究』第53輯, 백제연구소, 2010

      267 중앙문화재연구원, "『仁川中山洞遺蹟』,발굴조사보고제172책, 중앙문화재연 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광역시개발공사, 2011

      268 김근완, "「진천 삼용리,산수리 요지 출토 토기의 제작기법 : 성형과 정면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대학박물관협회』3, 2003

      269 林永珍, "「서울 石村洞 百濟土壙墓 出土 漆器-中國 漆器와의 關係」, 『美 術史學硏究』第179號", 한국미술사학회, 1988

      270 한신대학교박물관, "「華城 馬霞里 百濟 住居地」,『烏山 陽山洞 新羅 遺蹟』, 한신대학교박물관 총서 제32책", 한신대학교박물관, 2009

      271 鄭修鈺, "「고찰_고대 한국에서 출토된 목제 용기 및 생활구에 대한 검 토」,『한국 목기자료집Ⅱ』",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3

      272 방유리, "「백제 한성시대 토기 타날 기법에 대한 연구 : 이천 설성산성 출 토 호 옹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학회, 『文化史學』21, 한국문화사학회, 2004

      273 鄭修鈺, "「한반도 취사문화가 일본 古墳시대에 미친 영향과 수용과정」, 『韓國上古史學報』第76號", 韓國上古史學會, 2012

      274 신종국, "『百濟土器의 形成과 變遷過程에 대한 硏究-漢城期 百濟 住居遺蹟 出土 土器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75 韋 正, "「중국 위진남북조 시기 북방지역 자기 연구」,『풍납토성 발굴 2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2017

      276 鄭修鈺, "「고대 한국의 목기 출토 현황과 종류」,『한일 고대 목기유물의 현황과 향후과제』심포지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3

      277 박순발, "「百濟土器形成期에 보이는 樂浪土器의 影響-深鉢形土器 및 長卵形 土器形 成過程을 中心으로-」", 『百済研究』第40号, 忠南大学校百 濟研究所, 2005

      278 이성주, "「漢城百濟 形成期 土器遺物群의 變遷과 生産體系의 變動-實用土 器 生産의 專門化에 대한 檢討」", 『韓國上古史學報』第71號, 韓國 上古史學會, 2011

      279 成正鏞, "「토기양식으로 본 고대국가 형성」,『국가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한국고고학전국대회31회", 한국고고학회, 2007

      280 韓芝守, "「百濟 風納土城 출토 施釉陶器 연구 -경당지구 196호 유구 출토 품과 중국 자료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百濟硏究』 51, 2010

      281 한지선, "「漢城百濟期 聚落과 土器遺物群의 變遷樣相-서울 경기권 편년수 립을 위하여-」,『中央考古硏究』第12號", 中央文化財硏究院, 2013

      282 김길식, "「2~3世紀 漢江 下流域 鐵製武器의 系統과 武器의 集中流入 背景 -김포 운양동유적 철제무기를 중심으로-」", 『백제문화 50』, 2014

      283 정인성, "「원사시대 동아시아 교역시스템의 구축과 상호작용 - 貿易陶器 ' 白色土器'의 생산과 유통을 중심으로 -」", 『제44회 원사시대 사 회문화 변동의 본질-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 2016

      284 한양대학교문화재연구소, "『연천 삼곶리 유적(군남홍수조절리 건설사업 문화재 시발굴조사(DF구역)보고서』한양대학교문화재연구소 총서21집, 한국수자원공사", 한양대학교문화재연구소,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