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 방안 =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포노 사피엔스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

      이 연구의 목적은 포노 사피엔스라 불리는 글쓰기 수용자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하나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포노 사피엔스는 웹 미디어 콘텐츠를 향유하는 주체로서, 웹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사고하고 비판하며 성장하므로 글쓰기 교육에서도 이를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웹 미디어에 올라 있는 콘텐츠가 충분히 학생들의 비판적ㆍ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창의력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읽기와 글쓰기의 상호 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웹 미디어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글쓰기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수업 모델은 ‘수용: 웹 미디어 콘텐츠 활용으로 흥미 유발, 분석과 비판: 읽기 자료 텍스트 접목 및 이론 수업과 활동, 성찰 및 창작: 텍스트 생산’ 과정 3단계로 구성되며, 이 과정에 사고의 전개, 사고의 수용, 사고의 확장을 유도하는 WTL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수업 모델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글쓰기 교육 효과성을 분석하였는데, 글쓰기 세부역량 평균에 대한 사전-사후 차이 검증 결과 창의적 사고력과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사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상승하였고 문제해결능력도 소폭 상승하였다. 특히,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호기심 가지기, 분석적․비판적 사고력의 하위요소인 체계성, 회의성, 탐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상승이 나타났다. 아울러 학기말 학습 만족도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웹 미디 어 콘텐츠를 활용했을 때 수업 주제에 대한 흥미도가 높다는 반응을 보였으며,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고 분석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답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보다 웹 미디어 콘텐츠와 텍스트 읽기의 결합, WTL을 병행하여 수업을 진행했을 때 주제에 관한 내용을 해석하고 확장하며 응용하는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포노 사피엔스로 불리는 학생들이 이미 총체적 감각의 전자 문화적 주체임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며, 웹 미디어 콘텐츠가 전달하는 내용을 떠나 이러한 문화에 길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글쓰기 학습방식을 구조화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

      This study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for writing learners called Phono Sapiens or Digital Generation, and Z Generation who are working as a new cultural group by checking diverse contents in real time and spreading the production of contents. As the Phono Sapiens enjoys, thinks, criticizes, and grows diverse contents called web-media through smartphone, it would be necessary to use the web media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Thus, under the premise that the web media and its diverse contents could be helpful not only for growing the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but also for drawing interactions between reading and writing, this thesis aime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writing education using web media content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ults of performing the writing education by combining the web media contents and texts and also applying WTL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education, the lesson model using the web media contents includes total three stages such as ‘Reception: Inducement of interest with the use of web media contents, Analysis & Criticism: Combination of reading materials and texts, theoretical lesson & activities, Introspection & Creation: Production of text’, and the WTL inducing the development, reception, and expansion of thinking is applied to this process. Of course, this process requires the prior preparation for diversely searching web media contents to use them as data. When this lesson model was applied, the teacher was able to give more active learning motivation to students than taking the traditional lesson method(instructor-led lesson), and also to change students into active participants in less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re-post writing, the post-scores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were increased by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tail, having curiosity as a sub-element of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the systemicity, skepticism, and inquiring mind as sub-elements of analytic/critical thinking skills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lso, in the results of conducting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of web media contents at the end of semester,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interest in the lesson theme, and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considerably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heme. The students perceive that the web media contents would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or creative thinking, and also useful for deciding a theme of writing, collecting data, and creating/organizing the contents. This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influence of web media cont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s a medium fo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the improvement of thinking skills as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learners’ participation in lesson, an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analytic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which are the basics of writ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2. 웹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과 글쓰기 교육의 관련성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 5. 나오는 말
      • 1. 들어가는 말 2. 웹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과 글쓰기 교육의 관련성 3.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 모델과 실제 4. 웹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효과성 5. 나오는 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재붕, "포노 사피엔스" 쌤앤파커스 12-13, 2019

      2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103-137, 2012

      3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 학생 필자 특성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9 (9): 9-41, 2018

      4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249-279, 2012

      5 라도삼, "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6 맥루한 마셜,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7 이란,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82-290, 2018

      8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한국수사학회 (5) : 209-243, 2006

      9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회 28 : 77-110, 2005

      10 윤여탁,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1 최재붕, "포노 사피엔스" 쌤앤파커스 12-13, 2019

      2 김겸섭, "퍼포먼스, 인문교양교육의 차세대 플랫폼"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103-137, 2012

      3 이지영, "웹 기반 협력적 글쓰기 효과와 영향 요인 연구 ─ 학생 필자 특성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9 (9): 9-41, 2018

      4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249-279, 2012

      5 라도삼, "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6 맥루한 마셜,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7 이란, "미디어교육모형에 기초한 기독교대학 글쓰기교육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82-290, 2018

      8 황성근, "미디어 글쓰기의 원리와 실제" 한국수사학회 (5) : 209-243, 2006

      9 김양은, "미디어 교육의 개념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정보학회 28 : 77-110, 2005

      10 윤여탁,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11 민춘기, "디지털 글쓰기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의 인식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31-172, 2017

      12 김화선,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1 (1): 93-114, 2016

      13 임지원, "대학 글쓰기 학습자의 내적 요인 탐색과 창의적 글쓰기 모색 - 대학생 필자의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 인문과학연구소 51 (51): 351-380, 2015

      14 이지연,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에서 폐쇄형 SNS 활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753-786, 2016

      15 정희모, "다매체 시대의 한국문학Ⅰ" 국학자료원 2002

      16 민춘기, "뉴미디어 시대의 소통과 글쓰기에 대하여"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181-212, 2015

      17 백승권, "글쓰기가 처음입니다" 매치미디치 2014

      18 주민재,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137-165, 2014

      19 R. Hobbs, "Digital and Media Literacy: A P lan of Action" The Aspen Institute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0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문학논총
      외국어명 : Theses o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73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