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여성은 어떠한 경험을 통해 여성주의를 인식하게 되는가?' 라는 물음으로부터 시작하여, 여성의 삶에서 불평등을 인식하게 되는 생애사건을 중심으로 인식전환 과정을 보고자 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55572
2014
-
378
KCI등재
학술저널
129-165(37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은 어떠한 경험을 통해 여성주의를 인식하게 되는가?' 라는 물음으로부터 시작하여, 여성의 삶에서 불평등을 인식하게 되는 생애사건을 중심으로 인식전환 과정을 보고자 한...
본 연구는 '여성은 어떠한 경험을 통해 여성주의를 인식하게 되는가?' 라는 물음으로부터 시작하여, 여성의 삶에서 불평등을 인식하게 되는 생애사건을 중심으로 인식전환 과정을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여성학 전공자이며, 여성관련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30~40대 여성주의자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주의 인식 형성 맥락에서 여성들은 성불평등 사건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면서 성별 감수성을 학습하게 된다. 인식전환에 영향을 끼치는 생애 사건은 존재하며, 성인기 이후 성불평등 인식은 어린 시절의 경험과 연결되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여성주의 인식전환 과정에서 여성들은 고민과 갈등을 통해서 치열한 성찰학습을 경험하게 된다. 여성학 강의를 수강하면서 개인적 경험이 여성주이 이론을 만나게 된다. 결정적 생애 사건들은 여성주의 학습과정에서 경험의 공유를 통해 지지받게 되며 긍정적 경험으로 치환하게 된다. 셋째, 여성주의 인식 전환을 통한 삶의 변화는 실천학습과 관련되어 있다. 일상에서 불평등한 요소를 찾고, 가정과 사회에서 성 평등한 세상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여성주의자의 삶은 경험학습, 성찰학습, 실천학습 등의 평생교육의 현장이자, 결국 '여성주의' 인식전환 과정들이었다. 이것은 평생교육과 여성주의가 만나는 지점을 발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Through what kind of experimental learning do women come to become aware of feminism?" It examine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associated changes in the life of women by looking at critical life events which a...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Through what kind of experimental learning do women come to become aware of feminism?" It examine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associated changes in the life of women by looking at critical life events which act as the trigger. For this, three feminist women in their 30s and 40s, who are graduates of women's studies and currently working in a women-related field, were interviewed in-depth.
Research findings indicated that, First, as women continuously experience gender inequality cases in life contexts prior to recognitions of feminism, they perceive gender discrimination. Second,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of feminism, women access to theories explaining their own experiences through lectures of women's studies. As a fruit of intensive reflections on and concerns for current status as a woman, this thesis is completed. Third, feminists find unequal factors through everyday Life Learning, and make an effort to develop sexually equal world in homes or societies. It is the very feminism, an analysis tool to read everything in routine lives,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politics in everyday lives, inaugurated from me, and enjoy a new life. In this study, lives of the feminists are fields of lifelong education such as daily, experiential and practical learning, and consequently are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es of the 'feminism'. It can be said to be a discovery of meeting point of lifelong education and feminis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민승, "합리적 대화'를 넘어 '차이 배우기'로: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의 교육학적 의미지평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14 (14): 183-206, 2004
2 김양희,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 개발" 14 (14): 23-44, 2000
3 유숙렬, "한국에 페미니스트는 있는가" 삼인 1998
4 민무숙, "한국교육정책에서 젠더 문제의 위치와 과제" 한국교육사회학회 12 (12): 81-97, 2002
5 리상섭, "한국계 미국인 이민자 가족의 이문화 적응과 전환 학습" 한국성인교육학회 10 (10): 1-30, 2007
6 김명소, "한국 여성의 페미니즘 성향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 및 페미니즘 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83-105, 2006
7 이효선, "한국 여성들의 삶의 이해를 위한 가족 패러다임 재구성 - 여성세대 생애사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연구원 26 (26): 135-181, 2009
8 이승훈, "한국 사회운동가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사회운동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5) : 12-38, 2005
9 홍기형, "학습사회구현을 위한 평생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1
10 나윤경,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 시각으로 본 Mezirow의 전환학습 이론" 2 (2): 179-207, 1999
1 정민승, "합리적 대화'를 넘어 '차이 배우기'로: 후기구조주의 페미니즘의 교육학적 의미지평 탐색" 한국교육사회학회 14 (14): 183-206, 2004
2 김양희,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 개발" 14 (14): 23-44, 2000
3 유숙렬, "한국에 페미니스트는 있는가" 삼인 1998
4 민무숙, "한국교육정책에서 젠더 문제의 위치와 과제" 한국교육사회학회 12 (12): 81-97, 2002
5 리상섭, "한국계 미국인 이민자 가족의 이문화 적응과 전환 학습" 한국성인교육학회 10 (10): 1-30, 2007
6 김명소, "한국 여성의 페미니즘 성향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 및 페미니즘 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11 (11): 83-105, 2006
7 이효선, "한국 여성들의 삶의 이해를 위한 가족 패러다임 재구성 - 여성세대 생애사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연구원 26 (26): 135-181, 2009
8 이승훈, "한국 사회운동가들의 정체성 형성과정사회운동 참여 경험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65) : 12-38, 2005
9 홍기형, "학습사회구현을 위한 평생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1
10 나윤경, "포스트모더니즘과 페미니즘 시각으로 본 Mezirow의 전환학습 이론" 2 (2): 179-207, 1999
11 한숭희, "평생학습과 학습생태계" 학지사 2001
12 신미식, "평생교육의 초기 이념을 살릴 수 있는 또 하나의 이론으로서 여성주의 교육이론" 한국평생교육학회 11 (11): 93-116, 2005
13 한숭희, "평생교육론 : 평생학습사회의 교육학" 학지사 2006
14 김경희, "평생교육관점에서의 여성의 경험 고찰 : 여교사의 삶과 경험을 중심으로" 9 (9): 1-28, 2003
15 김영희, "페미니즘과 학문의 객관성" 10 : 185-213, 1999
16 권인탁, "페미니즘 관점에서의 여성 성인교육프로그램 분석" 원격교육연구소 9 (9): 29-54, 2013
17 Freedman. J. Feminism, "페미니즘" 이후 2002
18 나윤경,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 여성 학습자만을 위한 교수 방법인가?" 2 (2): 55-76, 1999
19 김정숙,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의 성의식 조사 연구" 25 : 65-82, 2005
20 박성희,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원미사 2004
21 김영천, "질적 연구방법으로 생애사연구의 성격과 의의" 교육연구소 18 (18): 5-43, 2012
22 조경원, "젠더와 교육 : 무엇이 문제인가?" 17 : 29-62, 2006
23 Braun C., "젠더 연구" 나남 2001
24 박경호, "전환학습이론: 고등교육기관에서 중년여성학습자의 의미구조의 변화" 한국성인교육학회 12 (12): 31-60, 2009
25 김경희, "전환학습과 성인교육" 4 (4): 217-242, 1998
26 김수정, "전환학습과 도덕발달에 관한 연구 -사회운동경험을 가진 여성정치인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97-132, 2013
27 박혜경, "여성학 : 페미니즘 시각에서 본 또 다른 세상" 미래 M&B 2007
28 박성정, "여성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여성개발원 2001
29 곽삼근, "여성지도자 전문성개발의 자질과 특성에 관한 여성주의적 접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5 : 1992
30 송현주, "여성주의 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모성을 중심으로" 2 (2): 77-98, 1999
31 나윤경, "여성주의 질적 연구방법이 평생교육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43-164, 2011
32 나윤경, "여성주의 시각으로 분석한 여성인력개발센터 교육 프로그램"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33-159, 2007
33 곽삼근, "여성주의 교육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34 곽삼근, "여성의 문화활동 유형과 평생교육요구에 관한 사례 연구" 4 (4): 35-61, 2001
35 나임윤경, "여성교육과 실천" 학영사 2003
36 심미옥, "여성교육개론(개정판)" 교육과학사 2009
37 곽삼근, "여성과 교육" 박영사 1998
38 민무숙, "여대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의 지원 현황과 정채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3 : 2002
39 곽윤숙, "여대생의 성역할 태도와 전공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40 (40): 287-310, 2002
40 김현미, "세계화 맥락에서의 여대생 리더십 향상 교과과정개발을 위한 제언"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46-71, 2006
41 조옥라, "성평등학에서의 남녀 관점의 차이와 융합가능성에 대한 연구 : 여성학 수업 수강자를 중심으로" 17 : 299-329, 2000
42 최운실,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분석-HRD자본, 사회문화적 자본, 개인적 자본 측면의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24 (24): 381-420, 2005
43 정지현, "성인학습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한 일고찰-전환학습 이론의 다문화교사교육 적용 가능성에 대한 개념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77-99, 2009
44 곽삼근, "성인여성교육에 대한 여성주의 연구방법" 37 (37): 323-340, 1999
45 신군자, "성 주류화 관점에서의 여성 평생교육의 방향" 10 (10): 265-295, 2004
46 이재인, "서사유형과 내면세계 :기혼여성들의 생애이야기에 대한 서사적 접근" 한국사회학회 39 (39): 77-119, 2005
47 곽삼근, "생애주기별 성역할 발달 및 갈등" 한국여성학회 21 (21): 147-179, 2005
48 한국여성연구소, "새 여성학 강의" 동녘 2005
49 정은희, "삶의 총체적 변화로 이어지는 평생학습 : 성인대학원생들의 학습과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1 (11): 177-204, 2005
50 Ulrich B.,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새물결 1999
51 유길한, "대학생들의 성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 교육대학생을 중심으로" 23 : 91-122, 1997
52 송현주, "대안적 패러다임으로서의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그 가능성을 찾아서" 한국성인교육학회 5 (5): 1-28, 2002
53 이신숙, "노인의 성역할 태도와 부부 적응에 관한 연구" 17 (17): 48-60, 1997
54 나윤경, "남녀공학대학교 여학생 커리어를 위한 자기성찰적 전략" 한국성인교육학회 6 (6): 35-58, 2003
55 학습생활연구회, "기혼여성의 학습생활 분석-1960년대 출생 여성을 중심으로-" 10 (10): 79-107, 2004
56 박기남, "기혼 취업 여성의 일ㆍ가족 양립을 위한 시간 갈등 연구: 연령계층별, 성역할 태도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25 (25): 37-71, 2009
57 곽삼근, "교육학에서의 페미니스트 질적 연구방법의 틀" 5 (5): 1-20, 2002
58 이은경, "결혼이민 여성농업인의 전환학습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1 (41): 1-27, 2009
59 이재경, "가족의 이름으로" 또하나의문화 2003
60 신용주, "가족구조의 변화와 여성평생교육" 8 : 83-93, 2003
61 Hayes, E. R., "Women as Learners: The significance of gender in adult learning" Jossey-Bass 2000
62 Harding, S., "Whose Science? Whose Knowledge? Thinking from Women's Live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1
63 Mezirow, J., "Transformative Dimensions of Adult Learning" Jossey-Bass 1991
64 Griffin, C., "The Social Identity of Women" Sage Publications 1989
65 Tisdell, E. J., "Pedagogy: Facilitating inclusivity in the learning environment, ERIC Clearinghouse on Adult,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361-, 1995
66 Mezirow, J., "Learning as transformation: Critical perspectives on a theory in progress" Jossey-Bass 2000
67 Mezirow, J., "In defense of the lifeworld" Sunny 1995
68 Fainstein, Sussan S., "Gender and Planning: A Reader" Rutgers University Press 2005
69 Stanley, L., "Breaking out: Feminist Consciousness and Feminist Research" Routledge and Kegan Paul 1983
평생교육강사의 관계지향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성인 자기주도학습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메타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6-08-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al of Lifelong Education ->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59 | 1.892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