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사의 설명의무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octor's explanation of oblig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63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can be regarded as a contractual relationship of a legal relationship, called a "medical contract," between a doctor providing the medical service and the patient receiving the medical service. In this ...

      The relationship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can be regarded as a contractual relationship of a legal relationship, called a "medical contract," between a doctor providing the medical service and the patient receiving the medical service.
      In this way, in the process of concluding a medical contract or in the execution of a contract, the patient has a right to self-determination to make decisions and decide on the medical actions to be performed on his / her life and body. The physician shall bear the obligation of explanation in addition to the obligation to care for the medical act under the medical contract. Therefore, even if a patient violates his / her right to self-determination in violation of explanation obligation, the doctor will be liable for damages due to the breach of duty. Compensation for breach of explanation duty is a common feature of malpractice lawsuits that are handled in conjunction with medical malpractice.
      In the case of patients who are responsible for damages due to medical malpractice, almost all of them allege violations of explanation duties as follows: i) medical treatment of patients, including 'silent conspiracy', 'medical patriarchy' Ⅱ) Unlike in Germany, which is strict in recognition of alimony, torture is easy to be recognized if liability for illegal acts is recognized. Ⅲ) In the case of a medical suit, I am afraid that I will not keep my rights.
      The explanation of self-determination and the explanation of the purpose of treatment may be different from the content and purpose, but it will be the same in order to prevent the patient's physical or health-related damage and property damage. Therefore, there seems to be no reason to treat the requirements and effects of liability for damages due to breach of explanatory duty differently from the attitude of judicial precedents.
      In this way, it is doubtful whether or not the explanation obligation is an easy way to escape from the difficulty of proving a malpractice or causal relationship in the event of a medical accident.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basis, type, method and degree of explaining obligations, and examines the problems of related prece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의사와 환자와의 관계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와 그 의료서비스를 받는 환자와의 ‘의료계약’이라고 하는 법률관계의 대등한 계약당사자 관계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계약...

      의사와 환자와의 관계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와 그 의료서비스를 받는 환자와의 ‘의료계약’이라고 하는 법률관계의 대등한 계약당사자 관계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계약의 체결과정 또는 계약의 이행과정에서 환자는 자신의 생명과 신체에 행해질 의료행위에 대하여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을 갖는다. 의사는 의료계약에 의하여 의료행위에 대한 주의의무와 더불어 설명의무를 부담한다. 따라서 설명의무를 위반하여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한 경우에도 의사는 의무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된다. 설명의무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은 의료과실과 더불어 다루어지는 것이 의료과오소송의 일반적인 모습이다.
      환자가 의료과실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을 묻는 경우에 거의 대부분이 설명의무 위반을 함께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ⅰ) 의료계의 일부가 지니고 있는 ‘침묵의 공모', ‘의료 가부장주의’를 비롯한 환자의 의학적 전문성의 결여로 인한 입증곤란, ⅱ) 위자료 인정에 엄격한 독일과는 달리 불법행위책임이 인정되면 위자료배상이 쉽게 인정되는 경향, ⅲ) 의료소송에서 의사의 과실을 청구원인으로 하여 소를 제기하는 것이 자신의 권리를 지키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을 들 수 있다.
      자기결정 설명과 진료목적 설명은 그 내용과 취지는 다를 수 있겠지만, 결국 환자의 신체상 또는 건강상 나아가 재산상의 손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점에서는 같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설명의무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요건과 효과에 있어서 이를 판례의 태도처럼 달리 구별해서 다루어야 할 근거가 없어 보인다.
      이와 같이 설명의무에 대한 입장은 의료사고가 발생한 경우, 과실이나 인과관계에 관한 입증의 곤란함을 피하는 일종의 탈출구로 위자료라는 손쉬운 방법을 택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의문이 든다. 이와 같은 의문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설명의무의 근거, 유형, 방법과 그 정도 등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판례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중, "환자권리와 의사의 책임"

      2 신현호, "최근 의료민사소송의 현황과 절차적 제문제" 한국의료법학회 18 (18): 7-42, 2010

      3 김천수, "진료에 대한 설명과 동의의 법리"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3

      4 석희태, "주석민법 채권각칙(7)" 2003

      5 박영규,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따른 손해배상 - 판례의 비판적 연구 -" 법학연구소 (31) : 97-133, 2015

      6 김대규,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 부설법학연구소 48 : 65-91, 2016

      7 백경철, "의사의 설명의무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4 (4): 2003

      8 이진성, "의사의 설명의무와 손해배상책임의 범위" 2002

      9 박일환, "의사의 설명의무와 그 해태에 따른 법적 책임" 1989

      10 송영민, "의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과 그 비판적 고찰" 한국재산법학회 23 (23): 229-259, 2007

      1 김민중, "환자권리와 의사의 책임"

      2 신현호, "최근 의료민사소송의 현황과 절차적 제문제" 한국의료법학회 18 (18): 7-42, 2010

      3 김천수, "진료에 대한 설명과 동의의 법리" 대구대학교 출판부 1993

      4 석희태, "주석민법 채권각칙(7)" 2003

      5 박영규, "의사의 설명의무위반에 따른 손해배상 - 판례의 비판적 연구 -" 법학연구소 (31) : 97-133, 2015

      6 김대규,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 부설법학연구소 48 : 65-91, 2016

      7 백경철, "의사의 설명의무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4 (4): 2003

      8 이진성, "의사의 설명의무와 손해배상책임의 범위" 2002

      9 박일환, "의사의 설명의무와 그 해태에 따른 법적 책임" 1989

      10 송영민, "의사의 설명의무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과 그 비판적 고찰" 한국재산법학회 23 (23): 229-259, 2007

      11 김천수, "의사의 설명의무" (7) : 1988

      12 박상엽, "의사의 설명의무" 단국대학교 법학대학 7 : 1999

      13 최행식, "의사의 경제적 설명의무" 한국의료법학회 22 (22): 209-228, 2014

      14 김민중, "의사에게 치료상의 과오를 설명할 의무가 있는가?" 대한의료법학회 15 (15): 165-194, 2014

      15 주호노, "의사법총론" 법문사 2012

      16 백경희, "의료판례의 동향과 문제 : 민사법적 쟁점과 전망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법학회 26 (26): 223-249, 2018

      17 김민중, "의료의 법률학" 신론사 2011

      18 박태신, "의료소송에 있어서 설명의무의 기능" 연세법학회 5 (5): 1998

      19 김경례, "의료사고의 손해배상과 위자료 산정-한국소비자원 의료피해구제 사례들의 일별-" 대한의료법학회 13 (13): 179-214, 2012

      20 김민중, "의료분쟁의 법률지식" 청림출판사 2000

      21 범경철, "의료분쟁소송" 법률정보센터 2003

      22 신현호, "의료분쟁 조정·소송 총론" 육법사 2011

      23 이재경, "의료과오책임에서 설명의무 위반과 증명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23 (23): 47-67, 2015

      24 이경환, "의료과오소송에서의 설명의무에 대한 고찰" 대전지방변호사회 2004

      25 신은주, "의료과오소송에 있어서 과실의 입증 : 일반인의 상식에 바탕을 둔 과실행위 입증과 미국의 일반상식원칙(common knowledge doctrine)을 중심으로" 한국의료법학회 24 (24): 23-47, 2016

      26 김민중, "의료계약의 당사자로서의 「환자」와 관련한 문제에 대한 검토" 대한의료법학회 10 (10): 253-286, 2009

      27 봉영준, "의료계약상 채무불이행과 위자료" 대한의료법학회 14 (14): 217-260, 2013

      28 백경일, "의료계약상 설명의무위반책임의 법적 성질과 입증책임의 문제 ― 대법원 2007.5.31. 선고 2005다5867 판결 ―" 한국민사법학회 (40) : 261-298, 2008

      29 김민중, "의료계약" 사법행정 1991

      30 박영호, "설명의무위반 및 치료기회상실을근거로 한 가족들의 독자적 위자료 청구권" 법조협회 58 (58): 5-57, 2009

      31 안법영, "설명의무와 지도의무 — 설명의무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 —" 안암법학회 (40) : 125-161, 2013

      32 남동현, "설명의무에 터 잡은 전단적 의료행위의 법률적 효과" 한국비교사법학회 14 (14): 541-576, 2007

      33 김천수, "설명의무 의료법 이해할 수 없는 조항 몇 가지"

      34 정미야, "‘대리 수술’의 문제점을 통해 본 의료서비스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5

      35 Bonnie F. Fremgen, "Medical Law and Ethics" Pearson Prentice Hall 2007

      36 Steve Clarke, "Informed Consent and Clinician Accountability: the ethics of report cards on surgeon performa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7 Laufs, Adolf, "Arztrecht" C. H. Beck 2009

      38 이정선, "2012년 주요 의료 판결 분석" 대한의료법학회 14 (14): 303-354,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0.679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