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vements of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from 1896 to 1898 through mapping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using the journal 'chin-mog-hoe-hoe-bo(친목회회보)' published by Amity Society of Kor...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vements of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from 1896 to 1898 through mapping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using the journal 'chin-mog-hoe-hoe-bo(친목회회보)' published by Amity Society of K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vements of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from 1896 to 1898 through mapping and visualization techniques using the journal 'chin-mog-hoe-hoe-bo(친목회회보)' published by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Amity Society(dae-jo-seon-il-bon-yu-hag-saeng-chin-mog-hoe) was an organization centered around 130 government-funded students dispatched to Japan by the Josoen government in 1895, and is the first official organization established by Koreans studying in Japa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visualize the entire residence locations of members of Amity Society focusing on Tokyo, and to elucidate their movements in relation to Korean political exiles and the rapidly changing Korean political situation. To achieve this, an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hiba-gu as a base for political refugees established in Tokyo, Kanda-gu where refugees moved around to recruit international students, and Kojimachi-gu where the Joseon embassy was located. For Korean students studying abroad in the late 1890s, Japan had meaning as a place where coups could be plotted and as a place for the exchange for realizing political aspirations. Their actions are distinct from the attitude of colonial intellectuals who idolize Japan. In the 1890s, Japan held significant meaning for Korean students as a place where they envisioned reforms for Korea and as a political space for translating these visions into ac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찬승, "한일공동연구총서 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00
2 문일웅, "재일본 망명자 세력의 정변음모 연구 : 1895-1900"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3 이태훈, "인물조사를 통해 본 한국 초기 ‘사회과학’ 수용주체의 구성과 성격" 한국문화연구원 22 : 7-55, 2012
4 정주아, "서북문학과 로컬리티" 소명 2014
5 이기동, "비극의 군인들 : 근대한일관계사의 祕錄" 일조각 2020
6 "법률교사"
7 유병용, "박영효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8 이은숙, "문학작품 속의 도시경관" 5 : 1993
9 국사편찬위원회, "대한제국관원이력서"
10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대한제국 직원록 자료"
1 박찬승, "한일공동연구총서 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00
2 문일웅, "재일본 망명자 세력의 정변음모 연구 : 1895-1900"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3 이태훈, "인물조사를 통해 본 한국 초기 ‘사회과학’ 수용주체의 구성과 성격" 한국문화연구원 22 : 7-55, 2012
4 정주아, "서북문학과 로컬리티" 소명 2014
5 이기동, "비극의 군인들 : 근대한일관계사의 祕錄" 일조각 2020
6 "법률교사"
7 유병용, "박영효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8 이은숙, "문학작품 속의 도시경관" 5 : 1993
9 국사편찬위원회, "대한제국관원이력서"
10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대한제국 직원록 자료"
11 서영희, "대한제국 정치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12 한국사데이터베이스, "대한제국 관보 자료"
13 김효전, "근대 한국의 국가사상" 철학과현실사 2000
14 조경달, "근대 조선과 일본" 열린책들 2015
15 정인숙, "국문학 분야 도시 연구의 동향과 전망" 도시인문학연구소 3 (3): 287-310, 2011
16 "경성의 인물백태" (48) : 1924
17 차배근, "개화기 일본 유학생들의 언론출판활동연구 : 1884-1898"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8 유영익, "갑오경장연구" 일조각 1990
19 왕현종, "갑오개혁 이후 조선 유학생의 일본 유학과 유학 분야" 역사실학회 (69) : 5-51, 2019
20 국사편찬위원회, "要視察韓國人擧動" 국사편찬위원회 2001
21 "私立光興學校를 新門外鍮洞前畿營執事廳으로 移設하는데 課程은"
22 박학래, "申海永 編述의 『倫理學敎科書』에 대한 재검토 - 도덕교육 학계의 관련 논의에 유의하여 -"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72) : 193-222, 2021
23 우미영, "東度의 욕망과 東京이라는 장소(Topos): 1905-1920년대 초반 동경 유학생의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89-115, 2007
24 "時事新聞"
25 정종현 ; 水野直樹, "日本帝國大學의 朝鮮留學生 硏究(1) ― 京都帝國大學 조선유학생의 현황, 사회경제적 출신 배경, 졸업 후 경력을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80) : 445-529, 2012
26 황호덕, "京城地理志, 이중언어의 장소론―채만식의 '종로의 주민'과 식민도시의 (언어) 감각" 대동문화연구원 (51) : 107-141, 2005
27 김인택, "『친목회회보』(親睦會會報)」의 재독(1)-<<친목회>>의 존재조건을 중심으로-" 5 : 2008
28 대조선인일본유학생친목회, "『친목회회보』 제1호~제6호"
29 "<19세기의 동경유학>, 「편편야화」 5"
30 小野容照, "1910년대 전반 재일유학생의 민족운동-在東京朝鮮留學生親睦會를 중심으로-" 숭실사학회 (27) : 225-256, 2011
31 김영민, "1910년대 일본 유학생 잡지 연구" 소명출판 2019
32 이경수, "1910∼20년대 재일본 조선유학생 친목회지에 나타난 신여성 담론 - 『학지광』과 『여자계』를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31) : 187-212, 2009
1960~70년대 한국 정신분석학의 반공·냉전적 재편과 젠더·섹슈얼리티 낙인의 형성 - 정신의학자 백상창을 중심으로
아시안 아메리칸의 분노와 사랑 : <비프>와 <엘리멘탈>, 초국적 감정 산업의 정동 경제
연대의 정동과 대안의 체제화 - 충남 홍동 지역의 협동적 문화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뒤틀림 속에 몸을 두는 것 - 1960~70년대 이시무레 미치코(石牟礼道子)의 작품에서 ‘고향’ 개념의 재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