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틴 부쳐는 종교개혁 시대의 목회 신학자다. 그는 신학자로서 실천적 목회사역에 많이 기여했다. 특히 새로 조직되는 교회에 목사, 교사, 장로, 집사 등의 직제를 성경적으로 복원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32446
2023
Korean
마르틴 부쳐 ; 후보자 ; 심사 ; 검증 ; 안수 ; 서약 ; 공동기도 ; Martin Bucer ; Candidates ; Examination ; Probation ; Ordination ; Lay one’s hand on ; Pledge ; Common Prayer.
231
학술저널
71-119(4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마르틴 부쳐는 종교개혁 시대의 목회 신학자다. 그는 신학자로서 실천적 목회사역에 많이 기여했다. 특히 새로 조직되는 교회에 목사, 교사, 장로, 집사 등의 직제를 성경적으로 복원했다. ...
마르틴 부쳐는 종교개혁 시대의 목회 신학자다. 그는 신학자로서 실천적 목회사역에 많이 기여했다. 특히 새로 조직되는 교회에 목사, 교사, 장로, 집사 등의 직제를 성경적으로 복원했다. 그는 목회사역 초기부터 목회자 양성을 염두에 두고 교회 지도자 육성 에도 많이 노력했다. 1538년에는 ‘참된 목회학’을 저술하여 목회사역의 바 른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로마 교회의 성품성사에 해당하는 목회자 임직 을 성경적으로 개혁했다. 임직하는 과정에서 후보자를 엄중히 심사하고 검증할 것을 제안했고 회중의 의사도 묻게 했다. 로마 교회 임직에서 필 수적이었던 2차적 의식들을 폐지했다. 말씀과 성례와 권징의 기능에 초점 을 맞추어 임직 절차도 성경적으로 개혁함으로, 개혁교회 임직의 기틀을 마련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rtin Bucer was a pastoral theologian during the Reformation. He contributed a lot to practical ministry as a pastoral theologian. In particular, he biblically restored the ecclesiastical office of pastors, doctors, elders, and deacons in the newly o...
Martin Bucer was a pastoral theologian during the Reformation. He contributed a lot to practical ministry as a pastoral theologian. In particular, he biblically restored the ecclesiastical office of pastors, doctors, elders, and deacons in the newly organized church. Since the beginning of the ministry, he has also made a lot of efforts to train church leaders with the training of pastors in mind. In 1538, he wrote “Von der waren Seelsoge” and presented the right direction for the ministry. He also biblically reformed the minister’s ordination, which is a novelty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In the process of ordination, he suggested that candidates to be strictly examined and verified under the assembly’s intention. He abolished the secondary ceremonies which were essential for ordination of Roman catholic church. Focusing on the functions of Words, sacraments, and disciplines, he also reformed the manner of ordinating biblically, laying the foundation for ordination procedures in the reformed church.
목차 (Table of Contents)
유대인 마이모니데스(Maimonides, 1138-1204)의 사상과 그 영향 - the Guide for the Perplexed를 근거로 -
말라카에서 서울까지, 『쟝원량우샹론』의 전래, 번역 그리고 한국교회사적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