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 중등학생의 자기 역량에 대한 평가유형과 공격성간의 관계 = Relationships between the Appraisal Type of Self-Perceived Competencies and Aggress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479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epting the discrepancy model between aggression and egotism as a basic premise and considering a gap between self-perceived appraisal and others-perceived appraisal as threatened egotism,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reatened egotism and aggression according to gender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appraisal by others was done by teachers. The study set it as inflated appraisal and deflated appraisal when self-perceived appraisal was higher and lower than appraisal by teachers, respectively.
      Efforts were made toward stratified sampling to sample students including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seventh, eighth, and ninth graders in middle school from various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the study analyzed 419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20 classes in 13 elementary schools and 502 seventh, eighth, and ninth graders from 19 classes in ten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he highest correlations between self- and teachers-perceived appraisal in scholastic and athletic competence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ed to underestimate themselves in all the subareas of competence except for athletic competence, whereas middle school students tended to underestimate themselves in scholastic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al conduct and overestimate themselves in athletic competence, and physical appearance. Both the groups showed a very strong tendency toward deflated appraisal in behavioral conduct.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competence by the gender and aggression by the appraisal typ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 groups according to the subareas of competence and subfactors of aggression. A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ys showed a high level of aggression in athletic competence, and boys and deflated appraisal group showed a high level of aggression in physical appearance. A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deflated appraisal group showed a high level of aggression in all the areas except for scholastic competence.
      Fourth, there was difference in the relative size of aggression prediction by self-appraisal for the subareas of self-perceived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 a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 groups. While it was the highest in behavioral conduct, social competence, and athletic competence in the order among the boys in elementary school, it was the highest in behavioral conduct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order among the girls. It was the highest in behavioral conduct, global self-worth,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order among the boys in middle schools, whereas it was the highest in behavioral conduct, global self-worth, social competence, and scholastic competence in the order among the girls.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a hasty decision to reject unconditionally the low egotism hypothesis between aggression and egotism and accept the discrepancy model. It should be a top priority to help girl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ho especially have much lower self-confidence, boost their egotism.
      Second, physical appearance has huge impacts on the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urgently calls for measures. That is, an approach will be needed to focus on internal psychological growth by helping them recognize they have various competences.
      Finally, the findings imply a need to consider individual differences by the gender, subareas of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subfactors of aggression when developing a program to reduce the aggress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번역하기

      Accepting the discrepancy model between aggression and egotism as a basic premise and considering a gap between self-perceived appraisal and others-perceived appraisal as threatened egotism,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reatened e...

      Accepting the discrepancy model between aggression and egotism as a basic premise and considering a gap between self-perceived appraisal and others-perceived appraisal as threatened egotism,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reatened egotism and aggression according to gender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previous studies, appraisal by others was done by teachers. The study set it as inflated appraisal and deflated appraisal when self-perceived appraisal was higher and lower than appraisal by teachers, respectively.
      Efforts were made toward stratified sampling to sample students including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seventh, eighth, and ninth graders in middle school from various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the study analyzed 419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20 classes in 13 elementary schools and 502 seventh, eighth, and ninth graders from 19 classes in ten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the highest correlations between self- and teachers-perceived appraisal in scholastic and athletic competence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ed to underestimate themselves in all the subareas of competence except for athletic competence, whereas middle school students tended to underestimate themselves in scholastic competence,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al conduct and overestimate themselves in athletic competence, and physical appearance. Both the groups showed a very strong tendency toward deflated appraisal in behavioral conduct.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competence by the gender and aggression by the appraisal typ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 groups according to the subareas of competence and subfactors of aggression. A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oys showed a high level of aggression in athletic competence, and boys and deflated appraisal group showed a high level of aggression in physical appearance. A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deflated appraisal group showed a high level of aggression in all the areas except for scholastic competence.
      Fourth, there was difference in the relative size of aggression prediction by self-appraisal for the subareas of self-perceived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 an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 groups. While it was the highest in behavioral conduct, social competence, and athletic competence in the order among the boys in elementary school, it was the highest in behavioral conduct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order among the girls. It was the highest in behavioral conduct, global self-worth,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order among the boys in middle schools, whereas it was the highest in behavioral conduct, global self-worth, social competence, and scholastic competence in the order among the girls.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a hasty decision to reject unconditionally the low egotism hypothesis between aggression and egotism and accept the discrepancy model. It should be a top priority to help girl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ho especially have much lower self-confidence, boost their egotism.
      Second, physical appearance has huge impacts on the agg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urgently calls for measures. That is, an approach will be needed to focus on internal psychological growth by helping them recognize they have various competences.
      Finally, the findings imply a need to consider individual differences by the gender, subareas of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subfactors of aggression when developing a program to reduce the aggress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격성과 자존감의 불일치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이 지각한 평가와 타인이 지각한 평가간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위협받는 자존감으로 보고, 위협받는 자존감과 공격성이 성별에 따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별로 비교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타인의 평가는 교사가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자신이 지각한 평가가 교사의 평가보다 더 높은 경우를 과대평가로, 자신이 지각한 평가가 교사의 평가보다 더 낮은 경우를 과소평가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과 중학교 1,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학교의 학생들이 표집 될 수 있도록 유층표집을 지향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13개 초등학교 20학급, 5~6학년 학생 419명과 10개 중학교 19학급, 1~3학년 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에 대한 자기-교사 평가 간의 상관은 초등학생은 학업능력이, 중학생은 운동능력이 가장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은 운동능력을 제외한 모든 하위 영역에서 과소평가를 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중학생은 학업능력, 사회적 능력, 그리고 행동․품행에서는 과소평가를, 운동능력과 신체․용모에서는 과대평가를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행동․품행에서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매우 높았다.
      셋째, 초․중등학생의 역량에 대한 성별과 평가유형별 공격성의 차이는 역량의 하위영역에 따라, 공격성의 하위요인에 따라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초등학생은 운동능력에서는 남학생의 공격성이, 신체․용모에서는 남학생과 과소평가 집단의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고, 중학생은 학업능력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과소평가 집단의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자기역량지각의 하위영역에 대한 자기평가가 공격성을 예언하는 상대적 크기는 성별 및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남학생은 행동․품행, 사회적 능력, 운동능력의 순으로, 초등학교 여학생은 행동․품행, 사회적 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남학생은 행동․품행, 전반적 자아가치감, 사회적 능력의 순으로, 중학교 여학생은 행동․품행, 전반적 자아가치감, 사회적 능력, 학업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공격성과 자존감 간의 관계에서 낮은 자존감 가설을 무조건 부정하고 불일치 모형을 수용하는 것은 성급한 태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자신감이 많이 낮은 현 초등학생들과 중학교 여학생들에게는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더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신체․용모가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즉, 다양한 역량이 자신에게 있음을 지각하게 함으로써 심리내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현장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제작 시 성별과 역량지각의 하위영역, 그리고 공격성의 하위요인별 개인차를 고려하여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공격성과 자존감의 불일치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이 지각한 평가와 타인이 지각한 평가간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위협받는 자존감으로 보고, 위협받는 자존감과 공격성이 성...

      본 연구는 공격성과 자존감의 불일치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이 지각한 평가와 타인이 지각한 평가간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위협받는 자존감으로 보고, 위협받는 자존감과 공격성이 성별에 따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별로 비교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타인의 평가는 교사가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자신이 지각한 평가가 교사의 평가보다 더 높은 경우를 과대평가로, 자신이 지각한 평가가 교사의 평가보다 더 낮은 경우를 과소평가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과 중학교 1,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학교의 학생들이 표집 될 수 있도록 유층표집을 지향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13개 초등학교 20학급, 5~6학년 학생 419명과 10개 중학교 19학급, 1~3학년 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에 대한 자기-교사 평가 간의 상관은 초등학생은 학업능력이, 중학생은 운동능력이 가장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은 운동능력을 제외한 모든 하위 영역에서 과소평가를 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중학생은 학업능력, 사회적 능력, 그리고 행동․품행에서는 과소평가를, 운동능력과 신체․용모에서는 과대평가를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행동․품행에서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매우 높았다.
      셋째, 초․중등학생의 역량에 대한 성별과 평가유형별 공격성의 차이는 역량의 하위영역에 따라, 공격성의 하위요인에 따라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초등학생은 운동능력에서는 남학생의 공격성이, 신체․용모에서는 남학생과 과소평가 집단의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고, 중학생은 학업능력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과소평가 집단의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자기역량지각의 하위영역에 대한 자기평가가 공격성을 예언하는 상대적 크기는 성별 및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남학생은 행동․품행, 사회적 능력, 운동능력의 순으로, 초등학교 여학생은 행동․품행, 사회적 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남학생은 행동․품행, 전반적 자아가치감, 사회적 능력의 순으로, 중학교 여학생은 행동․품행, 전반적 자아가치감, 사회적 능력, 학업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공격성과 자존감 간의 관계에서 낮은 자존감 가설을 무조건 부정하고 불일치 모형을 수용하는 것은 성급한 태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자신감이 많이 낮은 현 초등학생들과 중학교 여학생들에게는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더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신체․용모가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즉, 다양한 역량이 자신에게 있음을 지각하게 함으로써 심리내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는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현장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제작 시 성별과 역량지각의 하위영역, 그리고 공격성의 하위요인별 개인차를 고려하여 계획을 세울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8
      • 3. 용어의 정의 9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8
      • 3. 용어의 정의 9
      • Ⅱ. 이론적 배경 12
      • 1. 공격성 12
      • 2. 자기역량지각 26
      • 3. 공격성과 자기역량지각간의 관계 33
      • Ⅲ. 연구방법 42
      • 1. 연구대상 42
      • 2. 측정도구 43
      • 3. 자료 분석 50
      • Ⅳ. 연구결과 51
      • 1. 초․중등학생의 역량에 대한 자기-교사 평가간의 상관 51
      • 2. 초․중등학생의 역량에 대한 성별․과대/과소 평가유형별 빈도 51
      • 3. 초․중등학생의 성별과 평가유형에 따른 공격성의 차이 53
      • 4. 성별 및 초․중등학생 집단에 따라 역량의 하위영역에 대한 자기평가가 공격성을 예언하는 상대적 크기 71
      • Ⅴ. 논의 및 결론 78
      • 참고문헌 94
      • 부록 115
      • ABSTRACT 12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도종환, "교육부", 유리한 학교폭력 통계 골라 썼다. http://djh333.co.kr/ 에서 인출, 2016

      2 박지선, "심리학 용어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2070209&cid=41991&categoryId=41991에서 인출, 2014

      3 송인섭, "인간심리와 자아개념", 경기: 양서각, 1989

      4 김순혜, "청소년의 자존감 결정요인",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연구, 17(4), 1-18, 2010

      5 안연옥, "자기애와 공격성 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 서선주, "아동의 역량지각과 행동문제",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0(3), 97-106, 1999

      7 박덕규, "청소년의 성격형성과 공격성", 서울: 배영사, 1988

      8 宋忍燮, "자아개념의 다면·위계적 모형",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8(2), 47-68, 1994

      9 이춘아, "청소년의 또래공격성과 피공격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1

      10 교육부, "2016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http://www.moe.go.kr/ web/100026/ko/board/view.do?bbsId=294&pageSize=10¤tPage =0&encodeYn=N&boardSeq=63780&mode=view에서 인출, 2016

      1 도종환, "교육부", 유리한 학교폭력 통계 골라 썼다. http://djh333.co.kr/ 에서 인출, 2016

      2 박지선, "심리학 용어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2070209&cid=41991&categoryId=41991에서 인출, 2014

      3 송인섭, "인간심리와 자아개념", 경기: 양서각, 1989

      4 김순혜, "청소년의 자존감 결정요인",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연구, 17(4), 1-18, 2010

      5 안연옥, "자기애와 공격성 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 서선주, "아동의 역량지각과 행동문제",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0(3), 97-106, 1999

      7 박덕규, "청소년의 성격형성과 공격성", 서울: 배영사, 1988

      8 宋忍燮, "자아개념의 다면·위계적 모형",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8(2), 47-68, 1994

      9 이춘아, "청소년의 또래공격성과 피공격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1

      10 교육부, "2016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http://www.moe.go.kr/ web/100026/ko/board/view.do?bbsId=294&pageSize=10¤tPage =0&encodeYn=N&boardSeq=63780&mode=view에서 인출, 2016

      11 이영애, 이준석, "아동 공격성 검사지의 타당도 연구", 대경교육학회(구 우리교육학회), 교육학논총, 22(2), 143-160, 2002

      12 고미영, "아동과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연구",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6, 51-75, 1998

      13 한은영,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한국아동복지학, 48, 209-234, 2014

      14 이은아,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5 권석만, 서수균, "“자존감 및 자기애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한국심리학 회지 임상, 21(4), 809-826, 2002

      16 성태제, "SPSS/AMOS/HLM을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2판)", 서 울: 학지사, 2014

      17 유귀순, "공격성과 동조성이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한양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1

      18 이은주, "집단괴롭힘과 사회적 선호도의 관계의 다양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 구, 24(2), 63-89, 2013

      19 김세원, 김예성, "청소년의 신체적 공격성 발달궤적 및 예측요인",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 발달연구, 16(2). 87-107, 2009

      20 한종혜, "아동의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 관련변인의 고찰",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연 구논집, 12(1), 91-103, 1992

      21 강승호, 김은희, "자존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공격성 간의 관계", 한국교정학회, 교 정연구, 47, 119-143, 2010

      22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 SPSS & AMOS 2 1」", 한빛아카데미, 서 울 : 한빛아카데미, 2014

      23 김순혜, "중학생의 역량에 대한 과대평가와 공격성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 연구, 17(1), 133-148, 2003

      24 김은정, 한영경, "초기청소년기 관계적 공격성 하위유형의 특성 탐색", 한국심리학회,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4), 985-1002, 2011

      25 최선이, "아동의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덕여 자대학교 여성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26 윤정아,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경인교 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7 배기조, "아동의 역량에 대한 과대. 과소평가와 사회 정서 지각", 경북대학교, 경북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28 곽금주, 이춘재, "집단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사회적지지",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65-80, 2000

      29 윤현경, 최명구, "초등학생의 역량에 대한 평가유형과 공격성 간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14(7), 485-496, 2016

      30 이성복, "유아의 신체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가톨 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1 한영경,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 아주 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2 韓宗惠,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역량 지각 및 자아 존중감",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 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33 朴永愛, "부모의 양육행동 및 형제관계와 아동의 자존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고 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34 민자용, "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안 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5 유미숙, 이세연, "연구논문 : 청소년의 자기애 및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 계",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7(7), 101-128, 2010

      36 김순호, "학령기 아동의 공격성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대 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7 이민아, "초등학생의 집단 괴롭힘 개입 유형과 심리적 특성의 관계", 연 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38 김경아, "아동과 청소년의 외모 및 신체만족과 심리적 특성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9 김민정 ( Min Jeong Kim ), 이기학 ( Ki Hak Lee ), ""외현적,암묵적 자존감과분노 상황에 따른 공격성 차이 연구"",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5(4), 1343-1363, 2014

      40 이경희, "성형수술을 원하는 여성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41 어혜자, "아동의 역량지각 및 사회적 지지와 자아가치감과의 관계 연 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42 최미숙 ( Mi Sook Choi ), 전아영 ( A Young Jeon ), "유아의 관계적,외현적 공격성의 성차 및 성격과 리더십의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20(2), 249-270, 2016

      43 강소영, 김은영, "수형자들의 교정프로그램과 범죄경력이 자존감에 미 치는 영향", 한국범죄심리학회, 한국범죄심리연구, 8(3), 89-111, 2012

      44 공인숙, 오채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4), 139-149, 2007

      45 송미옥, 이승희, "부모애착과 또래관계스트레스가 여중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발달장애연구, 15(2), 1-20, 2011

      46 박성연, 강지홍, "남․여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아동학회지, 26(1), 1-14, 2005

      47 이정혜, "대상관계이론에 근거한 아동의 공격성 감소 프로 그램 개발과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48 김민정, "아버지의 통제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 및 공격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49 Kerig, P., Wenar, C.,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4/e: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이춘재 외 공역", 서울: 박학사(원전은 2004년에 출판), 2006

      50 박유란, "BMI지수와 신체외형도에 따른 신체의식이 외모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1 최애나, "음악치료가 소득계층별 아동의 공격성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52 김순혜, "아동의 역량에 대한 자기-타인 지각차이와 사회정서적 적응 과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5(3), 29-57, 2001

      53 정문경,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역량지각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4 고애란, 김양진, "의복 및 신체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사회적 자아존중 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6(2), 197-211, 1996

      55 어주경, 홍명숙, "중학생의 성별에 따라 자기애, 공감능력, 자존감이 공격성에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4(6), 3911-3928, 2013

      56 김혜원, 이해경, "집단괴롭힘의 가해와 피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 심리적 변인들",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 45-64, 2000

      57 박미향 ( Mi Hyang Park ), 김완일 ( Wan Il Kim ), "청소년의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 연구, 21(10), 475-501, 2014

      58 장미희, 지은선, "초등학생의 인터넷 과다사용, 우울-불안, 자존감이 공 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5), 642-649, 2010

      59 곽연식, "남자 중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및 인식 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60 박애리 ( Aely Park ), "부모간의 폭력노출 및 학대받은 경험이 아동의 공격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1(10). 503-528, 2014

      61 김재철, 최지영, "부모학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20(1), 19-32, 2011

      62 노영주, 김순혜, "초,중등학생의 자기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가 자존감 에 미치는 영향 차이",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3(5), 181-204, 2016

      63 신효정 ( Hyo Jung Shin ), 이문희 ( Mun Hee Lee ), "애착외상과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매개효과와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1(1), 291-312, 2014

      64 윤영희, "만 5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또래 유능성, 자기 역량 지각의 예측변인",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65 최정아(Jung-Ah Choi), "초기 청소년기 공격성의 발달적 변화와 가족 영향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2), 294-307, 2014

      66 이은주, "내재화 행동문제와 외현화 행동문제의 종단적 공동발달 : 잠재성장모델의 적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1(4), 171-200, 2010

      67 이인선, "아동의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과 교사지각의 차이와 사회정서 지각간의 관계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68 고향자, 김희정, 김영란, "상담일반:소년수형자와 일반청소년의 자기 애,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 비교 연구", 상담학연구, 8(3), 917-933, 2007

      69 강윤주, "초등학생의 또래애착과 공격성의 관계 : 명시적 자존감 및 암 묵적 자존감의 역할",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0 김영란, 이백철, 김영희, "“소년 수형자들의 자기애와 자아 존중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교정연구, 61-88, 2006

      71 김지현 ( Jin Hyun Kim ), 박경자 ( Kyung Ja Park ), "아동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외적 요인에 대한구조방정식 모형검증", 한국아동학회,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72 김현옥,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 녕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73 김혜금, "아동이 지각한 교사-아동 관계와 교사의 심리통제가 아 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5), 529-539, 2014

      74 한세영, "가해집단과 가해피해집단의 공격성에 관련된 자존감, 수치심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한국인간발달학회, 인간발달연구, 17(1), 125-143, 2010

      75 정현주, "“아동기 또래괴롭힘 가해/피해 경험과 문제행동의 발달궤적 간 관 계와 예측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6 서미정, "초기 청소년의 외현적 공격성 변화와 비행, 우울/불안 및 학업 성취감: 잠재성장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0(2), 141-167, 2009

      77 차재선, "청소년의 자존감과 공격성의 관계 : 자기애, 자기개념 명확성, 긍정적 착각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78 송미옥,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부모애착과 또래관계 스트레스가 여중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9 문지혜, 하정연, 박혜원, "영재와 일반 남아의 자존감 비교 및 영재 남아의 자존감 유형별 신체증상 및 공격성 분석", 한국영재학회, 영재교육연구, 21(1), 83-105, 2011

      80 윤명희, 김순혜,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역기능적 분노표현양식의 관계에서 자기역량지각의 매개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14(5), 541-551, 2016

      81 이윤경, "아동의 분노정서가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분노대처 방식과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82 서현아, 지은주, "사회정보처리모델을 중심으로 한 공격적인 유아와 비 공격적인 유아의 사회인지에 관한 연구", 부산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논총, 10, 27-45, 2001

      83 노우빈, 홍혜영,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분석", 통합치료연구, 7(2), 81-102, 2016

      84 최종옥, "비행청소년의 복합외상노출경험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85 김희선, "고등학생의 체형인식 및 만족도에 따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에 미치는 영향 :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