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승길, "휴게시간의 해석론과 입법론" 법학연구원 18 (18): 521-556, 2006
2 김민중, "환자의 진료의사선택에 따른 민사법적 과제" 동북아법연구소 9 (9): 227-256, 2015
3 "환자 안전 위해 ‘병원의사 특별법’ 제정필수"
4 배규식, "한국 장시간 노동체제의 지속요인" 비판사회학회 (95) : 128-162, 2012
5 "퇴직금 걸면 걸리는 봉직의 ‘네트’"
6 "전체 근로자보다 연평균 330시간 더 일하는 의사들"
7 "의사평균 근무시간 10시간 37분"
8 백경희, "응급의료에 관한 판례의 분석과 고찰- 급성기 3대 중증 응급 질환을 중심으로 -" 한국의료법학회 21 (21): 57-86, 2013
9 이석배,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한국형사정책학회 21 (21): 263-289, 2009
10 김수근, "봉직의사의 장시간 근로로 인한 안전과 건강영향 및 대책"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14 (14): 2016
1 이승길, "휴게시간의 해석론과 입법론" 법학연구원 18 (18): 521-556, 2006
2 김민중, "환자의 진료의사선택에 따른 민사법적 과제" 동북아법연구소 9 (9): 227-256, 2015
3 "환자 안전 위해 ‘병원의사 특별법’ 제정필수"
4 배규식, "한국 장시간 노동체제의 지속요인" 비판사회학회 (95) : 128-162, 2012
5 "퇴직금 걸면 걸리는 봉직의 ‘네트’"
6 "전체 근로자보다 연평균 330시간 더 일하는 의사들"
7 "의사평균 근무시간 10시간 37분"
8 백경희, "응급의료에 관한 판례의 분석과 고찰- 급성기 3대 중증 응급 질환을 중심으로 -" 한국의료법학회 21 (21): 57-86, 2013
9 이석배,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한국형사정책학회 21 (21): 263-289, 2009
10 김수근, "봉직의사의 장시간 근로로 인한 안전과 건강영향 및 대책"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14 (14): 2016
11 "보건업 특례업종 논란.. 시기상조 or 시대착오"
12 김홍영, "대학교수의 근로조건의 불이익변경: 광주지법 2011. 5. 12. 선고 2010나15918판결" 한국노동법학회 2011
13 "길병원 전공의 과로사 추정...뜨거워지는 ‘근무시간’"
14 고용노동부, "근로시간 해당여부 판단 및 사례"
15 박귀천, "근로시간 특례업종 관련 쟁점 및 향후 논의 방향" 한국노동연구원 2018
16 한인상, "근로시간 및 휴게시간 특례제도의 현황과 개선과제, 이슈와 논점" 2015
17 한국경영자총협회, "근로시간 단축가이드북" 2018
18 고용노동부, "근로시간 단축, 특례업종 축소, 공휴일 민간 적용 관련 개정 근로기준법 설명자료"
19 김상호, "근로대기시간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노동법이론실무학회 (1) : 2008
20 박귀천,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 특례제도의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독일의 근로시간 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를 포함하여 -" 법학연구소 16 (16): 57-78, 2012
21 고용노동부, "근로기준법 질의회시집" 2010
22 "‘응급 의료 기둥’ 윤한덕 NEMC 센터장 과로사... 의료계 ‘침통’"
23 "‘365일 중 300일 진료’ 통계로 본 의사 과로사회"
24 "www.employmentlawhandbook.com/flsa/fair-labor-standards-act-when-on-call-time-is-recognized-as-hours-worked/"
25 "https://hrdevelopmentinfo.com/how-does-on-call-pay-work/"
26 대한병원협회, "2018년 수련규칙 표준안"
27 중앙응급의료센터, "2017 응급의료 통계연보"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