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015년부터 2019년 상반기 사이 국내 서양미술사 학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본고는 지난 4년간 출간된 서양미술사 관련 모든 논문과 저서를 소개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015년부터 2019년 상반기 사이 국내 서양미술사 학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본고는 지난 4년간 출간된 서양미술사 관련 모든 논문과 저서를 소개하...
본 논문은 2015년부터 2019년 상반기 사이 국내 서양미술사 학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본고는 지난 4년간 출간된 서양미술사 관련 모든 논문과 저서를 소개하고 분류하는 기존의 회고논문 형식을 지양하고 필자의 개인적 경험을 중심으로 내용을 서술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양적 성장 이면에 내재한 고질적인 학계 내부의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정규직 일자리의 부족, 지나치게 난립한 영세 학회, 정보 교환의 부재, 상설 서양미술 컬렉션의 부재, 1차 사료를 바탕으로 하는 연구의 미비, 특정 해외학자들의 논의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이론적 편식 등 내수용 서양미술사 연구가 지닌 한계를 진솔하게 고백하고 국내 서양미술사 연구자들의 진지한 반성과 성찰을 촉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public interest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has grown enormously for the last few decades. Beneath the veneer of this seeming success, however, lies a defect that has long affected professional historians of Western art in South Korea. The pr...
Korean public interest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has grown enormously for the last few decades. Beneath the veneer of this seeming success, however, lies a defect that has long affected professional historians of Western art in South Korea. The problem consists of two interconnected components. First, it is the lack of serious archival research that has characterized most studies on the history of Western art conducted by Korean scholars. When writing books and articles, they rely heavily on secondary sources written by Western academics. They hardly venture into primary sources, especially unpublished archival materials. This practice engenders sloppy scholarship which in turn sets an undesirable example for postgraduate students. Coupled with this is the second element, that is, the uncritical application of so-called ‘theories’ developed in other disciplines. The slavish consumption of theories in Korea is more widespread among scholars working on modern or contemporary art than those concerned with pre-modern art. Unless Korean academia grows out of these kinds of unworthy exercises, the future for truly innovative and productive art historical research in Korea is doomed.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필, "현대 예술사진의 변혁과 비평의 동시대성 문제" 서양미술사학회 (44) : 309-340, 2016
2 조은정, "헬라스와 그리스" 사회평론 2016
3 조은정, "한국에서 서양미술사 개론서 쓰기" 한국예술연구소 (15) : 303-315, 2017
4 신상철, "프랑스 예술가들의 공간,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 17세기 프랑스 고전주의 미학의 형성과정과 샤를르 르 브룅의 회화 규범" 서양미술사학회 (44) : 41-70, 2016
5 조은정, "외연의 성장과 내면의 위기 - 사춘기의 국내 서양미술사학(2011~2014) -" 역사학회 (227) : 367-384, 2015
6 김기수, "어떻게 ‘컨템퍼러리 아트’를 번역할 것인가?" 서양미술사학회 (48) : 211-237, 2018
7 이임수, "신디 셔먼의 사진: 현존과 부재의 기표로서의 얼룩" 서양미술사학회 (47) : 173-202, 2017
8 최지혜, "소리미술의 공간과 장소성에 대한 고찰: 막스 뉴하우스와 자넷 카디프 작업을 중심으로" 서양미술사학회 (44) : 235-257, 2016
9 박성은, "미켈란젤로: 완벽에의 열망이 천재를 만든다" 북이십일 2016
10 유원준, "매체 예술의 탈전유적 시/공간성 연구" 서양미술사학회 (44) : 259-278, 2016
1 이필, "현대 예술사진의 변혁과 비평의 동시대성 문제" 서양미술사학회 (44) : 309-340, 2016
2 조은정, "헬라스와 그리스" 사회평론 2016
3 조은정, "한국에서 서양미술사 개론서 쓰기" 한국예술연구소 (15) : 303-315, 2017
4 신상철, "프랑스 예술가들의 공간, 왕립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 17세기 프랑스 고전주의 미학의 형성과정과 샤를르 르 브룅의 회화 규범" 서양미술사학회 (44) : 41-70, 2016
5 조은정, "외연의 성장과 내면의 위기 - 사춘기의 국내 서양미술사학(2011~2014) -" 역사학회 (227) : 367-384, 2015
6 김기수, "어떻게 ‘컨템퍼러리 아트’를 번역할 것인가?" 서양미술사학회 (48) : 211-237, 2018
7 이임수, "신디 셔먼의 사진: 현존과 부재의 기표로서의 얼룩" 서양미술사학회 (47) : 173-202, 2017
8 최지혜, "소리미술의 공간과 장소성에 대한 고찰: 막스 뉴하우스와 자넷 카디프 작업을 중심으로" 서양미술사학회 (44) : 235-257, 2016
9 박성은, "미켈란젤로: 완벽에의 열망이 천재를 만든다" 북이십일 2016
10 유원준, "매체 예술의 탈전유적 시/공간성 연구" 서양미술사학회 (44) : 259-278, 2016
11 김정아, "리움(Leeum) 삼성미술관의 전시를 통해서 본 한국적 정체성" 서양미술사학회 (45) : 119-148, 2016
12 이은기, "르네상스 미술과 후원자" 시공아트 2018
13 정무정, "록펠러 재단의 문화사업과 한국미술계 (I)"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7 : 255-279, 2019
14 전영백, "데이빗 호크니의 ‘눈에 진실한’ 회화: 1980년대 이후 반원근법, 비사진적풍경화를 중심으로" 서양미술사학회 (48) : 153-181, 2018
15 양정무,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이야기" 사회평론 2018
16 박은영, "기억의 장소, 철원 노동당사 폐허" 서양미술사학회 (47) : 53-81, 2017
17 김현주, "국내 서양미술사학의 확장" 역사학회 (211) : 359-379, 2011
18 Haskell, Francis, "The Ephemeral Museum: Old Master Paintings and the Rise of the Art Exhibition" Yale University Press 2000
19 Crow, Thomas, "Painters and Public Life in Eighteenth-Century Paris" Yale University Press 1985
20 Boorman, Isabella, "Interview with Thomas E. Crow"
21 우정아, "<오리엔탈 마이노리티 이그조틱>: 박모의 ‘한국적 포스트모더니즘’ 모색" 서양미술사학회 (45) : 69-95, 2016
22 구진경, "1970년대 한국 단색화 담론과 백색 미학 형성의 주체 고찰" 서양미술사학회 (45) : 39-68, 2016
새로운 도약의 필요성: 2017~2018년 영국사 연구동향
세상과 소통을 추구하다: 2017-8 서양고대사 연구 동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5 | 1.05 | 0.9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75 | 1.505 | 0.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