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동물 피부조직은 인체의 피부연구의 대체 조직으로서 표피약물 전달 및 피부를 통한 진단 및 치료 연구에 활발히 적용되어 왔다. 본 실험은 다양한 연구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동물 피부조직은 인체의 피부연구의 대체 조직으로서 표피약물 전달 및 피부를 통한 진단 및 치료 연구에 활발히 적용되어 왔다. 본 실험은 다양한 연구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목적: 동물 피부조직은 인체의 피부연구의 대체 조직으로서 표피약물 전달 및 피부를 통한 진단 및 치료 연구에 활발히 적용되어 왔다. 본 실험은 다양한 연구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 동물조직인 마이크로피그, 돼지, 누드마우스의 피부조직을 이용하여 해동 조건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유전체 손상 특성 및 조직 형태학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동물모델은 동결된 마이크로피그, 돼지, 누드마우스의 피부조직을 각각 냉장(4℃)과 실온(Room temp)에서 0, 30, 60, 90, 120분 동안 해동하였다. 추출된 DNA는 분광 흡광도 법으로 DNA 농도 및 A_260/A_280 비를 측정하여 순도를 확인하였고, genomic DNA ScreenTape 분석을 통해 DNA Integrity Number를 측정하여 DNA degradation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H&E 염색을 통해 피부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동결된 피부조직의 해동시간 및 온도 조건에 관계없이, 모든 DNA 샘플에서 A_260/A_280 비는 1.8 이상을 나타내었고, 각 동물모델의 피부조직에서 해동 온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DIN 값의 평균 ± 표준편차는 6.90 ± 0.17, 냉장(4℃)에서 30분 동안 해동한 경우 6.83 ± 0.25, 60분 동안 해동한 경우 6.87 ± 0.06, 90분 동안 해동한 경우 6.70 ± 0.17, 120분 동안 해동한 경우 6.60 ± 0.30 이었다(P=0.808). 실온(Room temp)에서 30분 동안 해동한 경우 6.70 ± 0.20, 60분 동안 해동한 경우 6.87 ± 0.35, 90분 동안 해동한 경우 6.83 ± 0.12, 120분 동안 해동한 경우 6.67 ± 0.06 이었다(P=0.291). 냉장 및 실온에서 해동 시간 경과에 따라 DIN 값의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 차이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H&E 염색상에서 조직 형태학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동물 피부를 이용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동물 조직의 종류별 보관 방법 및 해동 조건에 따른 조직의 세포조직학적 및 유전체 손상 특성 유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에 적용된 동물모델의 피부조직은 냉장 및 실온에서 해동 시 2시간까지 조직의 해부학적 구조 및 DNA의 손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인체 피부조직 연구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는 동물 피부 조직 기반의 다양한 연구활동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