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효행 설화에서 나타난 불편한 ‘희생’의 의미와 한국인의 ‘효’ 의식 재고 =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Abhorrent Sacrifice and Filial Piety Consciousness in the Tales of a Good Chi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5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희생’의 개념을 명확히 함으로써 효행 설화에서 나타나는 불편한 희생 모티프의 의미와 새로운 ‘효’의 개념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인류학에서 논의되어온 종교 희생 제의에 관한 연구를 참고하여 희생이 발생하게 된 문화사적 맥락을 탐구하고 그것의 본래 개념을 제시하였다. ‘희생’은 희생하는 자, 희생물, 희생을 받는 자의 삼자 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적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들의 삼자 관계는 ‘증여’ 행위를 바탕으로 성립되고 있으며, 그것은 효행 설화에서 나타나는 자녀와 부모의 관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곧 ‘자녀가 부모에게 필요한(결핍된) 무엇을 제공하는’ 과정이 주요한 서사의 흐름이기 때문에, 이들이 ‘희생’을 통해 형성하는 ‘증여 관계’는 유용한 분석의 틀이 된다. 효행 설화에서는 희생을 주고받는 증여의 삼자 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희생을 받는 신의 역할이 나를 낳아준 창조자인 부모로 대체된다. 후자의 경우, 희생이 증여 관계가 모호해지는 은유적 차원으로 확장되면서 인물의 지극한, 그래서 불편한 효행이 곧바로 희생으로 인식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게다가 희생의 보상이 부모가 아닌 제삼자(하늘, 국가, 사회)로부터 주어짐으로써 희생이 지니고 있던 본래의 제의적 기능이나 목적은 사라지고 그 자리에 사회 윤리, 인간 도덕의 가치가 들어서게 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효행 설화에서 희생은 내가 받은 생명을 부모에게 결코 되갚을 수 없다는 부채 의식에 기인한다. 희생 제의가 오로지 피와 살을 지닌 생명으로서만 갚을 수 있는 ‘삶’과 ‘생명’의 귀중함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효행 설화의 희생 모티프는 윤리적 실천이나 의무를 중시해온 그동안의 효 관념을 확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제 효는 윤리적 의무와 책임이 강조되는 실천보다는 그러한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정념’을 바탕으로 재고되어야 한다. 곧 가장 귀중한 가치인 생명을 주고받은 부모와 자녀는 그 존재의 귀중함을 인식하는 상호 존중의 ‘감정’을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인식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희생’의 개념을 명확히 함으로써 효행 설화에서 나타나는 불편한 희생 모티프의 의미와 새로운 ‘효’의 개념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인류학에서 논의되어온 종교 희생 제의...

      본 연구는 ‘희생’의 개념을 명확히 함으로써 효행 설화에서 나타나는 불편한 희생 모티프의 의미와 새로운 ‘효’의 개념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인류학에서 논의되어온 종교 희생 제의에 관한 연구를 참고하여 희생이 발생하게 된 문화사적 맥락을 탐구하고 그것의 본래 개념을 제시하였다. ‘희생’은 희생하는 자, 희생물, 희생을 받는 자의 삼자 관계 안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적 커뮤니케이션이다. 이들의 삼자 관계는 ‘증여’ 행위를 바탕으로 성립되고 있으며, 그것은 효행 설화에서 나타나는 자녀와 부모의 관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곧 ‘자녀가 부모에게 필요한(결핍된) 무엇을 제공하는’ 과정이 주요한 서사의 흐름이기 때문에, 이들이 ‘희생’을 통해 형성하는 ‘증여 관계’는 유용한 분석의 틀이 된다. 효행 설화에서는 희생을 주고받는 증여의 삼자 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전자의 경우는 희생을 받는 신의 역할이 나를 낳아준 창조자인 부모로 대체된다. 후자의 경우, 희생이 증여 관계가 모호해지는 은유적 차원으로 확장되면서 인물의 지극한, 그래서 불편한 효행이 곧바로 희생으로 인식된다는 문제가 생긴다. 게다가 희생의 보상이 부모가 아닌 제삼자(하늘, 국가, 사회)로부터 주어짐으로써 희생이 지니고 있던 본래의 제의적 기능이나 목적은 사라지고 그 자리에 사회 윤리, 인간 도덕의 가치가 들어서게 된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효행 설화에서 희생은 내가 받은 생명을 부모에게 결코 되갚을 수 없다는 부채 의식에 기인한다. 희생 제의가 오로지 피와 살을 지닌 생명으로서만 갚을 수 있는 ‘삶’과 ‘생명’의 귀중함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효행 설화의 희생 모티프는 윤리적 실천이나 의무를 중시해온 그동안의 효 관념을 확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제 효는 윤리적 의무와 책임이 강조되는 실천보다는 그러한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정념’을 바탕으로 재고되어야 한다. 곧 가장 귀중한 가치인 생명을 주고받은 부모와 자녀는 그 존재의 귀중함을 인식하는 상호 존중의 ‘감정’을 바탕으로 하여 새롭게 인식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clarifies the original meaning of sacrifice through its historical context and facilitates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Tales of a Good Child and its abhorrent sacrifice motif. Furthermore, it shows a new, contemporary concept of filial piety by investigating the cultural history of sacrifice, consulting the studies on religious sacrificial rites discussed in anthropology and clarifies the original concept of sacrifice. Sacrifice is a functional communication in a triad relation of a sacrificing person, an object of sacrifice, and a person who receives the sacrifice. This triad relation is established based on giving and taking, and it applies to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represented in the Tales of a Good Child. The give-and-take relation created by the sacrifice of children provides a proper frame for analyzing those tales because the process through which children offer what parents want forms the primary flow of the narratives.
      A few cases can be clearly identified with the triad relation of sacrifice in the tales, but other cases cannot be easily identified.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role of the god who had received the sacrifice is changed to that of a creator, like parents giving birth to a child. The latter case is called ”metaphorical sacrifice,” and is drawn from the original meaning of sacrifice, which has become ambiguous with the triad relation. It caused the filial but awkward behavior of a good child appear like a sacrifice without a second thought, inspiring the passion of sacrifice. Another critical point is that the reward for this sacrifice is not received from the parents directly but from a third party unrelated to this sacrifice or a metaphorical third party. That is, the relation of giving and taking with sacrifice is changed in the tales at the level of literary discourse. In this way, the primary context and purpose of the ritual sacrifice have vanished. Instead, the social ethics and morality of human beings are replaced there.
      In conclusion, sacrifice in the Tales of a Good Child comes from a debt consciousness that we can never return our lives to our parents. The Tales of a Good Child can possibly become free from the traditional thoughts of filial piety in the sense that the sacrifice ritual reveals the preciousness of ”living” and ”life” we received paradoxically, which is only repayable with an object of sacrifice having blood and flesh. Now filial piety needs to be based on ”passion,” enabling such practices rather than the practices emphasizing ethical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Therefore, contemporary filial piety must be recognized anew as the mutual respect emotion helping parents and children be aware of the preciousness of their own lives and their relationship, which was formed by giving and taking life.
      번역하기

      This article clarifies the original meaning of sacrifice through its historical context and facilitates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Tales of a Good Child and its abhorrent sacrifice motif. Furthermore, it shows a new, contemporary concept of filial ...

      This article clarifies the original meaning of sacrifice through its historical context and facilitates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Tales of a Good Child and its abhorrent sacrifice motif. Furthermore, it shows a new, contemporary concept of filial piety by investigating the cultural history of sacrifice, consulting the studies on religious sacrificial rites discussed in anthropology and clarifies the original concept of sacrifice. Sacrifice is a functional communication in a triad relation of a sacrificing person, an object of sacrifice, and a person who receives the sacrifice. This triad relation is established based on giving and taking, and it applies to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represented in the Tales of a Good Child. The give-and-take relation created by the sacrifice of children provides a proper frame for analyzing those tales because the process through which children offer what parents want forms the primary flow of the narratives.
      A few cases can be clearly identified with the triad relation of sacrifice in the tales, but other cases cannot be easily identified.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role of the god who had received the sacrifice is changed to that of a creator, like parents giving birth to a child. The latter case is called ”metaphorical sacrifice,” and is drawn from the original meaning of sacrifice, which has become ambiguous with the triad relation. It caused the filial but awkward behavior of a good child appear like a sacrifice without a second thought, inspiring the passion of sacrifice. Another critical point is that the reward for this sacrifice is not received from the parents directly but from a third party unrelated to this sacrifice or a metaphorical third party. That is, the relation of giving and taking with sacrifice is changed in the tales at the level of literary discourse. In this way, the primary context and purpose of the ritual sacrifice have vanished. Instead, the social ethics and morality of human beings are replaced there.
      In conclusion, sacrifice in the Tales of a Good Child comes from a debt consciousness that we can never return our lives to our parents. The Tales of a Good Child can possibly become free from the traditional thoughts of filial piety in the sense that the sacrifice ritual reveals the preciousness of ”living” and ”life” we received paradoxically, which is only repayable with an object of sacrifice having blood and flesh. Now filial piety needs to be based on ”passion,” enabling such practices rather than the practices emphasizing ethical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Therefore, contemporary filial piety must be recognized anew as the mutual respect emotion helping parents and children be aware of the preciousness of their own lives and their relationship, which was formed by giving and taking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호림, "희생제의 전통의 와해와 기괴한 효행담의 탄생 - <죽은 아들을 묻은 효부>를 중심으로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1 : 241-269, 2016

      2 정제호, "희생제의 서사의 문화적 함의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양상" 한국구비문학회 (54) : 69-97, 2019

      3 신호림, "희생대체의 원리와 <동자삼>의 제의적 성격" 우리문학회 (43) : 159-190, 2014

      4 심우장, "효행설화와 희생제의의 전통" 실천민속학회 10 : 175-203, 2007

      5 이강엽, "효행담(孝行談)에 나타난 부모의 역할과 공감(共感)의 문제" 국제어문학회 (63) : 137-168, 2014

      6 Hénaf , Marcel, "진리의 가격 : 증여와 계약의 계보학, 진리와 돈의 인류학" 눌민 2018

      7 Godelier, Maurice, "증여의 수수께끼" 문학동네 2011

      8 Mauss, Marce, "증여론" 한길사 2002

      9 정경민, "자녀희생효설화에 나타난 ‘효’와 ‘모성’의 문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5-42, 2012

      10 김대숙, "문헌소재 효행설화의 역사적 전개" 한국구비문학회 6 : 21-46, 1998

      1 신호림, "희생제의 전통의 와해와 기괴한 효행담의 탄생 - <죽은 아들을 묻은 효부>를 중심으로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1 : 241-269, 2016

      2 정제호, "희생제의 서사의 문화적 함의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양상" 한국구비문학회 (54) : 69-97, 2019

      3 신호림, "희생대체의 원리와 <동자삼>의 제의적 성격" 우리문학회 (43) : 159-190, 2014

      4 심우장, "효행설화와 희생제의의 전통" 실천민속학회 10 : 175-203, 2007

      5 이강엽, "효행담(孝行談)에 나타난 부모의 역할과 공감(共感)의 문제" 국제어문학회 (63) : 137-168, 2014

      6 Hénaf , Marcel, "진리의 가격 : 증여와 계약의 계보학, 진리와 돈의 인류학" 눌민 2018

      7 Godelier, Maurice, "증여의 수수께끼" 문학동네 2011

      8 Mauss, Marce, "증여론" 한길사 2002

      9 정경민, "자녀희생효설화에 나타난 ‘효’와 ‘모성’의 문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4) : 5-42, 2012

      10 김대숙, "문헌소재 효행설화의 역사적 전개" 한국구비문학회 6 : 21-46, 1998

      11 오세정, "무속신화의 희생양과 희생제의" 한국고전연구학회 7 : 342-367, 2001

      12 최기숙, "구비설화에 나타난 노인 세대의 자식에 대한 기대 수준과 가족관* ‘친딸보다 나은 양아들(양아들이 효도하기/411-5)’ 유형으로 본 ‘재산증여’와 가족의 해체/재구성" 한국여성문학학회 (28) : 369-412, 2012

      13 김대숙, "구비 효행설화의 거시적 조망" 한국구비문학회 3 : 177-201, 1996

      14 강덕희, "韓國 『傳孝行說話의 硏究-父母得病의 治病孝行譚을 中心으로-" 문창어문학회 21 : 367-388, 1983

      15 吳世晶, "犧牲敍事의 構造와 人物 연구 - ?바리공주???지네장터???심청전?을 대상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117-142, 2002

      16 정태현, "孝經大義" 전통문화연구회 1996

      17 서태수, "子女犧牲孝說話를 通해 본 孝行主體의 意識" 청람어문교육학회 5 : 240-271, 1991

      18 최기숙, "‘효/불효’ 설화에 나타난 가족 관계의 문학적 상상과 문화 문법에 관한 비판적 독해 -‘불효를 이용해 효도하게 하기(431-1)’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31) : 115-155, 2010

      19 신호림, "‘遜順埋兒’條에 나타난 犧牲孝 화소의 불교적 포섭과 그 의미" 우리문학회 (45) : 65-87, 2015

      20 Hubert, Henri, "Sacrifice: Its Nature and Func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4

      21 Bourdillon, Michael F. C., "Sacrifice" Academic Press 1980

      22 Wellisch, Erich, "Issac and Oedipus" Routledge 1999

      23 신호림, "<孝不孝橋> 설화에 내재된 희생제의의 전통과 孝의 의미" 실천민속학회 29 : 151-178,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