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복순(金福順), "女性 바보담의 웃음과 意味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255-280, 2008
2 김애령, "히스테리 언어의 의미: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에 대한 여성철학적 비판" 한국여성철학회 29 : 31-58, 2018
3 Christina von Braun, "히스테리"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3
4 유형동, "호환(虎患)에 대처하는 인문적 상상력-설화와 민간신앙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59) : 9-36, 2020
5 조혜영, "항쟁의 기억 혹은 기억의 항쟁 - 518의 영화적 재현과 매개로서의 여성" 한국여성문학학회 (17) : 139-174, 2007
6 임석재, "한국구전설화 : 평안북도편1" 평민사 1996
7 Isabella B. Bishop,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살림 1994
8 조동일, "한국 설화와 민중의식" 정음사 1985
9 최원오, "한국 설화문학에서의 ‘문둥병[癩病]’에 대한 인식과 젠더, 이데올로기의 문제" 일본연구소 52 : 55-88, 2017
10 김언종, "퇴계의 행적과 일화의 여러 양상" 퇴계학연구원 (138) : 107-157, 2015
1 김복순(金福順), "女性 바보담의 웃음과 意味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255-280, 2008
2 김애령, "히스테리 언어의 의미: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에 대한 여성철학적 비판" 한국여성철학회 29 : 31-58, 2018
3 Christina von Braun, "히스테리"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3
4 유형동, "호환(虎患)에 대처하는 인문적 상상력-설화와 민간신앙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회 (59) : 9-36, 2020
5 조혜영, "항쟁의 기억 혹은 기억의 항쟁 - 518의 영화적 재현과 매개로서의 여성" 한국여성문학학회 (17) : 139-174, 2007
6 임석재, "한국구전설화 : 평안북도편1" 평민사 1996
7 Isabella B. Bishop, "한국과 그 이웃 나라들" 살림 1994
8 조동일, "한국 설화와 민중의식" 정음사 1985
9 최원오, "한국 설화문학에서의 ‘문둥병[癩病]’에 대한 인식과 젠더, 이데올로기의 문제" 일본연구소 52 : 55-88, 2017
10 김언종, "퇴계의 행적과 일화의 여러 양상" 퇴계학연구원 (138) : 107-157, 2015
11 권오봉, "퇴계선생에 관한 전언설화고론" (사)퇴계학부산연구원 1 : 163-184, 1995
12 김종대, "퇴계선생 탄생담을 통해본 문헌설화와 구비설화의 민중적 시각과 그 차이" 중앙어문학회 56 : 181-201, 2013
13 강재철, "퇴계선생 설화" nosvos 2011
14 이병휴, "퇴계 이황의 가계와 생애"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1 : 71-88, 1973
15 이황, "퇴계 이황 아들에게 편지를 쓰다" 연암서가 2011
16 김용기, "퇴계 이황 설화 출생담의 특징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4) : 247-271, 2012
17 김용기, "퇴계 이황 등장 설화의 性 수용 양상과 설화적 인식" 우리문학회 (40) : 47-75, 2013
18 Maclean, Marie, "텍스트의 역학" 한나래 1997
19 신태수, "태몽의 서사적 의미와 기능에 대한 비교연구" 한남대학교 한남어문학회 34·35 : 21-38, 2011
20 김기덕, "조선의 매장문화와 풍수사상" 호남사학회 (44) : 199-219, 2011
21 신재훈, "조선 후기 음택풍수의 유행과 정약용의 풍수 인식" 한국학중앙연구원 (34) : 230-255, 2015
22 김동진, "조선 전기 포호정책 연구" 선인 2009
23 이남희, "조선 사회의 유교화(儒敎化)와 여성의 위상 — 15·16세기 족보를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연구원 (48) : 135-168, 2011
24 한정훈, "전설의 인물상(人物像)에 나타난한계와 극복 양상 연구-백호 임제의 인물전설을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학회 (87) : 227-262, 2013
25 문용식, "적강 및 환생화소의 쓰임새" 한양어문연구회 11 : 209-248, 1993
26 김애령, "이방인과 환대의 윤리" 한국현상학회 (39) : 175-205, 2008
27 김만태, "음택풍수의 명당발복 설화를 통해 살펴본 우리 풍수문화 -― 인식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실천민속학회 15 : 5-45, 2010
28 강진옥, "원혼설화의 담론적 성격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22 : 2-66, 2002
29 신동흔, "역사인물 이야기 연구" 집문당 2002
30 김영희, "역사 인물 이야기의 연행과 공동체 경계 구성" 한국고전문학회 (42) : 195-238, 2012
31 이익, "성호사설 정선(精選)상" 현대실학사 1988
32 강재철, "설화의 구비전승과 문헌전승의 상호 재귀적 양상-근간 『퇴계선생설화』 수록 자료의 개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1 : 249-277, 2011
33 임재해, "설화에 나타난 조월천의 삶과 그 민중적 인식" 안동대학교 3 (3): 61-105, 1991
34 김정희, "서사의 분기점을 통해 본 ‘달걀로 얻은 명당’의 발복 양상과 그 서사적 의미" 한국문학치료학회 43 : 91-139, 2017
35 이화근, "산척, 조선의 사냥꾼" 도서출판 따비 2016
36 이은철, "산신설화에 나타난 산신조우(山神助佑)의 의미 연구"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7 : 175-209, 1999
37 齋藤純一, "민주적 공공성" 이음 2009
38 김주환, "미셸 푸코의 담론분석 방법론의 원리와 체계적 난점들" 한국질적탐구학회 187-194, 2018
39 손병국, "명장과 이인으로 추앙받는 삶-강감찬 설화의 전승 양상과 의미"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6 : 33-47, 1997
40 이소희, "메를로-퐁티의 ‘말하는 몸(corps parlant)’과 히스테리" 한국여성철학회 16 : 141-176, 2011
41 Michel Foucault, "담론의 질서" 새길 1993
42 Mills, Sara, "담론" 인간사랑 2001
43 신호림, "退溪에 대한 설화적 기억과 性 담론 고찰"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30 : 211-237, 2020
44 홍인숙, "書簡을 통해 본 退溪의 스승으로서의 면모와 그 의의 - 月川 趙穆에게 보낸 서간을 중심으로 -" 영남퇴계학연구원 (11) : 91-121, 2012
45 이인경, "旣婚女性의 삶, 타자 혹은 주체 -구비설화로 본 裏面的 眞實-"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6) : 251-283, 2008
46 이황, "『도산전서』 제4책" 퇴계학연구원 1988
47 나지영, "<여우구슬>과 성(性)불안의 극복"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 183-212, 2007
48 최원오, "<신묘한 구슬> 설화 유형의 구조와 의미" 한국구비문학회 1 : 238-266, 1994
49 최기숙, "<삼국유사> 소재 꿈의 서사적 의미와 성격" 열상고전연구회 9 : 57-87, 1996
50 정길수, "17세기 소설의 사랑과 운명 - ‘적강 모티프’ 활용의 맥락" 한국고소설학회 (41) : 177-208,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