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가연, "호남지역 기독교 여학교의 3.1운동- 수피아여학교, 기전여학교, 정명여학교를 중심으로 -" 석당학술원 (74) : 83-109, 2019
2 윤선자, "호남지역 근우회의 설립과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3) : 105-136, 2004
3 한규무, "호남지역 3·1운동과 종교계 - 선행연구 검토와 향후과제 제시를 중심으로 -" 호남사학회 (73) : 77-104, 2019
4 김정숙, "한국 지역여성사 연구의 특성과 과제" 대구사학회 90 : 71-108, 2008
5 이타가키 류타, "한국 근대의 역사민족지 : 경북 상주의 식민지 경험" 혜안 2015
6 김헌주, "한국 근대 사회운동의 계승관계에 대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서술 분석 - 동학농민전쟁과 의병운동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59) : 93-119, 2021
7 역사문화학회, "지방사연구입문" 민속원 2008
8 허영란,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역사문화학회 20 (20): 347-381, 2017
9 윤택림, "지방·여성·역사 :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본 지방사 연구" 한국여성학회 11 (11): 1995
10 정병욱, "조선식산은행원, 식민지를 살다" 역사문제연구소 (78) : 322-357, 2007
1 이가연, "호남지역 기독교 여학교의 3.1운동- 수피아여학교, 기전여학교, 정명여학교를 중심으로 -" 석당학술원 (74) : 83-109, 2019
2 윤선자, "호남지역 근우회의 설립과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3) : 105-136, 2004
3 한규무, "호남지역 3·1운동과 종교계 - 선행연구 검토와 향후과제 제시를 중심으로 -" 호남사학회 (73) : 77-104, 2019
4 김정숙, "한국 지역여성사 연구의 특성과 과제" 대구사학회 90 : 71-108, 2008
5 이타가키 류타, "한국 근대의 역사민족지 : 경북 상주의 식민지 경험" 혜안 2015
6 김헌주, "한국 근대 사회운동의 계승관계에 대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서술 분석 - 동학농민전쟁과 의병운동을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59) : 93-119, 2021
7 역사문화학회, "지방사연구입문" 민속원 2008
8 허영란,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역사문화학회 20 (20): 347-381, 2017
9 윤택림, "지방·여성·역사 :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본 지방사 연구" 한국여성학회 11 (11): 1995
10 정병욱, "조선식산은행원, 식민지를 살다" 역사문제연구소 (78) : 322-357, 2007
11 조앤 W. 스콧, "젠더와 역사의 정치" 후마니타스 2022
12 정경진, "전남여성인물스토리북 : 윤형숙, 반쪽으로 그린 동그라미" 전남여성플라자 2012
13 정경진, "전남여성인물스토리북 : 김귀선, 세상을 품은 모정" 전남여성플라자 2012
14 임선화, "전남여성생애사15 : 전남여성독립운동가" 전남여성가족재단 2019
15 전라남도 복지여성국 여성정책과, "전남여성 100년" 전라남도 2003
16 민진영, "일제하 광주의 여학생 조직과 여성교육" 호남학연구원 (44) : 121-165, 2009
17 이용기, "일제시기 지역 사회운동의 주도세력 변화와 그 함의 - 전남 장흥군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8 (18): 178-211, 2014
18 이용기, "일제시기 면 단위 유력자의 구성과 지역정치 ―전남 長興郡 蓉山面 사례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7) : 37-85, 2009
19 한규무, "윤형숙 열사 관련자료 검토 및 생애와 활동 재조명" 한국기독교역사학회 (52) : 179-212, 2020
20 윤효정, "여성주의 관점의 지역여성사 서술을 위한 제언 - 광주학생운동 전후 광주 지역 여학생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 남도문화연구소 (40) : 289-320, 2020
21 예지숙, "여성독립운동 회고록의 현황과 사료적 가치" 한국근현대사학회 (99) : 7-32, 2021
22 심옥주, "여성 독립운동가의 지역활동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보훈학회 14 (14): 131-155, 2015
23 최성환, "암태도 ‘영웅’과 광주학생항일운동 ‘주역’은 일가였다"
24 정현백, "새로운 여성사, 새로운 역사학" 역사학회 150 : 1996
25 김백영, "사회사/역사사회학" 다산출판사 2016
26 국가보훈처, "보훈 60년사 : 1961-2021" 시하기획 2021
27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28 오미란, "민주장정 100년, 광주·전남지역 사회운동 연구 : 여성운동" 전라남도·광주광역시 2015
29 김정인, "민족해방투쟁을 가늠하는 두 잣대 : 독립운동사와 민족해방운동사" 한국역사연구회 (62) : 247-274, 2006
30 박민주, "목포 정명여학교의 설립과 민족운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31 광주광역시 동구청, "동구의 인물 1" 하나인디고 2020
32 이성우, "독립유공자 서훈의 역사와 제도화 추이"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73) : 257-291, 2021
33 김한종, "독립운동에 대한 정치⋅사회 인식의 변화와 독립유공자 서훈" 청람사학회 34 : 7-54, 2021
34 독립유공자공훈록편찬위원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 : 1949-1992년도 포상자"
35 "국가보훈부 홈페이지"
36 "국가보훈부 공훈전자사료관"
37 국가보훈처, "국가보훈발전 기본계획: 2018~2022" 2018
38 김은정, "광주학생운동 참여 여학생의 정치적 주체성과 젠더 규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39 金英姬, "광주학생독립운동과 여성의 역할"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40 윤선자,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의 광주학생독립운동 참여" 호남사학회 (89) : 185-224, 2023
41 광주여성가족재단, "광주여성사Ⅱ : 근대편" 파종모종 2020
42 광주광역시 여성정책과, "광주여성발전사" 광주광역시 2000
43 KBS 뉴스, "‘김순애 가문’을 아시나요? 3·1운동의 숨은 주역들"
44 홍동현, "3.1운동 전후 동학농민전쟁 인식의 변화와 확산" 동학학회 (55) : 79-110, 2020
45 연합뉴스, "1923년 ‘암태도 소작쟁의’ 참여자 4명 독립유공자 됐다"
46 최 혁, "(전남여성생애사)갑오의 여인, 이소사" 디자인숲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