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종교비판에서 신앙성찰로 - 한국 그리스도교를 위해 ‘무신론’을 다시 보며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38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그리스도교 변혁을 위한 신학적 성찰을 목적으로 한다. 신학적 성찰의 길은 물론 다양하겠지만 현실적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으로 나타나는 종교적 정서와 심성 등에 특별...

      본 연구는 한국의 그리스도교 변혁을 위한 신학적 성찰을 목적으로 한다. 신학적 성찰의 길은 물론 다양하겠지만 현실적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으로 나타나는 종교적 정서와 심성 등에 특별히 주목하여 문제를 접근하고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신 관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우상화의 성향, 그리고 신자들의 자기중심주의라는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진단하고 처방을 모색한다. 그런데 우상주의와 자기중심주의라는 문제는 주-객 관계를 기틀로 하는 신-인 관계의 왜곡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임의의 선택이 아닌 것은 물론이지만 서로 얽혀 문제를 더욱 증폭시키는 성향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향이 한국 그리스도교의 종교적 정서에서 과도할 정도로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위해 특히 현대 서구의 ‘무신론’적 통찰에 주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현대 서구 무신론이야말로 우리나라에서 집약적으로 재현되고 있기도 한 서구 고전시대를 지배했던 신중심주의와 이에 뿌리를 둔 우상주의 뿐 아니라 근세에 이르러 절정에 이 르렀던 인간의 자기중심주의 대한 철저한 반동과 처절한 반성에서 터져 나온 시대의 예언적 외침이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현대 무신론은 신의 존재 여부를 논하는 형이상학적 담론이 아니라 비판적 성찰을 담은 예언자적 외침으로서의 뜻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무신론적 종교 비판은 먼저 신에 대한 관념을 신의 실재로 간주하는 오류로 인하여 환상이 만들어지는데 이는 곧 허상일 수밖에 없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붙잡으려하니 우상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철저하게 드러낸다. 아울러 인간중심주의의 경우 구체적으로 종교인에게서 일어나는 자기절대화의 욕망이 종교적 가르침의 핵심인 자기 비움과 정면으로 모순일 수밖에 없다는 점도 폭로한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오히려 그리스도교에 대해 참 삶과 믿음을 위한 성찰의 계기를 제공하며 나아가 이를 통해 종교 자체의 변혁을 위한 통찰의 지혜도 제시한다. 따라서 종교에 대한 무신론적 비판은 우상주의와 자기중심주의의 얽힘으로 인해 신앙을 삶과 동떨어진 주술로 전락시켜 온 한국 그리스도교의 자기정화를 위한 하나의 소중한 지침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theologically upon the reality of Christianity in Korea for its desirable transformation. Although there are various ways of such effort, it tries to place its focus on the religious ethos and mentality repres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theologically upon the reality of Christianity in Korea for its desirable transformation. Although there are various ways of such effort, it tries to place its focus on the religious ethos and mentality represented by the modes of thinking and living. More concretely, it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tendency of idolatry in the general concept of God and the problem of self-centrism easily founded among the majority of believers. Here it is to be noted that the two problems are not of arbitrary choice but closely interwoven with each other in such a way as to deteriorate the situation more seriously. And there is no denying that this phenomenon has arisen to an excessive degree in the religious mentality of Christianity in Korea. For the purpose of diagnosis and prognosis of the problems as such, this study adopts the so-called 'atheism' developed in the contemporary Western thinking. For contemporary atheism appears as one of the major prophetic critiques against the theocentric idolatry which characterized the classical periods of Western society on the one hand, and against the self-centrism of human being which arrived its peak in the modern period on the other hand. And it is another good reason to bring atheism to the foreground that those problematic tendencies have developed prevalently in Korean Christianity. In other words, the contemporary atheism is not so much metaphysical discourse which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existence of God as the timely prophecy of critical reflection upon popular religious consciousness. Atheistic criticism explores that religion cannot but fall into idolatry because believers are easily apt to confuse the concept of God with the reality of God. On the other hand, it also reveals that the believers' desire of self-absolutization in the name of truth cannot but contradict the Christian core teaching of self-emptying. By doing so, the contemporary atheism provides the significant motives of reflection and transformation for the genuine life and faith with regard to the Christianity in Korea, which has been degenerated by idolatry and self-centr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초 록 ■
      • I. 한국 그리스도교의 현실
      • II.‘무신론’의 종교 비판과 그 신학적 의의
      • III. 한국 그리스도교의 변혁을 위한 비판적 성찰
      • 참 고 문 헌
      • ■ 초 록 ■
      • I. 한국 그리스도교의 현실
      • II.‘무신론’의 종교 비판과 그 신학적 의의
      • III. 한국 그리스도교의 변혁을 위한 비판적 성찰
      • 참 고 문 헌
      • ■ Abstract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오갑, "한국 기독교 개혁의 테마 20" 한들출판사 2002

      2 카푸토, "종교에 대하여" 동문선 2003

      3 큐핏, "예수 정신에 따른 기독교 개혁" 한국기독교연구소 2006

      4 니체, "안티크리스트: 그리스도교에 대한 저주" 책세상 15 : 2002

      5 정재현, "신학은 인간학이다 철학읽기와 신학하기" 분도출판사 2003

      6 큉, "신은 존재하는가" 분도출판사 1 : 1998

      7 정재현, "망치로 신-학하기: ‘말씀’이 말이 되게 하기 위하여" 한울아카데미 2006

      8 스퐁, "기독교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 교회 주교가 유배당한 신자들에게 고함" 한국기독교연구소 2001

      9 정진홍, "경험과 기억 종교문화의 틈 읽기" 당대 2003

      10 MacGregor, "A New Theology of Love" Paragon House Publishers 1987

      1 이오갑, "한국 기독교 개혁의 테마 20" 한들출판사 2002

      2 카푸토, "종교에 대하여" 동문선 2003

      3 큐핏, "예수 정신에 따른 기독교 개혁" 한국기독교연구소 2006

      4 니체, "안티크리스트: 그리스도교에 대한 저주" 책세상 15 : 2002

      5 정재현, "신학은 인간학이다 철학읽기와 신학하기" 분도출판사 2003

      6 큉, "신은 존재하는가" 분도출판사 1 : 1998

      7 정재현, "망치로 신-학하기: ‘말씀’이 말이 되게 하기 위하여" 한울아카데미 2006

      8 스퐁, "기독교 변하지 않으면 죽는다: 교회 주교가 유배당한 신자들에게 고함" 한국기독교연구소 2001

      9 정진홍, "경험과 기억 종교문화의 틈 읽기" 당대 2003

      10 MacGregor, "A New Theology of Love" Paragon House Publishers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3 1.4 0.653 0.6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