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오키나와(沖繩) 창세 신화의 재편 양상과 신화적 논리 = Reorganization Myths about Origin of Communities and Its Meaning as a Discourse-Focused on the Okinawan Creation Myth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51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have been studies concerned with myth about origin of communities. While much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creational themes as such origin of man, universe and cultures,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meaning of ‘origin of community’ itself. This paper shows that the Okinawan creation myths are the discourses that declare the structual principles of the communities by telling the community’s origin stories. And this paper shows that a reorganization myths(myths’ changes) means that the communities and its structual and mythiacl principles have been changed.
      The typical type of village origin myth is that the ‘first fair’ who will be the sacred ancestors, had born human beings who will be the descendants. What this myth say is, for the descendant is due to be sacred ancestor, that universal village is a inner-completional community. But the version of Kourizima(古宇利島) in this type, tells about not community but human-being itself. And the myth of Taketomizima(竹富島) tell the creation of Taketomi island in the beginning, for rationalizing the newly political position, related to Ryukyu-dynasty, of Taketomi community. These version and type appeared due to the villages’ changes of politiacl position. As such, under the impact of Dynasty and its mythology, the myth of village origin have been changed as a world-view discourse.
      On the other hand, under the control of Ryukyu a new political imagined community like as Miyako(宮古) and Yaeyama(八重山), had appeared between dynasty and village. The myths of these communities tend to imitate mythical principles and motif of the mythology of Ryukyu dynasty.
      Consequently, I can say that Okinawan creation myths have been functioned as the discourses about world-view of mythical communities.
      번역하기

      There have been studies concerned with myth about origin of communities. While much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creational themes as such origin of man, universe and cultures,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meaning of ‘origin of community...

      There have been studies concerned with myth about origin of communities. While much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creational themes as such origin of man, universe and cultures,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meaning of ‘origin of community’ itself. This paper shows that the Okinawan creation myths are the discourses that declare the structual principles of the communities by telling the community’s origin stories. And this paper shows that a reorganization myths(myths’ changes) means that the communities and its structual and mythiacl principles have been changed.
      The typical type of village origin myth is that the ‘first fair’ who will be the sacred ancestors, had born human beings who will be the descendants. What this myth say is, for the descendant is due to be sacred ancestor, that universal village is a inner-completional community. But the version of Kourizima(古宇利島) in this type, tells about not community but human-being itself. And the myth of Taketomizima(竹富島) tell the creation of Taketomi island in the beginning, for rationalizing the newly political position, related to Ryukyu-dynasty, of Taketomi community. These version and type appeared due to the villages’ changes of politiacl position. As such, under the impact of Dynasty and its mythology, the myth of village origin have been changed as a world-view discourse.
      On the other hand, under the control of Ryukyu a new political imagined community like as Miyako(宮古) and Yaeyama(八重山), had appeared between dynasty and village. The myths of these communities tend to imitate mythical principles and motif of the mythology of Ryukyu dynasty.
      Consequently, I can say that Okinawan creation myths have been functioned as the discourses about world-view of mythical commun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마을 단위의 공동체에서 전승되는 오키나와의 창세 신화는 태초 남녀의 결합으로 자손이 번성하게 되었다는 시조 신화가 대부분이다. 신화의 주인공과 신화 전승 집단을 조상과 후손 관계로 규정하는 마을 시조 신화는 조상과 후손, 성(聖)과 속(俗)의 순환 논리에 의해 내부 완결적 구조를 이루는 마을 우주의 구성 원리를 드러낸다.
      고우리지마 시조 신화 유형처럼, 일반적 시조 신화의 서사를 근간으로 성속(聖俗) 단절의 모티프가 더해지는 창세 신화도 보인다. 이러한 유형은 마을이라는 제한된 전승 범위를 넘어서는 광포 설화로 전승되는데, 성속(聖俗) 단절의 모티프를 통해 보편적 인류의 삶의 원리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마을 시조 신화와 변별적 면모를 보인다. 한편, 야에야마 지역의 다케토미지마 섬에서 전승되는 창세 신화는 인류 기원이 아니라 섬의 창조가 서사의 핵심이다. 류큐 왕조와의 관련 하에서 재편, 형성된 우타키(御嶽:토착적 마을 성소)에 결부되어 전승되는 이 신화는, 공간 창조의 태초로 거슬러 올라가 다케토미지마의 현재를 정치적 위상이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한편, 오키나와의 창세 신화에는 류큐 왕조의 지배 지역 확장과 함께 새롭게 등장하게 된 ‘야에야마’와 ‘미야코’라는 공동체의 기원을 말하는 이야기도 있다. 전통적 공동체인 ‘시마’와 왕조 사이에서 형성된 이들 신화에서는, 왕조 창세 신화의 구성 요소와 내적 논리를 모방하는 신화 재편 양상이 엿보인다.
      요컨대, 오키나와의 창세 신화는 전승 집단의 현재적 우주를 설명하고 규정해야 할 필요에 의해 호출되어 온 담론의 한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창세 신화에 대한 주제적 접근 시각과는 별도로, 전승의 ‘맥락’을 고려하여 그 담론적 의미를 묻는 역사적 시각의 연구가 축적될 때 창세 신화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마을 단위의 공동체에서 전승되는 오키나와의 창세 신화는 태초 남녀의 결합으로 자손이 번성하게 되었다는 시조 신화가 대부분이다. 신화의 주인공과 신화 전승 집단을 조상과 후손 관계...

      마을 단위의 공동체에서 전승되는 오키나와의 창세 신화는 태초 남녀의 결합으로 자손이 번성하게 되었다는 시조 신화가 대부분이다. 신화의 주인공과 신화 전승 집단을 조상과 후손 관계로 규정하는 마을 시조 신화는 조상과 후손, 성(聖)과 속(俗)의 순환 논리에 의해 내부 완결적 구조를 이루는 마을 우주의 구성 원리를 드러낸다.
      고우리지마 시조 신화 유형처럼, 일반적 시조 신화의 서사를 근간으로 성속(聖俗) 단절의 모티프가 더해지는 창세 신화도 보인다. 이러한 유형은 마을이라는 제한된 전승 범위를 넘어서는 광포 설화로 전승되는데, 성속(聖俗) 단절의 모티프를 통해 보편적 인류의 삶의 원리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마을 시조 신화와 변별적 면모를 보인다. 한편, 야에야마 지역의 다케토미지마 섬에서 전승되는 창세 신화는 인류 기원이 아니라 섬의 창조가 서사의 핵심이다. 류큐 왕조와의 관련 하에서 재편, 형성된 우타키(御嶽:토착적 마을 성소)에 결부되어 전승되는 이 신화는, 공간 창조의 태초로 거슬러 올라가 다케토미지마의 현재를 정치적 위상이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한편, 오키나와의 창세 신화에는 류큐 왕조의 지배 지역 확장과 함께 새롭게 등장하게 된 ‘야에야마’와 ‘미야코’라는 공동체의 기원을 말하는 이야기도 있다. 전통적 공동체인 ‘시마’와 왕조 사이에서 형성된 이들 신화에서는, 왕조 창세 신화의 구성 요소와 내적 논리를 모방하는 신화 재편 양상이 엿보인다.
      요컨대, 오키나와의 창세 신화는 전승 집단의 현재적 우주를 설명하고 규정해야 할 필요에 의해 호출되어 온 담론의 한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창세 신화에 대한 주제적 접근 시각과는 별도로, 전승의 ‘맥락’을 고려하여 그 담론적 의미를 묻는 역사적 시각의 연구가 축적될 때 창세 신화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1-506, 1994

      2 김헌선, "한국과 유구의 창세신화 비교 연구, In 세계의 창조신화" 동방미디어 239-288, 2001

      3 서대석, "창세시조신화의 의미와 변이, In 한국 신화의 연구" 집문당 223-253, 2001

      4 정진희, "제주도와 미야코지마 신화의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2008

      5 정진희, "양속기(兩屬期) 류큐(琉球) 개벽신화의 재편과 그 의미" 아시아문화연구소 16 : 244-270, 2009

      6 조현설, "동아시아 창세신화 연구(1)-남매혼 신화와 근친상간금지의 윤리학" 한국구비문학회 11 : 201-221, 2000

      7 조현설,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역사와 논리" 문학과지성사 1-484, 2003

      8 천혜숙, "남매혼신화와 반신화" 계명어문학회 4 : 475-492, 1988

      9 조현설, "고려건국신화 <고려세계>의 신화사적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17 : 5-32, 2000

      10 엘리아데, "거룩한 시간과 신화,성과 속" 학민사 1-261, 1995

      1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1-506, 1994

      2 김헌선, "한국과 유구의 창세신화 비교 연구, In 세계의 창조신화" 동방미디어 239-288, 2001

      3 서대석, "창세시조신화의 의미와 변이, In 한국 신화의 연구" 집문당 223-253, 2001

      4 정진희, "제주도와 미야코지마 신화의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2008

      5 정진희, "양속기(兩屬期) 류큐(琉球) 개벽신화의 재편과 그 의미" 아시아문화연구소 16 : 244-270, 2009

      6 조현설, "동아시아 창세신화 연구(1)-남매혼 신화와 근친상간금지의 윤리학" 한국구비문학회 11 : 201-221, 2000

      7 조현설,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역사와 논리" 문학과지성사 1-484, 2003

      8 천혜숙, "남매혼신화와 반신화" 계명어문학회 4 : 475-492, 1988

      9 조현설, "고려건국신화 <고려세계>의 신화사적 의미" 한국고전문학회 17 : 5-32, 2000

      10 엘리아데, "거룩한 시간과 신화,성과 속" 학민사 1-261, 1995

      11 "琉球國由來記"

      12 伊波普猷, "琉球の神話,古琉球,外間守善 校訂" 岩波書店 387-399, 2000

      13 "球陽"

      14 福田晃, "日本傳說大系 15" みずうみ書房 1-574, 1989

      15 "御嶽由來記"

      16 "宮古島記事仕次"

      17 牧野淸, "八重山のお嶽" あ~まん企劃 1-682, 1990

      18 遠藤庄治, "主要民話の分布, In 沖縄の民話研究" NPO法人沖繩傳承話資料セン ター 165-176,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