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방송의 존재이유이자 주요 임무인 보편적 서비스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의 변화로 그 의미가 퇴색하게 되었고, 매체의 다양화는 방송사 간의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530090
서울 : 中央大學校 新聞放送大學院, 2004
학위논문(석사) -- 中央大學校 新聞放送大學院 , 新聞放送學科 映像媒體專攻 , 2004. 6
2004
한국어
서울
v, 92 p. ; 26 cm.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영방송의 존재이유이자 주요 임무인 보편적 서비스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의 변화로 그 의미가 퇴색하게 되었고, 매체의 다양화는 방송사 간의 지...
공영방송의 존재이유이자 주요 임무인 보편적 서비스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의 변화로 그 의미가 퇴색하게 되었고, 매체의 다양화는 방송사 간의 지나친 경쟁을 초래하였다. 이런 일련의 사태들은 공영방송의 존립근거와 입지 그 자체를 약화 또는 악화 시키고 있고, 앞으로 미디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오히려 더욱 가속화 될 개연성이 높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그러나 공영방송의 위상에 대한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공영방송의 입지를 유지시켜줄 수 있는 새로운 제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이 과거 다소 소외 되었던 시청자에 대한 관심을 들 수 있다. 그동안 시청자는 방송을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단순히 시청만하는 존재라고 인식되었으나, 이제 시청자의 참여가 중요한 구성요소로 변화하게 된 것이다.
시청자는 공영방송에 재원(수신료)을 마련해주고, 방송의 의미를 완성시키는 방송의 구성요소(수신자)이자, 공익적인 방송의 권리를 수탁해주는 주권자 역할을 하는 능동적 방송 주체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즉, 방송을 완성 시켜주고 의미를 부여하는 방송의 주요 주체로 시청자의 개념이 변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화에 따른 방송환경의 변화는 쌍방향적 미디어의 출현으로 시청자의 참여를 확대 시켰고, 다매체의 출현으로 공영방송의 이념과 정체성의 기반이 와해될 수 있다는 판단아래 공영방송의 이념인 <공영성 강화를 위한 시청자 참여프로그램에 관하여> 한국방송 KBS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방송사마다 시청자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KBS도 시청자 참여를 높여, 방송의 공영성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04년 10대 기획>의 ‘시청자가 주인입니다’는 시청자의 방송참여 확대로 방송의 공영성 확보와 시청자를 위한 방송으로 거듭나기 위한 현상으로, 공익성 확보와 방송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시청자의 적극적인 방송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한 결과의 발로이다.
이런 KBS의 시청자에 대한 인식 변화가 어떻게 방송프로그램에 반영되고 있는지 본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알아보았다.
현재 KBS에 존재하는 시청자 주권을 위한 제도적 장치인 <시청자위원회>, <시청자상담실>과 함께 <시청자 평가프로그램-Ombudsman Program>, <시청자 참여프로그램-Access Program>들의 제도적 의미와 활동 현황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재 KBS 1TV, KBS 2TV에서 방송되고 있는 시청자 참여프로그램의 현황을 유형별로 알아보고 시청자의 참여 방식을 정리하였다.
그 중에서 KBS의 요즘 새롭게 시도되고 있는 시청자 참여프로그램들을 시청자 뉴스 - <명예 뉴스VJ>, 열린취업 - <꿈의 피라미드>, 가족 시청자의 참여 - <대단한 가족>, 여성 시청자의 참여 - <주부, 세상을 말하자>로 나누어, 해당 프로그램의 기획의도, 구성, 제작방식, 시청자 참여의 새로운 특징, 현재까지의 방송내용, 문제점과 개선방향 등을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앞으로 방송에 있어서 시청자의 참여는 다양한 방법으로 더욱 증대 될 것이다. 방송의 공영성 강화를 위한 측면에서 공영방송은 변화되는 시청자의 개념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시청자 참여프로그램의 전략과 정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또한, 시청자 주권 위한 법적 제도의 실현도 법이기에 의무적으로 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좀더 내실을 기하기 위해 능동적인 태도, 인식의 개선, 제도적 장치와 인적자원의 자질향상을 꾀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