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영삼 정부의 교육정책 결정 구조와 과정: 5.31 교육개혁안을 중심으로 =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Policy-making of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Focused on May 31 Educational Re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28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relying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s two stages as follows: at the first stage policy agenda was set up by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Education Refor...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relying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s two stages as follows: at the first stage policy agenda was set up by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Education Reform(PCER) in cooperation with Secretary to the President for Education, and Ministry of Education began to activate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through the legalization for the policy tasks, which needed the help form the side of the National Parliament or Cabinet Council. The PCER, fully supported by the President, took the initiative during the whole policy process.
      It was told that neo-liberalism was pervaded in the May 31 Educational Reform, propagated by non-education experts working for the PC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idential Secretary. The guidelines were followed by the specification procedures played by the educational experts in the PCER with rationality and professionalism. Mass-communication, interest groups, and educational scholars were involved in the policy process in a positive and cooperative mood, which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policy formation.
      Also, the Ministry of Eduction, especially the Minister and the high-level bureaucrats, being responsible for the response to the command from the President given as May 31 Educational Reform, played the key rol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which was highlighted in the legalization. The National Assembly, The Cabinet Council, and the Ministry itself were participated in terms of the level of the policy measures. Little problem was found in this process under the supportive atmosphere.
      Finally, teachers’associations need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nd the educational reform organiza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as a permanent legal institution needs to be established for the stabl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reform polic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김영삼 정부의 교육정책 결정 구조와 과정을 문헌연구에 의존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개혁위원회가 청와대 비서실과 긴밀한 협조관계 속에서 정책의제를 던지고, 교육부...

      이 연구는 김영삼 정부의 교육정책 결정 구조와 과정을 문헌연구에 의존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개혁위원회가 청와대 비서실과 긴밀한 협조관계 속에서 정책의제를 던지고, 교육부가 중심이 되어 국회 등의 도움을 받아 해당 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을 통하여 정책결정에 참여하였음을 밝혔다. 의제설정 과정에서 가장 주도적으로 역할을 수행한 집단은 대통령의 지지를 받고 있던 교육개혁위원회이다. 신자유주의의 흐름이라는 개혁의 방향에 대해서는 교육개혁위원회 내의 비교육계 인사들이 청와대 비서실과의 조율 속에서 주도하고, 구체적인 개혁안의 수립에는 합리성과 전문성을 지닌 전문위원 등 교육계 인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어지는 교육정책 결정 과정에서는 5.31 교육개혁안을 입법화할 책임을 지고 있는 교육부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교육부 장관과 장관을 보필하는 행정고시 출신 고급 관료들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그리고 개혁안과 관련된 법률의 수준에 따라 국무회의와 국회가 협조적으로 참여하였다. 교육정책결정 과정에 교사집단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며, 국가 수준의 법률적 기구로서 교육개혁 담당기구를 둘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현석, "현 정부의 교육개혁의 정치학 : 5.31 교육개혁안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3 (3): 92-122, 1996

      2 한준상, "한국교육평론 1997" 교육과학사 137-159, 1998

      3 박재윤, "한국교육평론" 교육과학사 17-40, 1997

      4 김천기, "한국교육의 신자유주의화 과정과 그 성격: 학교의 입시학원화와 ‘자율적 통치성’ 강화" 교육종합연구소 10 (10): 119-149, 2012

      5 교육개혁위원회, "한국교육개혁백서(1994-1998)"

      6 안병영, "한국 교육정책의 수월성과 형평성의 조화를 위하여" 사회과학연구소 41 (41): 1-13, 2010

      7 안선회, "한국 교육개혁 정치학" 학지사 2014

      8 이일용, "초·중등분야 교육개혁 10년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12 (12): 53-82, 2005

      9 심성보, "참여민주적 교육개혁과 우리 교육개혁의 방향" 5 (5): 44-84, 1998

      10 안병영, "장관의 교체와 정책의 안정성 : 정책연속성 확보를 위한 시론" 10 (10): 32-61, 2001

      1 신현석, "현 정부의 교육개혁의 정치학 : 5.31 교육개혁안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3 (3): 92-122, 1996

      2 한준상, "한국교육평론 1997" 교육과학사 137-159, 1998

      3 박재윤, "한국교육평론" 교육과학사 17-40, 1997

      4 김천기, "한국교육의 신자유주의화 과정과 그 성격: 학교의 입시학원화와 ‘자율적 통치성’ 강화" 교육종합연구소 10 (10): 119-149, 2012

      5 교육개혁위원회, "한국교육개혁백서(1994-1998)"

      6 안병영, "한국 교육정책의 수월성과 형평성의 조화를 위하여" 사회과학연구소 41 (41): 1-13, 2010

      7 안선회, "한국 교육개혁 정치학" 학지사 2014

      8 이일용, "초·중등분야 교육개혁 10년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정치학회 12 (12): 53-82, 2005

      9 심성보, "참여민주적 교육개혁과 우리 교육개혁의 방향" 5 (5): 44-84, 1998

      10 안병영, "장관의 교체와 정책의 안정성 : 정책연속성 확보를 위한 시론" 10 (10): 32-61, 2001

      11 김수경, "이명박 정부의 고등교육재정지원 정책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2 (22): 29-49, 2013

      12 이석열, "이명박 정부의 고등교육 개혁정책에 대한 정치학적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0 (20): 213-239, 2013

      13 교육개혁위원회,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제2차 대통령 보고서)" 교육개혁위원회 1995

      14 최운실, "문민정부의 교육개혁과 평생교육정책 공과분석" 4 (4): 27-46, 2006

      15 한숭희, "문민정부 교육개혁과 평생교육담론:의 청산과 교육개혁의 새판짜기" 교육연구소 6 (6): 59-80, 2005

      16 변기용, "대학 자율화 정책의 쟁점과 대안 - 5. 31교육개혁 이후의 ‘시장적’ 대학자율화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정치학회 16 (16): 135-164, 2009

      17 노상우, "김영삼 정부의 교육개혁의 이념의 문제와 한계, 그리고 대안적 담론 모색" 36 (36): 53-71, 1998

      18 유상덕, "김영삼 정부의 교육개혁의 방향과 문제" 1 : 47-59, 1994

      19 전영평, "김영삼 정부의 교육개혁 정책 : 평가와 과제" 10 (10): 545-562, 1998

      20 박일관,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교육이념에 관한고찰" (12) : 75-103, 2003

      21 박거용, "김영삼 정권 교육개혁의 문제점: 5.31 교육개혁안의 대학교육정책을 중심으로" 28 : 168-190, 1995

      22 박거용, "김대중 정부의 교육정책 비판 : 기형적 신자유주의의 강요" 1 : 36-58, 2001

      23 석태종, "국민의 정부 대학교육개혁 사업의 비판적 검토" 9 (9): 87-104, 1999

      24 진동섭, "교육행정 및 학교경영의 이해" 교육과학사 2014

      25 교육개혁위원회, "교육개혁 방안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개혁위원회 1994

      26 동아일보, "교개위, 대학본고사 폐지 건의, 김 대통령 “혼란야기” 거부"

      27 신현석, "「국민의 정부」 교원정책의 분석과 진단"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221-244, 2003

      28 나민주, "‘국민의 정부’ 고등교육재정정책의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1 (11): 2-, 2002

      29 Lasswell, H. D., "The policy science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1

      30 장수명, "5·31 대학정책 분석: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7) : 9-49, 2009

      31 김용일, "5.31 교육개혁의 현황과 전망" 교육문제연구소 (24) : 127-145, 2006

      32 손종현, "5. 31 교육개혁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4 : 45-78, 1997

      33 김안나, "5 · 31 교육개혁 이후의 한국 고등교육정책의변화와 쟁점" 한국교육정치학회 12 (12): 85-109, 2005

      34 이윤미, "2000 한국교육평론" 한국교육개발원 181-197,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6 1.068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