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첨가제의 종류와 동해방지제의 농도에 따른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D형 유생의 냉동보존 효과 비교 = Comparison of Cryopreservation Effects on D-shaped Larvae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Pelecypoda: Acidae) by the Kinds of Additive and the Concentrations of Cryoprotecta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7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optimal kind of additive and concentration of ethylene glycol (EG) as the cryoprotectant on the D-shaped larvae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The larvae in straws was carried in the programed freezer set up at 0℃, frozen to -12℃ by the freezing rate of -1℃/min, held for 10 minutes, seeded at -12℃, finally refrozen to -35℃ by the freezing rate of -1℃/min and then directly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The survival of larvae frozen in 1.0 M and 2.0 M EG added with 0.5 M sucrose were high (50.5 ± 1.3% and 51.9 ± 1.7%, respectively) in the early D-shaped larvae cryopreserved in 1 M and 2 M EG diluted with 0.2 M and 0.5 M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the late D-shaped larvae were cryopreserved according to five concentrations of EG added with 0.5 M sucrose, the survival of larvae frozen in 2.0 M EG was the highest as 51.9 ± 1.7%.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cells between unfrozen and frozen-thawed D-shaped larvae were not found by the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번역하기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optimal kind of additive and concentration of ethylene glycol (EG) as the cryoprotectant on the D-shaped larvae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The larvae in straws was carried in the programed freezer set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optimal kind of additive and concentration of ethylene glycol (EG) as the cryoprotectant on the D-shaped larvae of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The larvae in straws was carried in the programed freezer set up at 0℃, frozen to -12℃ by the freezing rate of -1℃/min, held for 10 minutes, seeded at -12℃, finally refrozen to -35℃ by the freezing rate of -1℃/min and then directly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The survival of larvae frozen in 1.0 M and 2.0 M EG added with 0.5 M sucrose were high (50.5 ± 1.3% and 51.9 ± 1.7%, respectively) in the early D-shaped larvae cryopreserved in 1 M and 2 M EG diluted with 0.2 M and 0.5 M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In the late D-shaped larvae were cryopreserved according to five concentrations of EG added with 0.5 M sucrose, the survival of larvae frozen in 2.0 M EG was the highest as 51.9 ± 1.7%.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in cells between unfrozen and frozen-thawed D-shaped larvae were not found by the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피조개 D형 유생을 냉동보존하기 위한 적절한 첨가제 종류와 농도 및 동해방지제로 적용한 EG의 농도에 대한 냉동보존 효과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생을 0℃로 설정된 프로그램 냉동기로 옮겨 -1℃/분의 냉동률로 -12℃까지 냉동한 후 10분 동안 유지한 상태에서 식빙하고 -35℃까지 재냉동한 다음, 즉시 액체질소통에 저장하였다. 1.0 M과 2.0 M EG을 동해방지제로 사용하여 첨가제별로 D형 유생을 냉동한 결과, 0.5 M sucrose에서 생존율이 각각 50.5 ± 1.3%, 51.9 ± 1.7%로 가장 좋았다. 0.5 M sucrose를 첨가한 EG의 농도별 냉동에서는 2.0 M이 생존율 51.9 ± 1.7%로 가장 높았다.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유생을 관찰한 결과, 냉동 전, 후 유생의 외부형태 및 세포내 구조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번역하기

      피조개 D형 유생을 냉동보존하기 위한 적절한 첨가제 종류와 농도 및 동해방지제로 적용한 EG의 농도에 대한 냉동보존 효과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생을 0℃로 설정된 프로그램 냉동기로 옮겨 ...

      피조개 D형 유생을 냉동보존하기 위한 적절한 첨가제 종류와 농도 및 동해방지제로 적용한 EG의 농도에 대한 냉동보존 효과실험을 실시하였다. 유생을 0℃로 설정된 프로그램 냉동기로 옮겨 -1℃/분의 냉동률로 -12℃까지 냉동한 후 10분 동안 유지한 상태에서 식빙하고 -35℃까지 재냉동한 다음, 즉시 액체질소통에 저장하였다. 1.0 M과 2.0 M EG을 동해방지제로 사용하여 첨가제별로 D형 유생을 냉동한 결과, 0.5 M sucrose에서 생존율이 각각 50.5 ± 1.3%, 51.9 ± 1.7%로 가장 좋았다. 0.5 M sucrose를 첨가한 EG의 농도별 냉동에서는 2.0 M이 생존율 51.9 ± 1.7%로 가장 높았다.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유생을 관찰한 결과, 냉동 전, 후 유생의 외부형태 및 세포내 구조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331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