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ustainable Fashion and Textiles through Participatory Design -A case study of modular textile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364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패션 산업에 관련한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일어나는 환경과 사회적인 문제들이 점차 심화되면서 지속 가능한 패션 디자인의 중요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3년 덴마크 패션 협회에 따르...

      패션 산업에 관련한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일어나는 환경과 사회적인 문제들이 점차 심화되면서 지속 가능한 패션 디자인의 중요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3년 덴마크 패션 협회에 따르면, 패션과 텍스타일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염이 많은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제품이 생산되고, 사용 그리고 폐기되는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 전 과정에서 상당히 많은 환경 문제와 사회적 이슈들이 야기되고 있다. 기존에 획일화된 디자인 접근 방식으로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목표를 실행하고 그 문제를 다루기에는 근본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종래의 전형적인 디자인에서는 주로 겉으로 보여지는 부분들, 즉 미적인 요소를 강조하여 표현하는 방식이거나, 혹인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상업적인 디자인이 중요시 되는 경향이 강했으며, 환경과 사회를 생각하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은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주로 고려되지 않는 경향이 강해왔다. 결국, 지속가능성에 대한 방안은 디자이너 개인적인 관심에 따라 검토의 대상이 될 수도 있으나, 디자인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결정적인 요인을 작용해오지는 않아 왔다. 현재 패션 산업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패션의 가치 사슬은 이미 파괴되었으며, 패션은 쉽게 입고 버려지는 소비재로 전락하였으며,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옷이 어떻게 그리고 어디서 만들어졌는지 에 대한 지식과 관심이 거의 없다. 기존의 접근 방식으로는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장려하기에는 많이 역 부족해 보이며, 새로운 디자인 프로세스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텍스타일 디자인의 생산과 패션이 소비되는 과정에서, 일반 소비자가 디자인 과정에 참여를 통하여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가능성을 연구 하였다. 또한 지속 가능한 디자인과 참여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지속 가능한 패션과 텍스타일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을 고찰 하였다.연구방법으로 소규모 예비 연구 (Pilot study)를 시행 후, 2009년과 2010년에 걸쳐 대규모 워크숍과 초대 및 기획 전시회를 영국 텐트 런던 (2009), 트라팔가 힐튼 호텔 (2010), 밀라노 디자인 위크 (2009), 일본 도쿄 디자인 센터 (2009) 그리고 중국 광저우 예술 박물관(2009)에서 개최하였다. 다양한 전시회들을 통하여 관람객들의 반응을 파악하고 관찰 연구를 병행하였다. 또한, 5일 동안 참여디자인 워크숍을 런던 중심가에 위치한 팝업샵 (Pop-up shop)에서 개최하였다. 디자인 과정에 참여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모듈 디자인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디자인의 방법을 연구 하였다.
      모듈 디자인을 활용한 참여 디자인은 기존의 수동적이고 만들어진 디자인에만 익숙한 사용자들에 대하여 텍스트일과 패션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관심도를 높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패션과 텍스타일 디자인이 단순히 소비되고 버려지는 물건이 아니라, 자신이 만든 제품에 대하여 관심과 정서적 유대감을 보였으며, 참여 디자인의 모든 과정과 경험을 즐겼다. 참여자들은 다양한 컬러, 재료, 모양, 크기, 디자인을 자신이 선택하고, 자신이 디자인한 패션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를 워크샵 과정에서 공유하였다. 패션과 텍스타일 디자인이 디자이너의 전유물이 아닌, 일반인도 쉽게 표현하고 즐길 수 있는 사용자의 툴로 활용되었다.
      모든 경우의 연구에서 그러하듯이, 모듈 디자인을 활용한 참여 디자인에도 한계를 지니고 있다. 텍스타일 스넵을...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ur, E. S., "Transformative Modular Textile Design" Mathematical Connections in Art, Music and Science Tarquin Publications 2011

      2 Thorpe, A., "The Designer's Atlas of Sustainability" Island Press 2007

      3 Fletcher, K., "Sustainable fashion and textiles: design journey" Earthscan 2008

      4 Defra, "Sustainable clothing action plan"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2008

      5 WCED, "Our Common Future, Report of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6 Hur, E. S., "Nomadic Wonderland: Can transformative textiles support sustainable design in our new nomadic way of life?"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2009

      7 Zaichkowsky, J. L.,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12 (12): 341-352, 1985

      8 Escobar-Tello, C., "Happiness and its role in sustainable design, 8th European Academy of Design Conference" The Robert Gordon University 2009

      9 Sanders, E. B. -N., "From User-Centred to Participatory Design Approaches. Design and the Social Sciences" Taylor & Francis Books Limited 2002

      10 Easey, M., "Fashion marketing" Wiley-Blackwell 2009

      1 Hur, E. S., "Transformative Modular Textile Design" Mathematical Connections in Art, Music and Science Tarquin Publications 2011

      2 Thorpe, A., "The Designer's Atlas of Sustainability" Island Press 2007

      3 Fletcher, K., "Sustainable fashion and textiles: design journey" Earthscan 2008

      4 Defra, "Sustainable clothing action plan"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2008

      5 WCED, "Our Common Future, Report of the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1988

      6 Hur, E. S., "Nomadic Wonderland: Can transformative textiles support sustainable design in our new nomadic way of life?" 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2009

      7 Zaichkowsky, J. L.,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12 (12): 341-352, 1985

      8 Escobar-Tello, C., "Happiness and its role in sustainable design, 8th European Academy of Design Conference" The Robert Gordon University 2009

      9 Sanders, E. B. -N., "From User-Centred to Participatory Design Approaches. Design and the Social Sciences" Taylor & Francis Books Limited 2002

      10 Easey, M., "Fashion marketing" Wiley-Blackwell 2009

      11 Yurchisin, J., "Fashion and the consumer" Oxford International 2010

      12 Ditty, S., "Europe in the world: The garment, textiles & fashion industry Online"

      13 Heeley, J., "Environmentally conscious textile design: Towards a new approach" Woodhead Publishing 1999

      14 Black, S., "Eco-Chic: The Fashion Paradox" Black Dog Publishing Limited 2008

      15 Fuad-Luke, A., "Designers, Visionaries and Other Stories" Earthscan 2007

      16 Chapman, J., "Designers, Visionaries & Other Stories: A collection of sustainable design essays" Earthscan 2007

      17 Oxfam International, "DIY Clothing Online"

      18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Collins Publishers, Inc 1996

      19 Sanders, E.B.-N., "Co-creation and the new landscapes of design" 4 (4): 5-18, 2008

      20 The UK Design Council, "Co-Design, Dott Cornwall project Retrieved 2010"

      21 Battarbee, K., "CO-Experience, Understanding user experiences in social interaction, Helsinki" Publication series of the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Helsinki 2004

      22 Gam, H. J., "Addressing sustainable apparel design challenges with Problem-Based Learning" 29 (29): 202-215,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gn ->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7 0.47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