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반도 전쟁 서사의 모빌리티와 여성/자연의 (초)시간성 -최인훈의 『태풍』(1973), 4·15 문학창작단의 『피바다(血海)』(1973) 간 비교를 중심으로- = Mobility of War Narrativ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Hyper)Temporality of Women/Nature -Typhoon(1973) and the April 15 Literary Creation Group’s Sea of Blood(197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978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7·4 남북 공동 성명(1972)·6·23 평화통일 외교정책 선언(1973) 직후 남한에서 출간된 최인훈의 장편소설 『태풍』(1973), 북한에서 출간된 4·15 문학창작단의 장편소설 『피바다(�...

      이 글의 목적은 7·4 남북 공동 성명(1972)·6·23 평화통일 외교정책 선언(1973) 직후 남한에서 출간된 최인훈의 장편소설 『태풍』(1973), 북한에서 출간된 4·15 문학창작단의 장편소설 『피바다(血海)』(1973)의 전쟁 서사에 형상화된 남성 주체와 여성/자연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가상 역사’의 기법이 창출하는 경계 횡단과 시공간 변형의 양상들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남북한 남성 주체의 이동이 초시간적/비역사적 과거로서 부동하는 것으로 위치지어졌던 여성/자연과의 교섭을 통해 타자의 역사성과 모빌리티 역량을 인지하는 한편, 남성적 근대/여성적 자연이라는 대립항을 횡단하여 타자의 시간적 침투를 수용함으로써 공현존을 실험했던 과정을 검토했다.
      최인훈의 『태풍』은 태평양 전쟁의 역사 다시쓰기를 통해 남성 주체의 근대적 위상에 가려졌던 여성/자연의 모빌리티 역량을 수용함으로써 타자들의 이동을 통해 생성되는 연대의 가능성을 선보였다. 한편 『피바다』는 남성 주체의 물적·정서적 기반으로 부동(不動)하던 여성들이 “항일유격대원”으로 성장하여 모빌리티 역량을 발휘하는 과정을 형상화함으로써, 문명/야만, 남성/여성, 근대/자연이 ‘동행’하여 유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변형된 시공간의 가능성을 부각시켰다. 최인훈의 단독저작인『태풍』이 남성 주체가 타자의 궤도에 동참하는 과정을 형상화했다면, 집체창작의 산물인 소설 『피바다』는 항일유격전에 참여하는 다양한 인물 군상들을 조명하고 ‘공산주의 인간’의 보편적 위상하에 여성/자연의 모빌리티 역량을 서사화했다는 측면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아울러 소설 『피바다』는 1936년의 희곡·1969년의 영화·1971년의 혁명가극과 비교할 때 1972년·1973년의 선언으로 인한 인식적 변화를 수렴함으로써, “봉건적 억압과 인습에서 해방”된 여성의 이미지를 강조하여 역사 다시쓰기를 수행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1970년대 남한과 북한에서 각각 시도되었던 ‘식민지 전쟁사 다시쓰기’의 흐름들을 총체적으로 포착하는 한편, 여성/자연이라는 타자로부터 공통적으로 유래하는 한반도의 공현존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boundary crossing and space-time transformation created by the technique of “virtual histor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subjects and women and nature in the war narrative of...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boundary crossing and space-time transformation created by the technique of “virtual histor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subjects and women and nature in the war narrative of Choi In-hoon’s novel “Typhoon” (1973) and the novel “Sea of blood” (1973) published shortly after the July 4 Inter-Korean Joint Statement (1972) and the June 23 Foreign Policy Declaration (1973). To this end, this article is to recognize the historical and mobility capabilities that were positioned in the first time of the two Koreas, which was positioned by considering the nature and mobility capabilities. The attempts of this study is completely captured from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North Korea, while looking at the flow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attempt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Women/Na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