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평신도 운동과 신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이다. 루터의 만인제사장설은 가톨릭교회의 성직주의와 교권주의를 거부하는 혁명적 이론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종교개혁 이후 창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23426
2017
-
성직주의 ; 교권주의 ; 평신도 운동 ; 하나님의 백성 ; Sacerdotalism ; Clericalism ; Movement of the Laity ; God’s People
231
KCI등재
학술저널
115-148(34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평신도 운동과 신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이다. 루터의 만인제사장설은 가톨릭교회의 성직주의와 교권주의를 거부하는 혁명적 이론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종교개혁 이후 창조...
이 논문은 “평신도 운동과 신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이다. 루터의 만인제사장설은 가톨릭교회의 성직주의와 교권주의를 거부하는 혁명적 이론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종교개혁 이후 창조적으로 계승되지 못했고, 오늘날 교회는 또 다시 성직주의와 교권주의에 빠졌다. 이에 대한 반성으로 1960년대 이후 평신도 운동과 신학이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그것은 성직주의와 교권주의가 교회의 본질로부터 이탈한 것이라는 자기반성에서 출발하였다. 성직자와 평신도는 하나님 나라의 사역을 위해 부름 받은 한 하나님의 백성이다. 그들은 직무의 차이만 있을 뿐 신분의 차이는 없다. 이러한 평신도 운동은 성직주의와 교권주의에 빠져 생명력을 상실한 기존 교회를 개혁하는 교회개혁운동이며 교회의 참된 본질을 회복하려는 교회회복운동이다. 또한 올바른 평신도 운동을 위해서는 평신도 신학이 정립되어야 한다. 그것은 반성직자적인 신학이나 교역의 보조기능을 담당할 객체로서의 평신도를 위한 신학이 아니다. 그것은 세상에서 하나님의 선교와 사랑을 실천하는 교역자이며 타락한 교회를 개혁하는 역동적 힘의 주체자인 평신도에 관한 신학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은 루터(M. Luther), 콩가르(Yves M. J. Congar), 크래머 (Hendrik Kraemer)와 스티븐스(R. Paul Stevens)의 평신도 운동과 신학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종말론과 성령론의 관점에서 평신도 운동과 신학을 재정립하였다. 그것은 교회의 위기를 극복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참으로 교회의 미래는 평신도 운동의 성패에 달려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critical study on the movement and theology of the laity. Martin Luther’s universal priesthood was a revolutionary theory that rejected the sacerdotalism and clericalism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But since the Reformation it has ...
This paper is a critical study on the movement and theology of the laity. Martin Luther’s universal priesthood was a revolutionary theory that rejected the sacerdotalism and clericalism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But since the Reformation it has not been creatively inherited, and today the Christian Church has fallen into the sacerdotalism and clericalism again. As a reflection on this, the movement and theology of the laity have been discussed in earnest since the 1960s. It started from self-reflection that the sacerdotalism and clericalism was an erroneous form deviating from the essence of the church. The clergy and laity are a people of God who are called to the service for the Kingdom of Go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ir status, only differences in their jobs. This movement of the laity is a church reform movement that reforms existing churches that have lost their vitality by falling into the sacerdotalism and clericalism and is a church restoration movement to restore the true nature of the church. In addition, the theology of laity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correct movement of laity. It is not anti-clergy theology, also not a theology for laity as an object of ministry. It is a theology about laity as a ministry who serves God’s mission and love in the world and as the subject of dynamic power to reform the fallen church. In this context,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movement and theology of the laity by Martin Luther, Yves M.J. Congar, Hendrik Kraemer and R. Paul Stevens, and reestablishes the movement and theology of the laity from the perspective of eschatology and pneumatology. It will be the starting point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of the Christian Church. Indeed, the future of the Christian Church depends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movement of the la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 上" 분도출판사 1979
2 심일섭, "한국교회의 미래와 평신도" 대한기독교서회 151-171, 1994
3 김흡영, "한국교회의 미래와 평신도" 대한기독교서회 277-306, 1994
4 심일섭, "한국교회의 미래와 평신도" 대한기독교서회 327-342, 1994
5 민경배, "한국교회 평신도사(1885-1945)" 18-28, 1976
6 류장현, "한국교회 신앙운동의 통섭" 프리칭아카데미 2009
7 류장현, "포스트모던 사회와 교회" 프리칭아카데미 2006
8 서광선, "평신도와 교회갱신" 35-41, 1976
9 유동식, "평신도론" 17-23, 1961
10 이장식, "평신도는 누구인가?" 대한기독교출판사 1980
1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 上" 분도출판사 1979
2 심일섭, "한국교회의 미래와 평신도" 대한기독교서회 151-171, 1994
3 김흡영, "한국교회의 미래와 평신도" 대한기독교서회 277-306, 1994
4 심일섭, "한국교회의 미래와 평신도" 대한기독교서회 327-342, 1994
5 민경배, "한국교회 평신도사(1885-1945)" 18-28, 1976
6 류장현, "한국교회 신앙운동의 통섭" 프리칭아카데미 2009
7 류장현, "포스트모던 사회와 교회" 프리칭아카데미 2006
8 서광선, "평신도와 교회갱신" 35-41, 1976
9 유동식, "평신도론" 17-23, 1961
10 이장식, "평신도는 누구인가?" 대한기독교출판사 1980
11 정용철, "평신도 운동에 대한 제언" 55-59, 1964
12 김수진, "평신도 운동과 교회성장"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출판국 1989
13 H. 크레머, "평신도 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999
14 M.깁스, "오늘의 평신도와 교회" 대한기독교출판사 1979
15 박근원, "오늘의 교역론" 대한기독교출판부 1989
16 W. 워커, "세계기독교회사"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17 베른하르트 로제, "마틴 루터의 신학" 한국신학연구소 2002
18 파울 알트하우스, "루터의 신학"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1
19 장공 김재준목사 기념사업회, "김재준 전집 8권" 한신대학교출판부 1-4, 1992
20 장공 김재준목사 기념사업회, "김재준 전집 4권" 한신대학교 출판부 416-421, 1992
21 Volf, M., "Work in the Sprit : Toward a Theology of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22 Barth, Karl, "Theologische Fragen und Antworten" Zollikon 1957
23 Richardson, A., "The Biblical Doctrine of Work" SCM Press 1952
24 Congar, Yves, "Lay People in the Church" Geotty Capman 1957
25 Fee, Gordon, "Laos and Leadership under the New Covenant" 25 (25): 1989
26 Bainton, R., "Here I stand : A Life of Martin Luther" Abingdon Press 1978
27 Feucht, O.E., "Everyone a Minister" Concordia 1979
28 Luther, D. Martin, "D. Martin Luther’s Werke: Kritische Gesamtausgabe (Bde., 5, 6, 7, 12, 16, 18, 31/1, 54)" Hermann Böhlaus Nachfolger 1997
29 폴 스티븐스,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 IVP 2001
바로와 산파들 다시 보기: 출애굽기 1:15-21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3-2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 THEOLOGICAL STUDY INSTITUTE -> THEOLOGICAL THOUGHT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5-09-1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신학사상외국어명 : THE KOREA THEOLOGICAL STUDY INSTITUTE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6 | 0.6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