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업우수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진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about Career Guidance of Mothers Who Has a Academically Talented Child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2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업우수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진로지도 경험을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살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인 학업우수아의 어머�...

      본 연구는 학업우수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진로지도 경험을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살고 있는 초등학교 6학년인 학업우수아의 어머니 9명을 심층면담하고,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07개의 개념과 44개의 하위 범주, 그리고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어머니들의 진로지도 경험을 포괄하는 핵심범주로는 '자녀의 성취를 위해 자녀의 특성을 존중하고 자녀의 자율성을 키우면서 자신이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방향으로 이끌어감'으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우수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진로지도 경험의 실체를 논의하였으며, 부모를 대상으로 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about career guidance of mother who has a academically talented child in Korea. Nine mother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 has107 concepts, 44 ...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about career guidance of mother who has a academically talented child in Korea. Nine mother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 has107 concepts, 44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is "The mothers consider their children's characteristics for the children's accomplishment and foster children's self-control and lead their children to desirable object the mothers view".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신, "한국사회의 교육적 성취 현상과 심리적 기반"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325-351, 2002

      2 박승리, "학업우수여학생의 진로발달모형에 관한 연구" 2006

      3 하 정,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과정-근거이론접근" 2007

      4 강수현, "청소년기 애착과 우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2000

      5 진혜영, "진로의식 향상을 위한 가정 연계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10 (10): 497-513, 2006

      6 지용근,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진로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16 (16): 45-62, 2003

      7 조찬성, "부모의 직업과 자녀의 희망 직업 분석" 2000

      8 이항심, "부모애착, 성역할 정체감, 자존감 및 진로 장벽의 구조 모형 검증: 우수여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2007

      9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1

      10 이희영,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대한 부모-자녀간의 심리적 분리 및 애착 관계의 역할" 한국심리학회 11 (11): 239-259, 1999

      1 박영신, "한국사회의 교육적 성취 현상과 심리적 기반"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325-351, 2002

      2 박승리, "학업우수여학생의 진로발달모형에 관한 연구" 2006

      3 하 정,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과정-근거이론접근" 2007

      4 강수현, "청소년기 애착과 우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2000

      5 진혜영, "진로의식 향상을 위한 가정 연계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10 (10): 497-513, 2006

      6 지용근,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진로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16 (16): 45-62, 2003

      7 조찬성, "부모의 직업과 자녀의 희망 직업 분석" 2000

      8 이항심, "부모애착, 성역할 정체감, 자존감 및 진로 장벽의 구조 모형 검증: 우수여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2007

      9 "근거이론의 단계" 현문사. 2001

      10 이희영, "고등학생의 진로성숙에 대한 부모-자녀간의 심리적 분리 및 애착 관계의 역할" 한국심리학회 11 (11): 239-259, 1999

      11 김정애, "고등학생의 심리적 분리와 부모에 대한 대인거리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1998

      12 이순형, "가족주의, 집단주의, 성취지향성과 양육가치관의 관계-중류층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국사회학회 30 : 545-573, 1996

      13 "Youth Perspectives on Parental Career Influence" 27 (27): 111-118, 2000

      14 "Transition to Adulthood" 1986

      15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Status and Gender to the Occupational Choices of Grade 12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89

      16 "The Intentions of Parents in Influenc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1992198~207

      17 "The Geography of Thought: How Asians and Westerners Think Differently... and Why" NY: The Free Press 2003

      18 Eccles, "School and Family Effects on the Ontogeny of Children’s Interests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Motivat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3

      19 "Parents as Agents of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88

      20 Downing, "Parental Involvement in Children’s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1994

      21 "Parental Influence on Career Development An Integrative Framework for Adolescent Career Counseling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1993

      22 "Parental Family Income and the Socioeconomic Attainment of Children" 1987

      23 "Parental Behaviors and Adolescents’ Career Exploration" 45 (45): 341-350, 1997

      24 Eccles, J. S., Barber, B. & Jozefowicz, D. H, "Linking Gender to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Choices: Applying the Eccles et al. Model of Achievement Related Choices" Washington D. C.: APA Press 1998

      25 Cho, "Korean Women and Their Experiences in the Traditional World" 1988

      26 "Influential Factors in Career Orientation and Career Aspiration of Early Adolescent Girls" 44 (44): 160-172, 1997

      27 "Family Interaction Patterns as Predictors of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61 (61): 185-201, 2002

      28 38 No, "Contribution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Parental Attachment to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91

      29 "Confucianism and the Family" NY: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8

      30 Blustein, D. L, "Attachment Theory and Career Development: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23 : 416-432,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10-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 고용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능력개발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1.38 1.21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