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언론의 코로나19 관련 기사 시기별 주제분석: 공출현 네트워크 군집분석을 중심으로 = The Clustering Analysis of Co-Occurrence Network of Covid-19 News Articles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8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VID-19 has changed the landscape of our everyday lives. Such omnidirectional influence of COVID-19 prompted mass media to publish tons of articles regarding the new virus. However there has been some criticism against the mass media that the news articles often evoked unnecessary fear among public and even transgressed political impartiality. Prior to the hasty criticism toward journalism this study aims to describe how mass media in Korea have dealt with the issue related to the spread of COVID-19 virus in a quantitative wa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news big data including a total of 119,768 articles from 4 major newspapers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Furthermor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how the main theme of the news articles regarding COVID-19 has changed through each phases of the progress during the ongoing pandemic.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will be discussed
      번역하기

      COVID-19 has changed the landscape of our everyday lives. Such omnidirectional influence of COVID-19 prompted mass media to publish tons of articles regarding the new virus. However there has been some criticism against the mass media that the news ar...

      COVID-19 has changed the landscape of our everyday lives. Such omnidirectional influence of COVID-19 prompted mass media to publish tons of articles regarding the new virus. However there has been some criticism against the mass media that the news articles often evoked unnecessary fear among public and even transgressed political impartiality. Prior to the hasty criticism toward journalism this study aims to describe how mass media in Korea have dealt with the issue related to the spread of COVID-19 virus in a quantitative wa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news big data including a total of 119,768 articles from 4 major newspapers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Furthermor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how the main theme of the news articles regarding COVID-19 has changed through each phases of the progress during the ongoing pandemic.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will b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개인의 삶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전방위적인 영향을 미치고있다. 이에 따라 언론에서는 코로나 사태를 연일 보도하고 있으나 질병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과 혼란을 일으키고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중립성과 균형성까지 잃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그러나 섣부른 비판에 앞서 코로나 사태를 다루는 실제 언론의 보도 양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0년한 해 동안(2020.01.21~12.20) 코로나 이슈에 대한 약 12만 건의 신문기사를 시기별로 분석하고 시기별 특징들이 각 시기의 주요 사회적 이슈들과 어떻게 연관되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년간 동시다발적으로 생성된 대량의 언론보도를 분석하기 위해 의미연결망을 구축하여 공출현 네트워크 군집분석(CONCOR 분석) 기법으로 각 시기별 주요 이슈를 파악하고 각 시기별 언론의 보도 프레임과이슈와의 관련성, 그리고 코로나 이슈에 대한 언론의 태도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코로나 관련 이슈가 각 시기별 · 정치적 ·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으며, 때로는코로나 이슈를 통하여 정치적 · 사회적 갈등이 표출되었음을 뉴스 기사 분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개인의 삶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전방위적인 영향을 미치고있다. 이에 따라 언론에서는 코로나 사태를 연일 보도하고 있으나 질병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과 혼란을 일...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개인의 삶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전방위적인 영향을 미치고있다. 이에 따라 언론에서는 코로나 사태를 연일 보도하고 있으나 질병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과 혼란을 일으키고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중립성과 균형성까지 잃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그러나 섣부른 비판에 앞서 코로나 사태를 다루는 실제 언론의 보도 양상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0년한 해 동안(2020.01.21~12.20) 코로나 이슈에 대한 약 12만 건의 신문기사를 시기별로 분석하고 시기별 특징들이 각 시기의 주요 사회적 이슈들과 어떻게 연관되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년간 동시다발적으로 생성된 대량의 언론보도를 분석하기 위해 의미연결망을 구축하여 공출현 네트워크 군집분석(CONCOR 분석) 기법으로 각 시기별 주요 이슈를 파악하고 각 시기별 언론의 보도 프레임과이슈와의 관련성, 그리고 코로나 이슈에 대한 언론의 태도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코로나 관련 이슈가 각 시기별 · 정치적 · 사회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으며, 때로는코로나 이슈를 통하여 정치적 · 사회적 갈등이 표출되었음을 뉴스 기사 분석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지원, "한국 언론 ‘코로나19’ 보도 어땠나 … 과장· 추측성· 생중계식 보도 안돼"

      2 진나영, "한국 메르스 사태에 대한 국내외언론보도 의미망 비교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8 (18): 222-262, 2018

      3 칸타퍼블릭,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조사" 칸타퍼블릭 2020

      4 함승경, "코로나19 언론보도 경향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이슈 주기 및 언론사 정치적 지향에 따른 주제 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 적용" 한국언론학회 65 (65): 148-189, 2021

      5 심준섭, "언어네트워크분석 기법을 활용한 갈등 프레임의 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0 (20): 183-212, 2011

      6 심홍진,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이용행태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5 (25): 82-138, 2011

      7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49-68, 2014

      8 박주현, "언론의 이념성향에 따른 ‘코로나19’ 보도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회 64 (64): 40-85, 2020

      9 박대민, "사실기사의 직접인용에 대한 이중의 타당성 문제의 검토: 〈동아일보〉와 〈한겨레신문〉의 4대강 추진 논란 기사에 대한 뉴스 정보원 연결망 및 인용문 분석" 한국언론학회 59 (59): 121-151, 2015

      10 이성주, "사스’와 보도" (87) : 158-166, 2003

      1 노지원, "한국 언론 ‘코로나19’ 보도 어땠나 … 과장· 추측성· 생중계식 보도 안돼"

      2 진나영, "한국 메르스 사태에 대한 국내외언론보도 의미망 비교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18 (18): 222-262, 2018

      3 칸타퍼블릭,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조사" 칸타퍼블릭 2020

      4 함승경, "코로나19 언론보도 경향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이슈 주기 및 언론사 정치적 지향에 따른 주제 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 적용" 한국언론학회 65 (65): 148-189, 2021

      5 심준섭, "언어네트워크분석 기법을 활용한 갈등 프레임의 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0 (20): 183-212, 2011

      6 심홍진,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이용행태 인식과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5 (25): 82-138, 2011

      7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49-68, 2014

      8 박주현, "언론의 이념성향에 따른 ‘코로나19’ 보도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회 64 (64): 40-85, 2020

      9 박대민, "사실기사의 직접인용에 대한 이중의 타당성 문제의 검토: 〈동아일보〉와 〈한겨레신문〉의 4대강 추진 논란 기사에 대한 뉴스 정보원 연결망 및 인용문 분석" 한국언론학회 59 (59): 121-151, 2015

      10 이성주, "사스’와 보도" (87) : 158-166, 2003

      11 김병철, "메르스 보도가 메르스 정보 검색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7 (27): 207-224, 2019

      12 김태종,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언론보도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57-466, 2020

      13 Lenci, A, "Distributional semantics in linguistic and cognitive research" 20 (20): 1-31, 2008

      14 삼정 KPMG 경제연구원, "COVID-19 Business Report: 코로나19에 따른 산업별 영향 분석" 삼정KPMG 2020

      15 Doerfel, M. L.,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25 (25): 589-603, 1999

      16 Martin, J. L, "A general permutation-based QAP analysis approach for dyadic data from multiple groups" 22 (22): 50-60, 1999

      17 윤종빈, "21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의 진화" 푸른길 2021

      18 한국리서치, "2020 총선 유권자 조사" 한국리서치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