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형 원자력추진잠수함 정책추진과정 분석: 관료정치모델의 적용과 발전적 제언 = Tracing the Process of South Korean Nuclear-Powered Submarine Program: The Application of Bureaucratic Politics Model and Policy Recommend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287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ugust 2020, the ROK Ministry of Defense laid out the 2021- 25 Mid-Term Defense Plan, which reportedly seems to include the nuclear-powered submarine acquisition. This plan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s counter-measures to grapple with security situations of growing North Korea’s SLBM threat. Meanwhile, the following question could be raised because it is an unprecedented platform. Is the nuclear-powered submarine program aimed at seeking national security or simply organizational interest for the navy? Some raise this question and criticize the navy for its bureaucratic politics model-driven force planning. Force planning is a long process where operational effectiveness should be prioritized to achieve national security. Thus, political factors should step aside. Meanwhile, the nuclear-powered submarine program is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in the sense that North SLBM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tressing the need to acquire nuclear-powered submarines and resources of political power boost this chance.
      This criticism can be conceptualized as the bureaucratic politics model-driven force planning. This program is controversial in the following aspects: procedural legitimacy, institutional and technological factors, sustainability, oper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ulture, policy disharmony. A raft of measures should be taken to overcome this trap.
      번역하기

      In August 2020, the ROK Ministry of Defense laid out the 2021- 25 Mid-Term Defense Plan, which reportedly seems to include the nuclear-powered submarine acquisition. This plan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s counter-measures to grapple with security si...

      In August 2020, the ROK Ministry of Defense laid out the 2021- 25 Mid-Term Defense Plan, which reportedly seems to include the nuclear-powered submarine acquisition. This plan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s counter-measures to grapple with security situations of growing North Korea’s SLBM threat. Meanwhile, the following question could be raised because it is an unprecedented platform. Is the nuclear-powered submarine program aimed at seeking national security or simply organizational interest for the navy? Some raise this question and criticize the navy for its bureaucratic politics model-driven force planning. Force planning is a long process where operational effectiveness should be prioritized to achieve national security. Thus, political factors should step aside. Meanwhile, the nuclear-powered submarine program is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in the sense that North SLBM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tressing the need to acquire nuclear-powered submarines and resources of political power boost this chance.
      This criticism can be conceptualized as the bureaucratic politics model-driven force planning. This program is controversial in the following aspects: procedural legitimacy, institutional and technological factors, sustainability, oper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ulture, policy disharmony. A raft of measures should be taken to overcome this tra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방부가 2020년 8월 『21 · 25 국방중기계획』을 통해 원자력추진잠수함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하면서 해군의 전력기획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사업은 북한SLBM 위협 고도화라는 안보상황에 대한 대응적 성격이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역대급 전력이라는 점에서 다음의 질문이 대두된다. 원자력추진잠수함이국가의 안보이익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해군의 조직이익을 위한 것인가? 관료정치모델식 전력기획으로 비추어지면서 이러한 질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력기획은 작전적 효과에 기반한 군사소요 판단으로 안보를 달성하기 위한일련의 의사결정 과정이다. 따라서 정치적 요소는 완전히 배제되어야 한다. 한편 원자력추진잠수함은 북한 SLBM이라는 위협이 주는 기회와 해당전력을 지원하는 정치권력에 기인한 정치적 기회가 상호작용했다는 측면에서 해군의 조직적 이익을 위한 관료정치모델식 전력기획이라는 속성이 내재되어 있다.
      특히 절차적 정당성, 제도적 · 기술적 요소, 지속성, 작전효과, 부정적 군조직 문화, 정책적 부조화, 비핵화 문제해결 교착이라는 측면에서 원자력추진잠수함이 비판의중심에 서있다. 이러한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 공론화 과정, ROC 정교화 및 제도적 보완, 원자력추진잠수함 3차 방정식 논리개발과 같은 정교한 후속조치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번역하기

      국방부가 2020년 8월 『21 · 25 국방중기계획』을 통해 원자력추진잠수함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하면서 해군의 전력기획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사업은 북한SLBM 위협 고도화라는 안보...

      국방부가 2020년 8월 『21 · 25 국방중기계획』을 통해 원자력추진잠수함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하면서 해군의 전력기획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사업은 북한SLBM 위협 고도화라는 안보상황에 대한 대응적 성격이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역대급 전력이라는 점에서 다음의 질문이 대두된다. 원자력추진잠수함이국가의 안보이익을 위한 것인가 아니면 해군의 조직이익을 위한 것인가? 관료정치모델식 전력기획으로 비추어지면서 이러한 질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력기획은 작전적 효과에 기반한 군사소요 판단으로 안보를 달성하기 위한일련의 의사결정 과정이다. 따라서 정치적 요소는 완전히 배제되어야 한다. 한편 원자력추진잠수함은 북한 SLBM이라는 위협이 주는 기회와 해당전력을 지원하는 정치권력에 기인한 정치적 기회가 상호작용했다는 측면에서 해군의 조직적 이익을 위한 관료정치모델식 전력기획이라는 속성이 내재되어 있다.
      특히 절차적 정당성, 제도적 · 기술적 요소, 지속성, 작전효과, 부정적 군조직 문화, 정책적 부조화, 비핵화 문제해결 교착이라는 측면에서 원자력추진잠수함이 비판의중심에 서있다. 이러한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 공론화 과정, ROC 정교화 및 제도적 보완, 원자력추진잠수함 3차 방정식 논리개발과 같은 정교한 후속조치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평천, "해군, 남중국해에서 작전활동해야 … 베트남 기항지 건설 필요" 연합뉴스

      2 하어영, "한반도에 경항모• 핵잠수함이 과연 필요한가" 한겨레

      3 함성득, "한국의 외교· 안보정책결정과정에서 대통령의 리더십과관료정치현상과의 연관성 분석: 1 · 2차 북핵위기를 중심으로" 10 (10): 37-71, 2005

      4 김영인, "한국외교안보정책에 있어 대통령의 정책조율과 현실적한계에 관한 연구: 노무현 정부의 SNC 운용사례를 중심으로" 55 (55): 89-127, 2016

      5 김종하, "한국군의 합리적 소요기획을 위한 방안 - 위협기반기획과 능력기반기획의 대비를 중심으로 -" 한국국방연구원 24 (24): 169-192, 2008

      6 오동룡, "한국, 중소형 원자로 기술 미국 앞서 … 2024 원잠(원잠) 보유 가능하다!" Chosunpub

      7 김관용, "한국 해군, 항공모함• 핵잠수함 시대 열린다" 이데일리

      8 한국군사문제연구원, "한국 『2021~2025년 국방중기계획』 주요 내용"

      9 문근식, "잠수함의 세계" 플래닛미디어 2013

      10 jtbc뉴스, "송영무, 전술핵• 핵잠수함 언급…청와대, 배치 반대 여전"

      1 최평천, "해군, 남중국해에서 작전활동해야 … 베트남 기항지 건설 필요" 연합뉴스

      2 하어영, "한반도에 경항모• 핵잠수함이 과연 필요한가" 한겨레

      3 함성득, "한국의 외교· 안보정책결정과정에서 대통령의 리더십과관료정치현상과의 연관성 분석: 1 · 2차 북핵위기를 중심으로" 10 (10): 37-71, 2005

      4 김영인, "한국외교안보정책에 있어 대통령의 정책조율과 현실적한계에 관한 연구: 노무현 정부의 SNC 운용사례를 중심으로" 55 (55): 89-127, 2016

      5 김종하, "한국군의 합리적 소요기획을 위한 방안 - 위협기반기획과 능력기반기획의 대비를 중심으로 -" 한국국방연구원 24 (24): 169-192, 2008

      6 오동룡, "한국, 중소형 원자로 기술 미국 앞서 … 2024 원잠(원잠) 보유 가능하다!" Chosunpub

      7 김관용, "한국 해군, 항공모함• 핵잠수함 시대 열린다" 이데일리

      8 한국군사문제연구원, "한국 『2021~2025년 국방중기계획』 주요 내용"

      9 문근식, "잠수함의 세계" 플래닛미디어 2013

      10 jtbc뉴스, "송영무, 전술핵• 핵잠수함 언급…청와대, 배치 반대 여전"

      11 박희준, "서울 ‘핵추진잠수함 추진 검토 중’ … 한미원자력협정이 걸림돌" 글로벌이코노믹

      12 백병선, "북한의 SLBM 위협에 대한 한국군의 대응방향 : 의지 능력 선택의 영역을 중심으로"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5 (25): 53-88, 2018

      13 장진오, "북한 SLBM 위협에 대비한 원자력 추진 잠수함의 효용성 검토" (1685) : 17-43, 2017

      14 박대로, "베트남 남부 도시에 해군 기항지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야"

      15 부형욱, "방위력 개선사업에서 정책 변동: Kingdon의 정책흐름(Policy Stream) 모형과 관료정치 모델의 설명력 고찰을 중심으로" 55 : 127-152, 2002

      16 김현, "미국의 일본 재무장 결정(1950년 9월)의 외교정책 결정론적 분석" 30 (30): 363-382, 1997

      17 강대식, "문정부 공약 ‘핵잠수함’, 해군은 소요제기 조차 안했다" 파이낸셜뉴스

      18 KBS NEWS, "문 대통령, 휴가 중 잠수함사령부 방문…1800t급 안중근함시찰"

      19 이정애, "문 대통령, 핵잠수함도 언급…대북 억지력 증강에 집중" 한겨레

      20 박병진, "노무현정부 때 핵잠개발 좌초 이유는 해군이 이지스함 확보에 더매력 느낀 탓" 세계일보

      21 김동은, "김정은, ‘핵잠수함 설계연구 끝났다’ … 새해부터 무기자랑" 매일경제

      22 김주영, "김병주, 해군 창설 100주년 맞아 ‘선진해군’ 정책토론 개최" 파이낸셜뉴스

      23 "군사용어사전"

      24 양승식, "군, 핵추진 잠수함 개발 시사"

      25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26 안문석, "관료정치와 관료세력의 권력자원 동원: 박근혜 정부 대북정책 결정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5 (55): 169-201, 2015

      27 한종훈, "관료정치모델에 기초한 이란 핵개발 동기에 대한 연구" 글로벌정치연구소 5 (5): 141-161, 2012

      28 최경민, "경항공모함• 핵잠수함 추진 … 300조원 투입한다" 머니투데이

      29 반길주, "게임체인저로서 북한 SLBM 위협고도화와 한국의 대응방안: 변화되는 게임진단과 SLBM 상쇄전략" 세종연구소 26 (26): 119-150, 2020

      30 정충신, "美겨냥 SLBM 다탄두化…南겨냥 KN-23엔 전술핵 탑재 가능" 문화일보

      31 정승임, "‘홍길동’된 문 대통령과 국방부 … 왜 ‘현무-4’라고 못 부르나" 한국일보

      32 김연교, "‘창설 100주년’ 준비하는 해군 … ‘군 불교, 활성화 동력 마련해야’" BBS NEWS

      33 박창희, "‘전략기반 전력기획’과 한국군의 전력구조 개편 방안" 한국국방연구원 34 (34): 139-169, 2018

      34 이재영, "[이재영의 촌철살인‘ 핵잠수함 도입추진은 종속안보를 부른다" 경북일보

      35 유용원, "[밀톡][단독], 북, SLBM 6발 탑재 신형 잠수함 건조 정황 포착" 조선일보

      36 정현용, "[밀리터리 인사이드] 해군은 왜 ‘핵잠수함’을 원할까" 서울신문

      37 윤상호, "[단독] 한 핵잠수함 연료공급 요청, 미 난색" 동아일보

      38 이정은, "[단독] 韓 핵잠수함 연료공급 요청, 美 난색" 동아일보

      39 Welch, David A, "The Organizational Process and Bureaucratic Politics Paradigms: Retrospect and Prospect" 17 (17): 112-146, 1992

      40 Stein, Howard F, "The Indispensable Enemy and American-Soviet Relations" 17 (17): 480-503, 1989

      41 Dorani, Sharifullah, "The Bureaucratic Politics Approach: Its Application, its Limitations, and its Strengths" cesran

      42 Drezner, Daniel W, "Ideas, Bureaucratic Politics, and the Crafting of Foreign Policy" 44 (44): 733-749, 2000

      43 Rosati, Jerel A, "Developing a Systematic Decision-Making Framework:Bureaucratic Politics in Perpspective" 33 (33): 234-252, 1981

      44 Allison, Graham T, "Conceptual Models and the Cuban Missile Crisis" 63 (63): 689-718, 1969

      45 Michaud, Nelson, "Bureaucratic Politics and the Shaping of Policies:Can We Measure Pulling and Hauling Games?" 35 (35): 269-300, 2002

      46 Clifford, J. Garry, "Bureaucratic Politics" 77 (77): 161-168, 1990

      47 Welch, David A., "A Positive Science of Bureaucratic Politics?" 42 (42): 210-216, 1998

      48 안문석, "1차 북핵위기 당시 미국의 대북 핵정책 결정과정 분석: 관료정치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14 (14): 87-110,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