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국내 재배 비트의 품종별 영양성분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42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레드비트, 골든비트 및 키오자비트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종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 평가하였다. 색도 중 L값과 b값은 골든비트가 가장 높았고 a값은 키오자비트...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레드비트, 골든비트 및 키오자비트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종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 평가하였다. 색도 중 L값과 b값은 골든비트가 가장 높았고 a값은 키오자비트가 가장 높았다. pH는 5.78로 골든비트와 키오자비트가 동일하게 가장 높았으며, 가용성 고형분은 10.70 °Bx로 키오자비트가 가장 높았다. 수분, 조회분 및 조지방의 함량은 골든비트가 가장 높았으며 조단백질은 레드비트가 가장 높았다. 탄수화물과 식이섬유는 각각 10.05, 2.98%의 함량으로 키오자비트가 가장 높았다. 주요 무기질인 칼륨과 나트륨은 레드비트가 각각 5,533.98, 789.44 mg/kg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P<0.05), 마그네슘은 452.05 mg/kg으로 골든비트가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베타카로틴 함량은 골든비트가 1.56 μ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비타민 B1은 키오자비트가 22.83 μ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낸 레드비트보다 5.5배 이상 차이가 났다. 비트의 주요 지방산은 리놀레산, 팔미트산, 올레산이었으며 키오자비트의 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았다. 유리당 분석 결과 자당의 함량은 4.66~5.80 g/100 g으로 키오자비트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비트는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였으며, 영양학적 가치를 지닌 식품의 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nutritional constituents of red beet, golden beet, and chioggia beet cultivated in Korea. Considering color, the golden beet exhibited the highest L and b values, whereas the a value of chioggia beet was signi...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nutritional constituents of red beet, golden beet, and chioggia beet cultivated in Korea. Considering color, the golden beet exhibited the highest L and b values, whereas the a value of chioggia be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varieties. The average pH was 5.78, which was highest in golden beet and chioggia beet, and the highest soluble solid content was obtained in chioggia beet at 10.70°Bx. Moisture, crude ash and crude fat contents were highest in golden beet, and crude protein was highest in red beet. Chioggia beet showed the highest carbohydrate and dietary fiber contents (10.05 and 2.98%, respectively). Evaluating the major minerals present in beets, the highest levels of K and Na were obtained in red beet (5,533.98 and 789.44 mg/kg). Golden beet contained higher amount of Mg (452.05 mg/kg) than other beets. The content of β-carotene in golden beet was the highest, whereas the B1 content in chioggia beet was 22.84 μg/100 g, which was more than 5.5 times higher than red beet. The major fatty acids of beet were linoleic acid, palmitic acid and oleic acid, and the fatty acid content of chioggia beet was highest. The highest content of free sugar was obtained in chioggia beet, and beet sugars were primarily composed of sucrose (ranging from 4.66 to 5.80 g/100 g).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beets contain numerous nutrients and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producing foods with nutritional valu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현, "한국인 상용 과일과 채소의 계절별 무기질 함량 변화"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7 (17): 860-876, 2007

      2 장혜림, "표고버섯(Lentinula edodes) 및 표고버섯 신품종 이슬송이버섯(Lentinula edodes GNA01)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484-1491, 2015

      3 박윤지, "전자선 검역처리선량이 파프리카의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49 (49): 117-122, 2017

      4 조경희, "심뇌혈관질환과 건강기능식품" 대한가정의학회 31 (31): 587-594, 2010

      5 이교연, "레드비트 분말 첨가가 두부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6 (26): 659-666, 2019

      6 이미란, "레드 비트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4 (24): 413-420, 2017

      7 윤미옥,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영양학회 50 (50): 504-518, 2017

      8 민진영, "국내산 레드비트(Beta vulgaris L.) 추출 천연색소의 항산화 특성 및 안정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7 (47): 725-732, 2018

      9 장주리, "건조 비트(Beta vulgaris) 추출물의 Cell System에서 항산화 및 항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832-838, 2009

      10 Pan A, "α-Linolenic acid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96 : 1262-1273, 2012

      1 김주현, "한국인 상용 과일과 채소의 계절별 무기질 함량 변화"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7 (17): 860-876, 2007

      2 장혜림, "표고버섯(Lentinula edodes) 및 표고버섯 신품종 이슬송이버섯(Lentinula edodes GNA01)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484-1491, 2015

      3 박윤지, "전자선 검역처리선량이 파프리카의 품질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 49 (49): 117-122, 2017

      4 조경희, "심뇌혈관질환과 건강기능식품" 대한가정의학회 31 (31): 587-594, 2010

      5 이교연, "레드비트 분말 첨가가 두부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6 (26): 659-666, 2019

      6 이미란, "레드 비트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4 (24): 413-420, 2017

      7 윤미옥,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가공식품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영양학회 50 (50): 504-518, 2017

      8 민진영, "국내산 레드비트(Beta vulgaris L.) 추출 천연색소의 항산화 특성 및 안정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7 (47): 725-732, 2018

      9 장주리, "건조 비트(Beta vulgaris) 추출물의 Cell System에서 항산화 및 항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832-838, 2009

      10 Pan A, "α-Linolenic acid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96 : 1262-1273, 2012

      11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Legacy Release"

      12 Ravichandran K, "The effect of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on phenolic ac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ed beet" 48 : 16-20, 2012

      13 Terés S, "Oleic acid content is responsible for the reduction in blood pressure induced by olive oil" 105 : 13811-13816, 2008

      14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005

      15 KCDC,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Ⅶ-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6-27, 2018

      16 Kowalski SJ, "Kinetics and quality aspects of beetroots dried in non-stationary conditions" 32 : 1310-1318, 2014

      17 Cazzato E, "Influence of sulphur application on protein quality, fatty acid composition and nitrogen fixation of white lupin (Lupinus albus L.)" 235 : 963-969, 2012

      18 Paciulli M, "Impact of thermal and high pressure processing on quality parameters of beetroot (Beta vulgaris L.)" 68 : 98-104, 2016

      19 RDA, "Food composition table"

      20 El-Beltagi HS, "Evaluation of some chemical constituents,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Beta vulgaris L. root" 27 : 6369-6378, 2018

      21 Colaric M, "Evaluation of peach and nectarine fruit quality and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and chemical attributes" 85 : 2611-2616, 2005

      22 Wood JD, "Effects of fatty acids on meat quality : a review" 66 : 21-32, 2004

      23 Anderson JW, "Dietary Fiber" Springer 343-360, 1986

      24 Bach V, "Culinary preparation of beetroot (Beta vulgaris L.): the impact on sensory quality and appropriateness" 95 : 1852-1859, 2015

      25 Wruss J,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beetroot products and beetroot juice prepared from seven beetroot varieties grown in Upper Austria" 42 : 46-55, 2015

      26 Moreno DA, "Betalains in the era of global agri-food science, technology and nutritional health" 7 : 261-280, 2008

      27 Nemzer B, "Betalainic and nutritional profiles of pigment-enriched red beet root (Beta vulgaris L.) dried extracts" 127 : 42-53,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