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교 미술 교과의 유니버설 디자인 교수-학습 프로그램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442335

      • 저자
      • 발행사항

        진주 :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기타서명

        A Study on Universal Design Teaching-Learning Program in Art Education of Middle School

      • 형태사항

        ⅷ, 94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

        경상국립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하중규

      • UCI식별코드

        I804:48003-000000031944

      • 소장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산업화와 함께 시작된 대량생산 체제 안에서,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표준화된 디자인은 장애인과 고령자, 아이와 임산부 등의 사람들을 좌절시키고 소외시켰다. 이러한 디자인은 다양한 생...

      산업화와 함께 시작된 대량생산 체제 안에서,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표준화된 디자인은 장애인과 고령자, 아이와 임산부 등의 사람들을 좌절시키고 소외시켰다. 이러한 디자인은 다양한 생활을 영위하는 개인의 삶의 형태를 외면하고 간과해왔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차별에 대응하여 개개인의 개성을 포용하고 존중하는 디자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 평등과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은 미미하여 디자인 과정에 사용자를 참여시키지 않고 있다. 그로 인해 우리의 생활공간은 여전히 위험과 차별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대부분의 시민들의 의식수준은 낮아 공존을 위한 의식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사회적 디자인으로 대표되는 유니버설 디자인이 시민들의 공동체 의식 고양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더욱이 가치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이 앞으로 사회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주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교육 분야에서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맞추어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교육 내용이 문제 해결에만 집중되어 있어 사용자에 대한 깊은 이해와 문제의 탐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단순히 주변 환경을 편리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경험과 심리, 인간을 둘러싼 환경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분석하여 인간의 요구를 반영하는 인간 중심의 디자인이다. 따라서 문제 해결에만 집중하는 것은 디자인의 과정에 사용자를 참여시키지 않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사용자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시각에서 문제를 발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탐색 활동을 경험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2장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과정을 통해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과 등장 배경, 정의, 원리·원칙을 관련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으며, 유니버설 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해 필요한 사고와 함께 생활환경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잠재적인 불편함을 다양한 사용자의 특성 및 배려 사항과 연결 지어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에서 유니버설 디자인과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 개정된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교육적 의미를 제시하고, 학교의 여건에 맞도록 활용할 수 있는 3가지의 체계적인 유니버설 디자인 교수-학습 방법을 설계하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포용할 수 있다. 둘째, 타인과 공감을 바탕으로 소통할 수 있다. 셋째, 자신도 공동체의 일원임을 알며, 사회문제에 대해서 도외시하지 않고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행동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은 전 생애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공감, 소통, 배려, 존중, 공동체 의식과 같은 인성 능력과 시민의식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생각과 경험을 보다 깊이 있게 공감할 수 있는 사용자 이해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학습자들에게 존중과 배려의 가치를 형성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ass production system that began with industrialization, the standardized design for ordinary adults frustrated and alienated people such as the disabled, the elderly, children, and pregnant women. It can be seen that this design has ignored a...

      In the mass production system that began with industrialization, the standardized design for ordinary adults frustrated and alienated people such as the disabled, the elderly, children, and pregnant women. It can be seen that this design has ignored and overlooked the form of life of individuals living various lives. In response to this discrimination, the need for a design that embraces and respects individual individuality is emerging.
      However, companies' response to social equality and the social role of design is insignificant, and users are not participating in the design process. As a result, our living space still has risks and discrimination, and the level of consciousness of most citizens about this is low, so we need to change our consciousness for coexistence.
      Therefore, universal design, represented by social design, is important for enhancing citizens' sense of community, and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a lot to making teenagers who are in an important period of forming values sensitive to social problems and take the lead. Recently, universal design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is social trend in the field of education,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deep understanding of users and searching for problems are not sufficient as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are concentrated only on solving problems. Universal design does not simply mak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nvenient, but is a human-centered design that reflects human needs by closely observing and analyzing human experiences, psychology,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humans. Therefore, focusing only on problem solving can be seen as not involving users in the design process.
      In this study, I propose a universal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at experiences various exploration activities so that learners can discover problems from the user's perspective based on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users'.
      Chapter 2 of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background, definition, and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along with related cases, link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nsiderations of various users with the thoughts necessary to practice universal design.
      In Chapter 3, art textbooks revised in 2015 were analyzed to understand how content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are presen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Chapter 4 presents the educational meaning of universal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so far, and designs three systematic universal design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can be used to suit the school conditions.
      The educational meaning of universal design is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nd embrace the diversity of community members. Second, you can communicate with others based on empathy. Third, the learner himself knows that he or she is a member of the community, and can develop an attitude of acting with a sense of community without neglecting social issues.
      Universal desig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throughout life, and in order to cultivate personality skills and citizenship such as empathy, communication, consideration, respect,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 user-center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learners can more deeply sympathize with users' thoughts and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I hope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form a value of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learners, and I hope it will be helpful in universal design education that will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Abstract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 국문초록
      • Abstract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내용 및 방법 3
      • 3. 연구의 범위 4
      • II. 이론적 배경 5
      • 1. 유니버설 디자인의 이해 5
      • 2. 유니버설적 사고 17
      • III. 중학교 미술 교과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교육 현황 29
      • 1.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29
      • 2. 중학교 미술 교과서 내 유니버설 디자인 내용 분석 31
      • IV. 유니버설 디자인 교수-학습 프로그램 제안 46
      • 1. 유니버설 디자인의 교육적 의미 46
      • 2. 수업의 설계 48
      • V. 결론 75
      • 참고문헌 79
      • 부록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